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간호사정
신체사정
약물
검사
2)간호진단
신체사정
약물
검사
2)간호진단
본문내용
말라리아, 용혈, type이 다른 혈액 수혈, 독성약물 복용
혈액응고
검사명
정상범위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9/8
PT sec
10.8-13.5
[sec]
10.7
증가: 혈액질환, vit K 결핍, 간염, 경화증, 급성 독성 간괴사
PT %
78-112
[%]
106
PT INR
0.89-1.20
0.97
aPTT
24.4-37.7
[sec]
27.2
내인계 응고기전에만 영향을 미치는 VIII, IX, XI, XII, Fletcher factor, Fitzgerald factor의 유전, 특히 hemophilia A & B 및 후천적 응고 결핍시 연장
2008.9.8
Chest PA:
The heart is enlarged. There is no active lesion in the thorax. Other are not remarkable.
2) 간호진단
(1)가능한 간호진단 목록문제번 호
간호진단목록
발생일
해결일
서명
1
통증
2008.9.8
2008.9.9
2
신체손상 위험성
2008.9.8
2008.9.8
3
질병 및 치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2008.9.8
4
활동의 지속성 장애 위험성
2008.9.8
(2)간호과정 적용
#1.간호진단
질환과 관련된 통증 (dizziness giddiness)
일시:2008.9.9
주관적 자료
“주변이 빙 도는 것 같어”
“어지러워”
얼굴샐이 창백하고 얼굴찡그림
객관적 자료
①두통과현훈에 대한 통증평가도: 10점
②Bonaling-A 50mg tab, Vasstinan tab 20mg 9/9 11AM투약됨
③통증을 말로 표현함
간호목표
대상자는 dizziness가 감소되었음을 표현한다.
간호계획
①dizziness 의 양상을 사정한다.
②통증유발 요인이나 악화요인을 확인하여 제거시킨다
③지속적으로 신경학적인 상태를 관찰한다
④혈중전해질 결과를 확인한다.
⑤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⑥최대한으로 안도감을 주며, 혼자있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①기술적 척도, 숫자척도는 가장 개인적으로 통증을 측장한다(수문사,기본간호학2.p872)③
⑤통증 반응 사정기본은 자율신경계가 작용되는 징후를 측정하는것이다. 불편함을 표현하거나 통증을 반영하는 행위가 나타나면 V/S를 측정해야한다.통증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심박동수, 호흡수, 혈압이 증가하므로 통증발생 전에 기록된 활력징후 측정치와 비교해 보아댜 한다.(수문사. 기본간호학 2 p598)
⑥통증을 가진 사람은 외로움을 느낄 수 있다. 통증이 지속되어도 사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외로움과 두려움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수문사 기본간호학 2 p599)
간호수행
①dizziness 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10분마다 있음, subside 되도 머리가 띵함
②통증 악화요인은 활동했을시 누워있을 때보다 심하다고하여 안정을 취하게하였다
③지속적으로 신경학적인 상태를 관찰하였다
④통증유발요인이나 악화요인을확인하여 제거시킨다
⑤혈중전해질 결과를 확인하였다.
전해질중 특별히 이상있는것없음
⑥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활력징후
시간
혈압
맥박
호흡
체온
SpO2
PM 5:35
157/77
70회
21회
37.3
PM 6:30
138/93
62회
34회
100%
PM 7:34
149/66
63회
24회
100
PM 8:15
159/73
70회
100
⑦대상자의 모니터를 자주 확인하고 계속 관찰하였다
평가
대상자가 통증평가에서 10점에서 5점으로 낮아졌다고 표현하였다.
따라서 이 간호진단은 달성되었다고 본다.
#2.간호진단
기동력장애와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시력.청력,가동력,반사,순환 그리고 판단력과 기억력등의 생리적 변화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많아진다. (수문사 기본간호학 2 p733)
일시:2008.9.9
주관적 자료
일어나서 앉아보라고 하자
“돌아서 손으로 짚고 일어나야대 안그럼 힘들어”
Dr가 몇발자국 걸어보세요 하자 “ 잡아줘”
객관적 자료
① dizziness giddiness
②FTN(finger to nose test)시 손떨림( tremor) 보임
③ 고령의 나이 :83세
④ 과거 넘어져 왼쪽하지 손상 경험
간호목표
대상자는 외부의 신체손상이 없다.
