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시민저널리즘의 개념
1. Aday
2. Lambeth
3. Parisi
4. Kurpius
Ⅲ. 시민저널리즘의 태동과 의의
1. 시민저널리즘 태동 배경
2. 시민저널리즘의 이론적 논쟁
Ⅳ. 시민저널리즘의 목표와 특징
Ⅴ. 시민저널리즘의 이론적 배경
1. 시민 저널리즘 구현을 위한 핵심 요소
2. 인터넷 신문의 시민기자 제도 도입 방식에 따른 시민 저널리즘 모델 유형
1) 기자 주도형 시민 저널리즘
2) 기자·시민 공동 주도형 시민 저널리즘
3) 시민 주도형 시민 저널리즘
Ⅵ. 시민저널리즘의 실천
Ⅶ. 미래 저널리즘의 전망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시민저널리즘의 개념
1. Aday
2. Lambeth
3. Parisi
4. Kurpius
Ⅲ. 시민저널리즘의 태동과 의의
1. 시민저널리즘 태동 배경
2. 시민저널리즘의 이론적 논쟁
Ⅳ. 시민저널리즘의 목표와 특징
Ⅴ. 시민저널리즘의 이론적 배경
1. 시민 저널리즘 구현을 위한 핵심 요소
2. 인터넷 신문의 시민기자 제도 도입 방식에 따른 시민 저널리즘 모델 유형
1) 기자 주도형 시민 저널리즘
2) 기자·시민 공동 주도형 시민 저널리즘
3) 시민 주도형 시민 저널리즘
Ⅵ. 시민저널리즘의 실천
Ⅶ. 미래 저널리즘의 전망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이 기사 작성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저널리즘은 물론 제1유형 및 제2유형의 시민 저널리즘과도 차별화 된다. 즉 시민이 주도하는 시민 저널리즘은 시민기자 제도의 도입을 통해 시민이 기사 작성을 주도하면서 토론 역시 일반 시민이 제공한 뉴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 같은 제3유형 시민 저널리즘 모델로는 이른바 현대사회의 주인인 시민이 언론의 주체가 되는 새로운 개념의 시민저널리즘을 표방하고 있는 <넷피니언>이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넷피니언>은 국내는 물론 세계에서 처음으로 실명 확인 절차를 거쳐 전문적인 직업기자 없이 오직 시민기자들만이 뉴스를 제작하는 순수 네티즌 언론으로 선보였다. <넷피니언>은 기존 언론이 갖고 있는 편집국이나 그와 관련된 부서가 없으며 단지 한사람의 운영자가 이른바 site-keeper로서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Ⅵ. 시민저널리즘의 실천
시민저널리즘의 이론적 기본토대를 제공한 양켈비치(Yankelovich)는 Comparing to Public Judment: Making Democracy Work in a Complex World에서 뉴스의 편집실이 어떻게 시민들의 결정을 도와줄 수 있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그는 깊이가 없고 쉽게 변하는 유행적인 여론9public Opinion)이 확고한 태도인 공중의 판단(Public Judment)으로 성숙하려면 다음의 세 단계를 거치게 된다고 본다.
첫 단계는 인식 고양(Consciousness Raising)이다. 인식고양은 공중이 이슈의 의미를 인식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신문이 이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걸러내어 이슈의 중요성을 선택, 강조하는 단계다. 즉 공중이 스스로 의제를 설정하도록 돕는 단계다. 따라서 신문은 사람들을 설득해서 친숙하지 못한 이슈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는 한편 시민들에게 우선권을 주어 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 시민들 주변을 보도의 초점으로 삼아야 한다. 그는 대부분의 저널리즘이 첫 번째 단계는 잘 수행되고 있다고 본다.
