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와 문화(고조선과 고구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류와 문화(고조선과 고구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족과 국민, 그리고 군.부족.군장.국가개념
민족 통합과정의 사례: 동아시와 브리튼 섬
고조선과 한사군에 대한 해석
고구려의 형성과 팽창과정
고구려가 한민족 역사로 편입되는 과정
만주 프로젝트에 대한 검토와 비판
우리는 어떤 역사관을 지향해야 할 것인가?

2. 후기

3. 평가

4. 질문

본문내용

-낙랑군은 한제국의 지방행정단위인 군현에 속하였지만, 낙랑군을 중국인에 의해 운영되는 군현이라고 서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족이 중심세력이 되어 한제국 혹은 한나라를 건설하였지만, 중국인이 한제국를 건설하였다고 서술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이탈리아인이 로마 제국를 건설하였다고 서술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이탈리아인이 로마제국을 건설한 것이 아니라 로마인이 로마제국을 건설한 것고 마찬가지로, 중국인이 한제국을 건설한것이 아니라 한족이 한제국을 건설한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이탈리아인이나 오늘날의 중국인의 개념은 후대에 형성된 개념이다. 그래서 로마제국과 한제국 시대에 이탈리아인이나 중국인의 개념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한제국 시대의 지배계층을 언급할 때는 중국인의 개념보다는 한족의 개념을 적용해야 한다. 그래서 낙랑군 설치가 중국인에 의한 한반도 지배라는 개념을 적용해야한다. 그래서 낙랑군 설치가 중국인에 의한 한반도 지배라고 서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로마제국 시대에 영국과 프랑스가 로마인의 지배를 받은 것은 틀림없는 역사적 사실일지라도, 영국과 프랑스가 이탈리아인의 지배를 받았다고 서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20. 한제국(漢帝國)은 왜 한강 이남에 군현을 설치하지 못하였는가?
-한제국은 로마제국, 아스텍제국, 잉카제국 등과 같은 고대 제국이었다. 이러한 고대 제국은 수많은 민족들을 정복하여 통합함으써 대단히 넓은 영토를 지배하였다. 유목 사회가 농경사회보다 정복하기 힘들었다. 이동하면서 사냥채집하는 민족은 정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복의 대상으로 매력을 주지 못하는 민족이었다. 또한 계급제도가 발달하지 못한 사회는 계급제도가 잘 발달한 사회보다 지배하기 어려웠다. 아직 계급제도가 발달하지 못한 사회는 강력한 지배 계급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국이 정보하여 통제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반면에 엄격한 계급사회의 경우, 소수의 지배 계급만 복속하면 조공을 거두어들일 수 있었기 때문에 제국의 정복대상으로 매력을 주었다. 한사군은 설치할 무렵에 한강 이남의 지방은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민족이 미개한 농경사회의 단계에 있었다. 만약 한강 이남에 외세에 조직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강력한 국가가 있었다면, 한제국의 정복 대상이 되었을 것이다. 한제국이 한강 이남의 지방을 정복하거나 지배하지 못한것은 이 지역이 군사력으로 저항할 만큼 사회가 발달하였기 때문이 아니고, 이 지역이 한제국에 정복당할 만큼 사회 조직이 발달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21. 고구려의 기원과 관련된 5부는? 고구려족과 고구려인은 어떻게 다른가?
-고구려의 기원과 관련된 5부: 고구려의 건국 설화는 주몽설화이다. 주몽설화를 통해 고구려의 기원을 알 수 있다. 주몽설화는 부여의 동명설화에 바탕을 두고, 4세기 후반 집권적 국가체제의 정비와 함께 건국설화로 확립되었다. 고구려의 5부는 각각 항구적인 정치조직을 갖고 있는 족 단위였기 때문에 각 부는 군장사회에 단계이었다고 하겠다. 고구려의 5부가 5개의 군장사회였다면, 고구려는 5개의 군장사회가 연합하여 초기국가로 출발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군장사회는 민족 단위이기 때문에 고구려는 다섯 개의 민족이 통합되어 하나의 초기 국가로 출발한 것이다. 초기국가 체제의 고구려가 5부를 구성단위로 출발하였으며 고구려 족은 본래 5부를 구성하는 사람들이었다.
-고구려족과 고구려인의 차이점: 고구려가 팽창하게 되면서, 고구려에 매우 다양한 민족들이 포함되었다. 고구려족은 고구려의 중심에 위치하는 특정한 민족을 가리키는 용어이고, 고구려인은 고구려국가에 귀속되는 모든 주민을 일컫는 용어이다. 고구려가 팽창하여 거대 국가를 이울 때, 고구려 국가 귀속되는 고구려인 중에는 고구려족에 속하는 사람보다는 고구려족이 아닌 사람들이 훨씬 많았을 것이다. 그리고 고구려가 거대한 국가를 이루게 되면서, 고구려의 지배계급중에서도 고구려족이 아닌 사람들이 매우 많게 되었을 것이다.
22. 고구려의 초기 국가 형성과정에서 일어난 고구려족의 문화적 통합과정은?
-고구려가 초기국가로 발전하는 과정은 고구려를 구성하던 군장사회들이 독자적인 민족성을 상실하고 하나의 고구려족으로 통합되는 과정 이었다. 5개 군장사회의 연맹체로 출발한 고구려족은 계루부 중심으로 왕권을 확립하였다. 계루부 왕실에서는 각 군장사회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를 통해 각 군장사호의 실력자들을 중앙정부의 행정조직 속으로 편제시켜 나갔다. 이에 따라 각 군장사회들은 독자적 민족성을 많이 상실하고 고구려족으로 통합되어 발전하였다.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문화적 통합과정이 일어났다는 사실과 삼국시대에 고구려에 다수의 민족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은 분명히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고구려 족이 성립한 것은 초기국가 형성과정에서 다수의 군장사회들이 독자적 민족성을 상실하고 하나의 고구려 족으로 통합되었다.
23. 고구려의 영역이 확장되면서 어떤 민족들이 고구려제국에 포함되는가?
-초기의 고구려는 고구려족으로 구성된 국가이지만, 삼국 시대의 고구려는 고구려족뿐만 아니라 말갈마한선비한족거란 등 다양한 민족을 다스리는 국가였다. 고구려의 초기국가 형성과정에서 다수의 군장사회들이 독자적 민족성을 상실하고 하나의 고구려족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삼국시대에 고구려 지배하에 놓여 있던 다수의 민족들이 고구려족으로 완전히 통합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다수의 민족들인 비류, 비루, 다물도, 다물국, 행인국, 북옥저, 선비, 양맥국, 부여, 부여, 개마국, 구다국, 동옥저, 갈사부여국, 조나, 주나국 그리고 황룡국, 동해국, 말갈, 예맥, 마한 등 다수의 민족들이 고구려에 종속되었는데, 이러한 민족들 모두가 고구려족으로 통합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상당수의 민족들은 오랜 기간 동안 민족적 정체서을 잃지 않고 있었다. 그래서 고구려가 패망하여 분열될 때 까지 그들의 고유 민족성을 잃지 않고 있었다.
24. 동이(東夷)는 고대의 한민족(韓民族)을 의미하는가?
-중국 문헌에는 일찍부터 동이에 대한 기록이 나오고 있다. 황하중류에 살던 한족들들은 세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9.10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