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동맥경화증(ASO)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동맥경화증(AS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환을 앓았던 가족이 있는가?
-없다.
b. 과거력: 심근경색증, 고혈압, 기타 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가?
-있다. 한달 전 버거씨병 진단 받음
c. 현병력: 동맥장애 증상 - 안정시 통증,맥박감소
d. 기타증상이 있는가?
-“엄지발가락이 너무 아파요.”(통증척도 10점)
e. 투약상황 : 과거와 현재 투여한 약물은 무엇이며, 그 약의 투여방법과 목적, 섭취 양상은 어떠한가? 어떤 약물을 자주 사용했는가?
-없다.
f. 그 외 말초혈관 질환의 위험요인들이 있는가?
-흡연, 좌식 생활양식
②객관적 자료
a. 시진
-하지의 크기와 모양이 대칭인가? 대칭적이다.
-근육크기와 체모소실의 정도는? 정상적이다.
-피부색깔과 발톱의 두께는? 약간 보랏빛이고 발톱은 보통이다.
-하지상승시 피부색깔의 변화는? 밝아진다.
-혈관이 채워지는 시간의 변화는 있는지? 느리다.
b. 촉진
-말초맥박을 사정한다.
-촉지를 통해서 동맥경화증이 있는지 사정한다.
-혈전성정맥염의 여부를 검사한다.
c. 청진
-촉진, 청진 등의 방법으로 맥박을 찾기 어려울 때 도플러 초음파검사기를 이용한다.
d. 의학적 진단검사
-도플러 초음파 측정검사
-발목,팔 지수
3) Problem list
① 통증
② 피부손상의 위험성
4) 간호진단
① 말초혈관 손상과 관련된 통증
일시
간호사정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11/19
*주관적 사정: “엄지발가락이 너무 아파요.”(통증척도 10점)
*객관적 사정:
한달 전쯤 Buerger's disease Dx
BP: 151/102
Lt femoral atery stent insertion
*단기목표:
aspirin을 투여받은 대상자는
11/21까지 통증의 정도가 척도 10점에서 5점으로 내려갔다고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11/30까지 발가락의 통증없이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통증양상을 사정한다.
*통증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의 정도를 사정한다.
*의사지시하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약물의 효과를 사정한다.
*다리를 낮게 낮춰준다.
*통증경감을 위해 이용 가능한 사람과 자원을 확인한다.
*11/19일 의사의 처방에 따라
aspirin 100mg 경구 투여함
*통증척도점수를 매일 사정함
*가족이 대상자의 통증경험에 적절하게 반응하도록 돕는다.
* 금연교육을 한다.
*aspirin은 진통제로서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통증을 주관적인 것이므로 통증척도를 사정해야 알 수 있다.
*심리적인 안정이 통증경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Buerger's disease는 흡연과 많은 관련이 있다.
대상자는 진통제를 투여받고 11/20일 통증척도 7점으로 내려갔다고 말하였고,다리낮춤과 심리적 안정을 통해 11/21일 통증척도가 5점으로 내려갔다고 말하였다.
② 순환장애와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일시
간호사정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11/19
*주관적 사정:
“엄지발가락이 너무 아파요.
*객관적 사정:
Buerger's disease Dx
ASO Dx
*단기목표:
11/21 피부손상 없이 안위를 유지할 것이다.
*장기목표:
11/30까지 다리의 피부손상이 없도록 자가간호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매일 이환된 다리의 피부를 사정한다.
*활력징후와 말초맥박을 사정한다.
*체위를 유지한다.
*따뜻한 환경을 유지한다.
*자가간호를 위한 교육을 한다.
*11/19일부터 매일 왼쪽 다리를 중심으로 피부 사정함
*11/19일부터 하지를 낮춰줌
*항상 따뜻한 환경(21~23도)을 유지함
*11/21 순환장애에 대한 교육을 통해 질환의 이해를 돕고 자가간호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함
*매일 사정함으로써 손상의 조기발견을 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조기치료를 할 수 있다.
*동맥질환의 경우 하지를 낮춰준다.
*추운 환경에 노출되면 혈관이 수축될 수 있다.
*피부손상의 위험성이 있는 것이므로 퇴원 후에도 스스로 간호할 수 있어야 한다.
대상자는
11/21 질환의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고 말하였고, 자가간호를 실천할 수 있게 되었다.
Ⅲ. 결론
동맥경화증은 주로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침착하여 혈관의 탄력이 떨어지고, 혈전이 생기는 등 동맥이 좁아지는 현상이다. 일종의 노화 현상으로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노인에게서 볼 수 있다. 원인으로는 지질대사이상, 호르몬대사이상, 유전적소질, 식생활, 운동부족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동맥의 동맥류, 뇌혈관 뇌동맥경화증, 뇌출혈, 심장의 협심증, 신장의 신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등이 동맥경화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여러 원인이 서로 겹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동맥경화증이 발생하면 동맥이 좁아지므로, 혈액이 조직말단까지 충분히 도달하지 않아 조직이 괴사하기도 하며, 운동시 통증, 무감각, 마비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혈압측정, 요검사, EKG, 안저검사, 혈청지질,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측정 등을 종합하여 진단한다. 과로와 자극을 피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며,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제한하고 비타민, 단백질의 공급을 충분히 하면서 과식을 피하는 것이 동맥경화증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이미 동맥경화증이 상당 부분 진전되었을 경우에는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약을 복용하는 것도 좋다.
이번 케이스를 하면서 동맥계 질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책으로만 배웠던 간호를 직접 보니까 이해도 잘 되고 많은 것을 익힐 수 있어 좋았다. 정맥계 질환과 동맥계 질환의 차이점을 분명히 알게 되었고, 그에 따른 간호의 차이점도 알 수 있게 되었다. 항응고제를 쓸 때 PT와 PTT 확인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도 깨닫게 되었다. 학기 중 공부할 때 막연히 외웠던 것들이 실제로도 행해지고 그것을 실제로 관찰하게 되니 이해가 빨리 되고 신기했다.
※참고문헌
전시자 외 공저 성인 간호학-하 제4판 2005년, 현문사 (p.24~26)
http://www.medcity.com/jilbyung/dongmakkh.html
http://healthcare.joins.com/info/info_encyclopedia_article.asp?ecIDX=170
http://www.druginfo.co.kr/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09.11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