신생아 중환자실 간호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간호사정도구Ⅰ(신생아기)

A. 인적사항

B. 건강사정

1. 미숙아

2. 동맥관 개존증(PDA)

3. 황달

4. 무호흡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하고 조치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4) 핵황달
혈중에 불포화 빌리루빈이 증가하여 알부민과의 결합 능력 이상으로 많아지면, 불포화 빌리루빈 중 유리 빌리루빈의 양이 증가하고 이 유리 빌리루빈이 blood brain barrier를 통과하여 뇌 세포에 침착하여 발생하는 신경학적 증후군이다.
6) 치 료
치료의 목표는 핵황달의 예방과 혈액형 부적합증인 경우 용혈과정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선치료와 교환수혈, 그리고 약물치료 등이 시행된다.
광선 요법을 받는 영아를 빛 아래에 옷을 벗기고 눕혀서 신체의 모든 부위가 빛에 노출되도록 하고 자주 체위를 바꿔준다. 광선요법이 시작되면 4~12시간마다 혈청빌리루빈 수치를 자주 측정해 주어야 하는데, 이는 황달의 시각적 사정은 별로 타당성이 없기 때문이다.
아이의 눈이 빛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안대를 대줘 눈을 가려준다. 눈가리개는 적절한 크기여야 하고 눈을 완전히 덮기 위해 정확한 위치에 대어 주어야 하지만 콧구멍을 막지 않도록 주의한다.
(1) 광선치료
기저귀를 채워주어 생식기와 엉덩이를 보호한다.
간호사가 주의해야 할 작은 부작용은 묽고 녹색빛 나는 변, 일시적인 피부발진, 고체온, 대사율의 증가, 탈수, 저칼슘과 같은 전해질 장애, 그리고 지속적인 발기 등이다.
지용성 윤활제나 로션은 피부가 지나치게 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다. 광선요법이 장을 통해 간접 빌리루빈의 배설을 증진하기에 묽은 변은 증가된 빌리루빈의 배설을 증진하기에 묽은 변은 증가된 빌리루빈이 제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수분공급을 충분히 하며 탈수증과 건조증상을 관찰한다. 정상아보다 치료중인 경우 2~3배 수분손실이 많으므로 충분한 수분공급을 해준다.
(2) 약물치료
약물치료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은 phenobarbital이다. 이것은 주로 생리적 황달인 경우 많이 사용하는데, 간 가능의 성숙을 촉진하여 빌리루빈의 포함과 배설을 증가시킨다. 임산부에게 분만 전 1~2주 전에 투여해야 효과가 가장 크며, 때로는 신생아에게 투여하기도 한다. 그러나 효과가 느리게 나타난다는 점이 단점이며, 병리적 황달의 경우는 광선치료만큼 효과가 크지 않으므로 추천되지 않는다.
(3) 교환수혈
교환수혈은 용혈성 질환에서 위험한 수준의 빌리루빈을 감소시킬 때 사용된다.
<적 용>
정○○ nb의 경우 빌리루빈 수치가 12이상으로 올라간 상태로 병리적 황달의 수준은 아니나 일반 신생아에 비해 높기 때문에 광선요법 치료가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눈에 안대를 착용하고 있고 기저귀를 차고 있으며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주고 있다.
4. 무호흡
1) 정의
주기호흡은 지연 무호흡과 반드시 구별되어야 하는데, 이는 무호흡이 심각한 질병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주기호흡은 5~10초 동안 지속되는 호흡의 휴지기 후에 10~15초 동안의 빠른 호흡이 뒤따라오는 반복적인 호흡 양상으로 정의 되며, 미숙아에서 매우 흔하며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미숙아에서의 중한 무호흡은 호흡이 20초 이상 정지하는 것으로 정의 되며, 이에 청색증과 느린맥이 동반된다면 호흡이 정지한 기간에 관계없이 중한 무호흡으로 정의한다.
2) 원인
미숙아 무호흡은 신생아가 이환되는 많은 원발성 질병에 의하여 생긴다. 이런 질병들은 중추 신경게의 호흡 조절을 직접적으로 억제하거나, 관류에 의한 산소 이동의 장애 또는 환기 장애 등이다.
특발 미숙아 무호흡은 생성되는 원인 질환이 없을 때 나타나며, 중추, 폐쇄, 혼합 무호흡으로 나뉜다.
미숙아 무호흡은 호흡 근육에 대한 중추 신경계 자극의 감소에 기인하기도 하며, 이는 공기 흐름과 흉벽의 움직임이 동시에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뇌간 호흡 중추의 미숙함은 이산화탄소 축적에 대한 약화된 반응과 저산소증에 대한 역설적 반응을 유발하여 정상적인 반응인 과환기 대신 무호흡을 초래한다. 미숙아에서 특발 무호흡의 가장 흔한 양상은 혼합형으로 대개 폐쇄 무호흡이 선행 되고 중추 무호흡이 뒤따라온다. 짧은 무호흡은 대개 중추성인 반면, 15초 이상의 무호흡은 종종 혼합형이다.
3) 증상
특발 미숙아 무호흡의 빈도는 재태 기간이 짧을 수록 높으며, 생후 1일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고, 생후 제 2일에서 제 7일 사이에 나타난다. 예전에는 건강하던 신생아에서 생후 2주 후에 갑작스럽게 발생되는 무호흡은 위급한 경우로 즉각적인 진단 과정이 시행되어야 한다.
무호흡에 동반되는 느린맥의 빈도는 선행되는 무호흡의 기간에 따라 증가하고, 저산소증의 심한 정도와 관련이 있다. 짧은 무호흡(10초)은 느린맥이 드물게 동반되는 반면, 긴무호흡(>20초)은 느린맥의 빈도가 높다. 느린맥은 95%이상에서 무호흡과 관련되어 있으며, 드물게는 무호흡이 없는 느린맥의 원인으로서 심차단이 있다.
4) 치료
무호흡의 위험이 있는 신생아에서는 무호흡의 감시 장치로 호흡수, 심박동수 및 산소 포화도의 계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경하거나 간헐적인 무호흡이 있는 신생아는 피부 자극이 적절한 치료가 된다.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무호흡에는 직각적인 bag과 mask 환기를 요하며, 저산소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산소를 투여해야 한다.
Methylxanthine은 호흡 중추의 자극으로 또는 횡격막의 강도를 호전시켜 환기를 긍가시킨다. Theophyline(경구투여) 또는aminopylline(정맥 주사)을 부하량 5mg/kg투여 후 유지량 1~2mg/kg을 매 6~8시간마다 투여하며, 약물의 용량은 활력징후, 임상적 반응과 혈중 약물 농도의 측정에 따라 조정한다.
5) 예후
치료에 대한 반응이 없거나 중증이고 반복적이 아니라면 미숙아 무호흡의 예후에 대한 영향은 미약하다. 미숙아 무호흡은 대개 수태 후 연령 36주경에 소실되며, 후에 영아 돌연 증후군의 발생을 예보하지는 않는다.
<적 용>
정○○ nb의 경우 밤에 몇 번의 무호흡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현재 무호흡 감시 장치가 장착되어 계속적 감시를 하고 있다.
<참고문헌>
홍창의 (2004). 소아과학. 서울; 대한교과서.
김영혜 외(2006).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현문사.
김영혜 외(2006).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현문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8.1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7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