두 번째 단계는 심리학에서 빌려온 것으로 실행 완수(working through)단계다. 인식이 고양되었을 때 개인들은 변화에 대한 욕구에 직면한다. 사람들이 행위를 둘러싼 선택에 직면 했을 때 그것을 하기 전에 갈등과 미래 모호성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변화는 힘든 작업이다. 사람들이 수동적인 자세를 버리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으로의 변화과정이 실행완수(working though)단계이다. 이것을 위한 언론인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 이슈 줄이기(Reducing issue to choices)이다. 기자들은 공공정책에 대한 넓은 선택의 범위를 이해해야 할 뿐 아니라 공중의 가치를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아이디어도 제세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핵심가치를 간과한다.(plumbing to core values). 미국인들은 추상적인 수준에서 문제를 논의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지만 실제 대부분 이슈에 있어 갈등은 기술적인 것보다는 기본적인 가치에 관한 것이다. 언론이 이 갈등을 공개시키는 정도에 따라 공적 논의를 더 정직하게 만들고 사람들이 실행 완수하도록 해준다. 신문은 논쟁의 가장 기본적인 가치를 제시, 공중들이 자유롭게 토의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각 선택에 대한 비용과 결과를 설명한다. 언론은 각 선택에 대한 찬반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논의, 설명해야 한다. 사람들이 공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철저하고 현실적으로 보도해야 한다. 넷째, 전문가와 공중의 교량 역할이다. 신문은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언어를 일상언어로 변화시켜 전달하고 사람들의 선택에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하는 일들을 수행해야 한다. 전문가는 시민들에게 결정을 하는 데 필요한 것을 전달하고 시민들은 원하는 것을 전문가에게 말하는 쌍방커뮤니케이션을 언론이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토론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Faciltating deiberation). 시민들은 결정을 하기 전에 다른 사람들과 토론할 필요가 있다. 많은 사람들은 다른 인종, 다른 사회경제적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없다. 신문지면은 사회적, 인종적, 경제적 차별이 없이 토론 및 여론을 반영할 수 있는 시민사회의 몇 개 안되는 조직에 속하므로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 여섯째, 시민의식의 증진이다(Promoting civility). 언론은 시민들에게 사상의 자유시장과 공동체 작동에 도움이 도는 시민의식과 열린 마음(open mindness)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시민들이 행위를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마지막 단계는 성공적인 결말이다. 양켈로비치는 지적인 것 뿐 아니라 감정적이고 도덕적으로 안정적이고 책임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는 결심이 실행단계를 거쳐 성공적인 결말이 나와야 한다고 본다. 시민들의 좌절은 그들이 알고 토의하는 것과 실제 정책사이의 관계가 괴리 내지 깨어짐으로써 나타난다. 따라서 언론인들은 다음과 같이 함으로써 시민들의 의도가 실제 정책으로 결정되게끔 도와줄 수 있다.
1990년 이후 미국에서 시민저널리즘과 선거와 관련되어 진행된 프로젝트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디어연수기관인 <포인트 연구소(the Poynter Institute)>와 <시민저널리즘을 위한 퓨센터(The Pew Center for Civic journalism)>의 보고서에서는 시민단체의 등록(registering), 투표(voting), 공공행사에의 자발적인 참여(volunteering)등의 요인으로 시민 의식을 측정해보았을 때, 미국시민들이 점차로 공공생활을 멀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많은 정치. 언론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이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여겨졌다. 결국 공공생활에 시민들을 끌어들이려는 노력은 언론에서 시작되었다. 지역사회로 하여금 지역 공동체가 접한 문제는 그 지역 미디어와 지역사회 시민들이 공동으로 참여한 공공토론을 통해서 스스로 해결하도록 유도해 나가는 움직임들이 시작된 것이었다.
또한 노스캐롤라이나주의는 지역사회와 공동으로
Ⅵ. 시민저널리즘의 실천
시민저널리즘의 이론적 기본토대를 제공한 양켈비치(Yankelovich)는 Comparing to Public Judment: Making Democracy Work in a Complex World에서 뉴스의 편집실이 어떻게 시민들의 결정을 도와줄 수 있는지 그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그는 깊이가 없고 쉽게 변하는 유행적인 여론9public Opinion)이 확고한 태도인 공중의 판단(Public Judment)으로 성숙하려면 다음의 세 단계를 거치게 된다고 본다.
첫 단계는 인식 고양(Consciousness Raising)이다. 인식고양은 공중이 이슈의 의미를 인식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신문이 이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걸러내어 이슈의 중요성을 선택, 강조하는 단계다. 즉 공중이 스스로 의제를 설정하도록 돕는 단계다. 따라서 신문은 사람들을 설득해서 친숙하지 못한 이슈에 관심을 기울이게 하는 한편 시민들에게 우선권을 주어 그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 시민들 주변을 보도의 초점으로 삼아야 한다. 그는 대부분의 저널리즘이 첫 번째 단계는 잘 수행되고 있다고 본다.