간호계획
①기동력을 사정한다
②정기적인 순회 및 침상난간을 올려준다.
③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침상에서 일어나려고 할때는 발을 침대 밑으로 내린상태에서 천천히 일어나도록 한다
⑤주변환경을 정돈하고 위험한물건들은 제거한다
②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과 계획 p148)
④부동환자나 오랜 침상안정을 취한 환자는 혈액공급을 평형되게 하는 자율 신경계의 능력이 저하되어 체위성 저혈압의 위험에 놓이게 된다(수문사. 기본간호학 2 p756)
간호수행
①기동력을 사정하였다
②정기적인 순회 및 침상난간을 올려주었다.
③sheet를 덮어주고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침상에서 일어나려고 할때는 발을 침대 밑으로 내린상태에서 천천히 일어나도록 설명하였다
⑤주변 라인등을 정리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신체손상이 없으므로 이 간호진단의 목적은 달성되었다고 본다.
#3. 간호진단
질병 및 치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일시:2008.9.9
주관적 자료
“(다니던 병원)의사선생님이 설명을 해주지 않아서 무슨 약인지는 모르고 먹고 있는 것은 있어요” -보호자
“원래 심장이 안좋다는건 알고계셨죠?” “응” (대상자)
“어떻게 안 좋으신지는 자세히는 모르세요” (보호자)
객관적 자료
①보호자가 치료과정에 대해 궁금해 함
②수술년도 검사년도를 정확히 기억해내지 못함
간호목표
대상자는 질병과정 및 치료, 약물, 추후관리의 필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하며 협조한다.
간호계획
①환자의 질병 및 치료과정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②협심증의 유형에 대해 설명한다
③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대한 효과. 부작용 등에대해 설명한다
④진행될 치료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⑤추후관리의 시기, 방법,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⑥의문사항에 대해 질문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질문에 대답한다.
⑦환자교육에 보호자를 포함시키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설명한다
평가
계획은 이루어 졌으나 수행을 하지 못하여 이 간호진단은 달성되지 못하였다.
혈액응고
검사명
정상범위
검사결과
임상적 의의
9/8
PT sec
10.8-13.5
[sec]
10.7
증가: 혈액질환, vit K 결핍, 간염, 경화증, 급성 독성 간괴사
PT %
78-112
[%]
106
PT INR
0.89-1.20
0.97
aPTT
24.4-37.7
[sec]
27.2
내인계 응고기전에만 영향을 미치는 VIII, IX, XI, XII, Fletcher factor, Fitzgerald factor의 유전, 특히 hemophilia A & B 및 후천적 응고 결핍시 연장
2008.9.8
Chest PA:
The heart is enlarged. There is no active lesion in the thorax. Other are not remarkable.
2) 간호진단
(1)가능한 간호진단 목록문제번 호
간호진단목록
발생일
해결일
서명
1
통증
2008.9.8
2008.9.9
2
신체손상 위험성
2008.9.8
2008.9.8
3
질병 및 치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2008.9.8
4
활동의 지속성 장애 위험성
2008.9.8
(2)간호과정 적용
#1.간호진단
질환과 관련된 통증 (dizziness giddiness)
일시:2008.9.9
주관적 자료
“주변이 빙 도는 것 같어”
“어지러워”
얼굴샐이 창백하고 얼굴찡그림
객관적 자료
①두통과현훈에 대한 통증평가도: 10점
②Bonaling-A 50mg tab, Vasstinan tab 20mg 9/9 11AM투약됨
③통증을 말로 표현함
간호목표
대상자는 dizziness가 감소되었음을 표현한다.
간호계획
①dizziness 의 양상을 사정한다.
②통증유발 요인이나 악화요인을 확인하여 제거시킨다
③지속적으로 신경학적인 상태를 관찰한다
④혈중전해질 결과를 확인한다.
