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기술, 축구] 축구의 모든 것(축구의 역사와 특성 및 축구의 기술과 규칙, 축구 전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축구기술, 축구] 축구의 모든 것(축구의 역사와 특성 및 축구의 기술과 규칙, 축구 전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축구의 정의

2. 축구의 명칭과 의미

3. 축구의 기원과 역사

4. 한국의 축구사

5. 축구의 특성

6. 축구경기의 심판
(1) 대기심판(The Fourth Official)
(2) 부심
(3) 주심의 권위
(4) 주심의 권한과 임무

7. 축구 규칙

8. 축구 전술 시스템
(1) 4-2-4 SYSTEM
(2) 4-3-3 SYSTEM
(3) 3-5-2 SYSTEM
(4) 2-3-5 SYSTEM
(5) W-M SYSTEM
(6) 1-9 SYSTEM
(7) 토탈사커(Total Soccer)

9. 축구에서의 선수 위치(포지션)
(1) 원톱 스트라이커
(2) 쉐도우 스트라이커
(3) 레프트윙
(4) 라이트윙
(5) 공격형 미드필더
(6) 수비형 미드필더
(7) 레프트윙백
(8) 라이트윙백
(9) 중앙수비수
(10) 스위퍼
(11) 골키퍼

10. 축구의 기술
(1) 킥
(2) 드리블링
(3) 볼 리프팅
(4) 패스
(5) 볼 컨트롤
(6) 슈팅
(7) 헤딩
(8) 태클

11. 축구 경기규칙
(1) 킥오프
(2) 스로인
(3) 코너킥
(4) 오프사이드
(5) 직접프리킥
(6) 간접프리킥
(7) 페널티킥

12. 축구장비 및 시설
(1) 축구공
(2) 경기장
(3) 유니폼
(4) 정강이 보호대

13. 축구용어

14. 참고자료

본문내용

규칙에 따라 경기를 진행하는데 조력한다. 주심은 부당한 간섭이나 부당한 행위를 한 부심을 그 임무에서 해임시키고 해당기관에 보고서를 제출한다.
(3) 주심의 권위
경기와 연관된 사항에 대한 주심의 판정은 최종적인 것이다. 주심은 경기를 재개하지 않았을 경우에 한하여 판정의 잘못을 자각하거나 부심의 조언에 따라 판정을 바꿀 수 있다. 주심은 경기규칙에 의거하여 내린 결정이나 경기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내린 결정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위해로부터 보호받아야 한다.
- 선수나 임원 혹은 관중에 의한 부상
- 재산상의 손해
- 개인, 클럽, 기업, 협회, 이와 유사한 단체에 의한 기타 손실이 결정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경기장 및 주변의 상태 혹은 기후상태에 따라 경기 진행 여부
- 합당한 이유에 의한 경기 포기
- 골포스트, 크로스바, 코너포스트 및 볼을 비롯하여 경기에 사용되는 설비나 장비상태에 관한 사항
- 관중의 경기방해나 관중석 내의 문제 발생시 중단 여부
- 부상선수의 치료를 위한 경기장에서의 후송여부
- 선수의 특정 복장이나 용구의 허용 여부
- 팀임원, 경기장 직원, 안전책임자, 사진기자, 기타 언론대표 등을 비롯한 특정인들의 경기장 부근에서 관전여부(주심의 재량)
- 경기 규칙에 의거하거나 경기를 주최하고 있는 대륙연맹, 국가협회, 연맹의 규칙 혹은 규정에 준하여 주심의 재량에 따라 내린 기타 결정
(4) 주심의 권한과 임무
주심은:
- 경기규칙을 시행한다.
- 부심, 대기심과 적절히 협조하여 경기를 관리한다.
- 볼이 규칙의 요구조건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 경기자의 장비가 규칙의 요구조건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 경기의 기록과 계시원의 역할을 한다.
- 경기 규칙 위반에 대하여 중지, 일시중단, 종료시킬 권한이 있다.
- 어떤 유형의 외부 방해를 이유로 경기의 중지,일시중단,종료시킬 권한이 있다.
- 주심의 견해로 경기자가 중상을 입었을 때 경기장에서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경기를 중지한다.
- 주심의 견해로 경기자가 경상이라면 볼이 아웃 오브 플레이 때까지 경기를 계속하도 록 허용한다.
- 경기자가 부상으로 인하여 출혈할 때에는 경기장에서 떠나게 한다. 그 경기자가 출 혈이 멈췄는지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며, 주심의 신호가 있어야만 경기장에 들어올 수 있다.
