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의 개념, 화음계몽언해의 어휘 분석, 금강경삼가해의 어휘 분석, 계림유사의 어휘 분석에 관한 심층 분석(어휘, 화음계몽언해의 어휘분석, 금강경삼가해의 어휘분석, 계림유사의 어휘분석, 어휘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어휘의 개념, 화음계몽언해의 어휘 분석, 금강경삼가해의 어휘 분석, 계림유사의 어휘 분석에 관한 심층 분석(어휘, 화음계몽언해의 어휘분석, 금강경삼가해의 어휘분석, 계림유사의 어휘분석, 어휘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어휘의 개념

Ⅲ. 화음계몽언해의 어휘 분석
1. 어기조사
1) 열
2) 麽
2. 名詞
1) 吸(ㅁ+荒)
2) 各人
3. 動詞
1) 說
2) 惱
3) 勾
4) 是

Ⅳ. 금강경삼가해의 어휘 분석

Ⅴ. 계림유사의 어휘 분석
1. 계림유사(雞林類事)
2. 어휘상의 특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각기’, ‘各自’의 뜻으로 쓰인다. 반면에 화음에서는 ‘각인’이 세 번 나타나며, 이 세 번은 다 한 葉에, 같은 사람의 대화 내용이고 ‘이녁’으로 번역을 한다. ‘이녁’으로 쓰고 뒤에 ‘-니’와 ‘-이’가 오는 용례도 발견할 수 있다. 이 때의 ‘이녁’은 과연 어떤 의미로 해석을 해야 하는가? 그리고 뒤에 붙는 ‘-니’ 는 단순히 誤刻일 것인가 하는 의문점이 있다. 우리말 큰사전 4. ‘옛말과 이두’에서는 ‘이녁’을 ‘이쪽’, ‘그듸’로 해석하고, 금성판 국어대사전은 ‘하오’ 할 상대를 마주 대하고 얘기할 때 그를 조금 낮추어 이르는 인칭대명사로 해석한다. 그러나 이 세 용례의 ‘各人’은 漢語 원문 문맥을 살펴보면 ‘나’, ‘본인’으로 표현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3. 動詞
1) 說
‘說’은 화음에서 출현 빈도수가 101회로 많이 나타나는 어휘 중에 하나다. 이 자료에서 인용문의 ‘說是’와 ‘好說’의 용법 이외에 대부분이 ‘말하다’의 뜻으로 현대한어와 같이 쓰여진다. 이런 ‘말하다’의 뜻으로 쓰여진 용례들을 살펴보면 이들이 부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보인다. 현대 한어에서 ‘說’자 자리에 ‘告訴’나 ‘問’으로 대체하는 것이 더 정상적이다. 이런 현상은 현재 북경어를 배우는 한국인 학습자에게도 쉽게 생기는 착오이기도 하다. 이 문헌에서 유일하게 ‘告訴’로 쓰인 문장을 하나 발견할 수 있는데 언해문에서도 ‘고소하다’로 쓰여진다.
2) 惱
이 자료에서 ‘惱’자가 여덟 번 출현하고 각각 ‘말하다’, ‘일을 하다’ 그리고 ‘괴이하게 보다’ 세 가지로 언해한다. 이런 세 가지 ‘惱’의 의미는 한어대사전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사전 풀이 중에 ’麻煩, 打擾‘ 의 의미와 혹시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한다.
① 好說回來再惱罷 조흔 말이여 도라와 다시 말다<상:5b>
② 掌櫃的回來再惱罷 掌櫃的아 도라와 다시 말쟈<상:18b>
③ 我陪着老爺惱半天的話兒 老爺 모셔 半日 말엿시<상:35b>
④ 惱半天的口 半日을 말여<하:13a>
⑤ 這都是我惱的不對 이 다 가 일을 잘 못엿노라<상:16a>
⑥ 惱出一場大事 一場大事 져즐너 쥴 앗시리오<상:34b>
⑦ 險些惱出大難子 아야 하맛 트면 큰일 날번엿다<하:33b>
⑧ 恐他怪惱我們 저 푸건 제 우리 고이히 볼가하여<하:22a>
관화지남에서 출현하는 ‘惱’의 용례를 분석하면 현대한어처럼 ‘화내다, 원망하다’의 의미이다.
⑨ 我勸他忌烟, 他倒惱了我了<二, 60:5>
3) 勾
‘勾’는 세 문장에서 출현하는데 각각 ‘건너다’, ‘…된다‘ 등으로 다르게 언해된다. ①번 같은 경우, ‘過’자는 이미 ‘건너다’의 의미를 분담하기에 ‘勾’자의 정체를 알 수 없다. ②예문에서는 ‘勾引’, ‘勾結’에서 온 것이 아닌가 한다. 그리고, ③예문의 勾은 ‘()’자의 俗字이고 (일정한 정도, 기준, 수준에) ‘이르거나 도달한다’는 뜻이다.
① (거+ㅜ) 打那裏能勾過得去 어로좃 能히 건너가뇨<상:20a>
② () 那太監擡頭一看 그 太監이 머리 들어 번 보고
勾我拿銀子要買 날려 銀을 가저 사노라니<하:21b>
③ () 一顆大的七十二顆小的 한낫 큰거시오 일흔두낫 셔근거시
這是勾全套 이거시 겨오 왼벌이 되니<하:37b>
4) 是
화음에서 ‘是’는 209회 나타난다. 현대한어처럼 이 자료에서 ‘是’의 용법도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이 중에서 한 유형은 두 종류의 사물을 연계시켜 양자가 같거나, 후자가 전자의 종류, 속성 등을 설명하는 것을 나타내는 ‘ㅇㅇ是ㅇㅇ’(ㅇㅇ는…이다) 형태이다. 즉, ‘老是外來的貴客(너 밧그로 온 貴 客이니)<상:3b>’과 같은 유형이다. 이런 전형적인 유형 이외에 다음과 같이 특수한 용법을 발견할 수 있다.
① 三兄弟是咳在書房念書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9.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0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