두 번째 단계는 심리학에서 빌려온 것으로 실행 완수(working through)단계다. 인식이 고양되었을 때 개인들은 변화에 대한 욕구에 직면한다. 사람들이 행위를 둘러싼 선택에 직면 했을 때 그것을 하기 전에 갈등과 미래 모호성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변화는 힘든 작업이다. 사람들이 수동적인 자세를 버리고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으로의 변화과정이 실행완수(working though)단계이다. 이것을 위한 언론인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 이슈 줄이기(Reducing issue to choices)이다. 기자들은 공공정책에 대한 넓은 선택의 범위를 이해해야 할 뿐 아니라 공중의 가치를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는 아이디어도 제세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핵심가치를 간과한다.(plumbing to core values). 미국인들은 추상적인 수준에서 문제를 논의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지만 실제 대부분 이슈에 있어 갈등은 기술적인 것보다는 기본적인 가치에 관한 것이다. 언론이 이 갈등을 공개시키는 정도에 따라 공적 논의를 더 정직하게 만들고 사람들이 실행 완수하도록 해준다. 신문은 논쟁의 가장 기본적인 가치를 제시, 공중들이 자유롭게 토의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셋째, 각 선택에 대한 비용과 결과를 설명한다. 언론은 각 선택에 대한 찬반을 체계적인 방법으로 논의, 설명해야 한다. 사람들이 공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철저하고 현실적으로 보도해야 한다. 넷째, 전문가와 공중의 교량 역할이다. 신문은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언어를 일상언어로 변화시켜 전달하고 사람들의 선택에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하는 일들을 수행해야 한다. 전문가는 시민들에게 결정을 하는 데 필요한 것을 전달하고 시민들은 원하는 것을 전문가에게 말하는 쌍방커뮤니케이션을 언론이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토론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Faciltating deiberation). 시민들은 결정을 하기 전에 다른 사람들과 토론할 필요가 있다. 많은 사람들은 다른 인종, 다른 사회경제적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없다. 신문지면은 사회적, 인종적, 경제적 차별이 없이 토론 및 여론을 반영할 수 있는 시민사회의 몇 개 안되는 조직에 속하므로 이를 잘 활용해야 한다. 여섯째, 시민의식의 증진이다(Promoting civility). 언론은 시민들에게 사상의 자유시장과 공동체 작동에 도움이 도는 시민의식과 열린 마음(open mindness)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여 시민들이 행위를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마지막 단계는 성공적인 결말이다. 양켈로비치는 지적인 것 뿐 아니라 감정적이고 도덕적으로 안정적이고 책임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는 결심이 실행단계를 거쳐 성공적인 결말이 나와야 한다고 본다. 시민들의 좌절은 그들이 알고 토의하는 것과 실제 정책사이의 관계가 괴리 내지 깨어짐으로써 나타난다. 따라서 언론인들은 다음과 같이 함으로써 시민들의 의도가 실제 정책으로 결정되게끔 도와줄 수 있다.
1990년 이후 미국에서 시민저널리즘과 선거와 관련되어 진행된 프로젝트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디어연수기관인 <포인트 연구소(the Poynter Institute)>와 <시민저널리즘을 위한 퓨센터(The Pew Center for Civic journalism)>의 보고서에서는 시민단체의 등록(registering), 투표(voting), 공공행사에의 자발적인 참여(volunteering)등의 요인으로 시민 의식을 측정해보았을 때, 미국시민들이 점차로 공공생활을 멀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많은 정치. 언론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이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여겨졌다. 결국 공공생활에 시민들을 끌어들이려는 노력은 언론에서 시작되었다. 지역사회로 하여금 지역 공동체가 접한 문제는 그 지역 미디어와 지역사회 시민들이 공동으로 참여한 공공토론을 통해서 스스로 해결하도록 유도해 나가는 움직임들이 시작된 것이었다.
또한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추천자료
헤게모니 장으로서의 시민사회와 시민 미디어
정보사회에서의 민주주의 - 여론형성과 선거, 시민사회와 시민단체
[사조][시민단체사조][경영사조][교육사조][음악교육사조][서양연극사조][웰빙사조]사조와 시...
[1990년대]사회복지, 사회과학, 시민단체]1990년대의 사회복지, 1990년대의 사회과학, 1990년...
[마음가짐, 현대사회과학, 시민사회언론보도, 동성애자, 노인]현대사회과학에 대한 마음가짐,...
[민주화, 교육운동 민주화, 노동운동 민주화, 시민운동 민주화, 언론운동 민주화, 낙천낙선운...
[일본사회, 일본, 시민사회]일본사회와 시민사회, 일본사회와 정보화사회, 일본사회와 지식기...
[비영리조직경영론 공통] 우리나라 주요 시민단체의 지배구조 및 내부의사결정과정에 대해 논...
로크(John Locke)의 시민정부론 (존 로크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로크의 시민정부론)
지역사회의 비영리조직(NPO) 중 시민단체가 계속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의 필...
우수레포트[정책 네트워크] 시민 단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 정책 네트워크의 의의, 정책 네트...
(한국사회에서 공공영역으로서의 시민사회의 가능성) 한국사회에서 공공영역으로서의 시민사...
[자원봉사론] 시민사회 구축을 위한 자원봉사활동의 역할에 관해 설명하고 내가 할 수 있는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시민사회에 대하여 설명하고, 현대 사회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해 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