- 어드밴티지 경우, 반칙이 발생하였더라도 팀에 이득이 있을 때에는 경기를 계속하도록 허용하고 만일 그때 예상했던 이득이 실현되지 않았다면 최초의 반칙으로 처벌한다.
- 경기자가 동시에 한 가지 이상의 반칙을 범하였다면 더 심한 반칙으로 처벌한다.
- 경고와 퇴장 반칙을 저지른 선수에 대하여 징계조치를 즉시 취하지 않아도 되나 다 음 아웃 오브 플레이 때 반드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 책임있는 태도를 스스로 유지하지 못하는 팀임원들에 대하여 경기장이나 그 주변에 서 즉시 추방시키는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다.
- 그가 목격하지 못한 사건을 관련된 부심의 충고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 허가 받지 않은 사람의 경기장 입장을 불허한다.
- 경기의 중단 후 재개를 한다.
- 경기 전, 경기 도중, 경기 후에 발생된 기타 사건들과 경기자 및 팀임원에 대하여 어 떤 징계 조치를 했는지 등 정보가 포함된 경기보고서를 해당기관에 제출해야 한다.
7. 축구 규칙
① 인원 (Member)
각 팀은 11인 이내로 하며, 그 중에 1명은 골키퍼로 한다. 교체 선수는 한 경기 당 골키퍼를 포함해서 2인까지로 한다.
② 득점 (Score)
볼이 양쪽 골 포스트 사이, 크로스바의 아래에서 골라인을 완전히 넘었을 때 득점이 된다.
③ 드로 인 (Draw in)
지상 또는 공중에서 볼이 터치라인을 완전히 넘었을 때 볼에 최후로 접촉한 경기자의 상대편 팀의 경기자가 볼이 터치라인을 넘은 지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볼을 던지는 것. 드로잉으로 직접 득점할 수는 없다. 두 발을 완전히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던져야하며 이를 어기면 볼은 상대편에 넘어간다.
④ 골 킥 (Goal kick)
공격 팀 선수에게 마지막으로 접촉된 볼이 골라인을 넘었을 때 수비 팀에 주어지는 골 에어리어 안에서의 간접 프리킥을 말한다.
⑤ 코너 킥 (Coner kick)
볼이 수비 팀에 의해 수비 팀 골라인을 완전히 넘었을 때, 공격 팀이 수비 팀 코너 에어리어 내에 볼을 놓고 찬다. 코너킥은 직접 득점할 수 있다.
⑥ 프리킥 (Free-Kick)
어느 한 팀이 파울을 범했을 경우, 상대팀에 직접 프리킥 또는 간접 프리킥이 주어진다. 직접 프리킥은 득점할 수 있으나, 간접 프리킥은 킥을 한 경기자 외의 경기자에 접촉하지 않으면 득점이 되지 않는다. 프리킥을 할 때는 상대팀은 킥을 하는 지점에서 최소 9.15m 이상 떨어져야 한다.
⑦페널티 킥 (Penalty-Kick)
수비 팀이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서 반칙을 범해 공격 팀에게 직접 프리킥이 주어졌을 때 공격 팀은 골과 11m 떨어진 페널티 마크에서 킥을 하게 된다. 이 때 모든 경기자는 페널티 에어리어 밖, 페널티 마크로부터 9.15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⑧오프 사이드 (Off-Side)
공격 팀 선수가 볼을 패스하는 순간 수비 팀 골라인에서 볼보다 가까운 위치에 수비 팀 선수는 한 명도 없는 반면 공격 팀 선수가 있는 경우 오프사이드가 된다. 단, 이 선수가 하프라인과 자기 팀 엔드라인 사이에 있을 경우와, 골 킥코너킥드로잉된 볼 또는 주심이 드롭한 볼 을 직접 받으려 할 때는 오프사이드가 되지 않는다. 오프사이드 반칙이 발생하면 상대팀에 간접 프리킥이 주어진다.
1) 직접 프리킥이 주어지는 반칙
① 홀딩
상대팀 선수의 유니폼이나 몸을 붙잡는 반칙.
② 핸들링
팔과 손을 사용하여 고의로 볼을 처리하는 반칙.고의가 아닌 핸들링은 반칙이 아니나, 팔이 몸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반칙으로 처리될 수 있다.
③ 푸싱
상대를 뒤에서 밀거나, 팔꿈치로 미는 반칙.
④ 트리핑
상대의 발을 걸어 넘어뜨리거나, 헤딩하려고 뛰어오른 상대의 아래에 몸을 넣어 상대를 방 해 하는 반칙.
⑤ 스트라이 킹
상대를 치거나 때리는 반칙.
⑥ 킥킹
상대를 차는 반칙.
⑦ 점핑
  • 가격1,4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9.10.2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5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