⑤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⑥최대한으로 안도감을 주며, 혼자있는 시간을 감소시킨다.
①기술적 척도, 숫자척도는 가장 개인적으로 통증을 측장한다(수문사,기본간호학2.p872)③
⑤통증 반응 사정기본은 자율신경계가 작용되는 징후를 측정하는것이다. 불편함을 표현하거나 통증을 반영하는 행위가 나타나면 V/S를 측정해야한다.통증이 시작되는 초기에는 심박동수, 호흡수, 혈압이 증가하므로 통증발생 전에 기록된 활력징후 측정치와 비교해 보아댜 한다.(수문사. 기본간호학 2 p598)
⑥통증을 가진 사람은 외로움을 느낄 수 있다. 통증이 지속되어도 사랑하는 사람이 있으면 외로움과 두려움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수문사 기본간호학 2 p599)
간호수행
①dizziness 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10분마다 있음, subside 되도 머리가 띵함
②통증 악화요인은 활동했을시 누워있을 때보다 심하다고하여 안정을 취하게하였다
③지속적으로 신경학적인 상태를 관찰하였다
④통증유발요인이나 악화요인을확인하여 제거시킨다
⑤혈중전해질 결과를 확인하였다.
전해질중 특별히 이상있는것없음
⑥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활력징후
시간
혈압
맥박
호흡
체온
SpO2
PM 5:35
157/77
70회
21회
37.3
PM 6:30
138/93
62회
34회
100%
PM 7:34
149/66
63회
24회
100
PM 8:15
159/73
70회
100
⑦대상자의 모니터를 자주 확인하고 계속 관찰하였다
평가
대상자가 통증평가에서 10점에서 5점으로 낮아졌다고 표현하였다.
따라서 이 간호진단은 달성되었다고 본다.
#2.간호진단
기동력장애와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시력.청력,가동력,반사,순환 그리고 판단력과 기억력등의 생리적 변화 때문에 사고의 위험이 많아진다. (수문사 기본간호학 2 p733)
일시:2008.9.9
주관적 자료
일어나서 앉아보라고 하자
“돌아서 손으로 짚고 일어나야대 안그럼 힘들어”
Dr가 몇발자국 걸어보세요 하자 “ 잡아줘”
객관적 자료
① dizziness giddiness
②FTN(finger to nose test)시 손떨림( tremor) 보임
③ 고령의 나이 :83세
④ 과거 넘어져 왼쪽하지 손상 경험
간호목표
대상자는 외부의 신체손상이 없다.
간호계획
①기동력을 사정한다
②정기적인 순회 및 침상난간을 올려준다.
③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침상에서 일어나려고 할때는 발을 침대 밑으로 내린상태에서 천천히 일어나도록 한다
⑤주변환경을 정돈하고 위험한물건들은 제거한다
②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진단과 계획 p148)
④부동환자나 오랜 침상안정을 취한 환자는 혈액공급을 평형되게 하는 자율 신경계의 능력이 저하되어 체위성 저혈압의 위험에 놓이게 된다(수문사. 기본간호학 2 p756)
간호수행
①기동력을 사정하였다
②정기적인 순회 및 침상난간을 올려주었다.
③sheet를 덮어주고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④침상에서 일어나려고 할때는 발을 침대 밑으로 내린상태에서 천천히 일어나도록 설명하였다
⑤주변 라인등을 정리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신체손상이 없으므로 이 간호진단의 목적은 달성되었다고 본다.
#3. 간호진단
질병 및 치료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
일시:2008.9.9
주관적 자료
“(다니던 병원)의사선생님이 설명을 해주지 않아서 무슨 약인지는 모르고 먹고 있는 것은 있어요” -보호자
“원래 심장이 안좋다는건 알고계셨죠?” “응” (대상자)
“어떻게 안 좋으신지는 자세히는 모르세요” (보호자)
객관적 자료
①보호자가 치료과정에 대해 궁금해 함
②수술년도 검사년도를 정확히 기억해내지 못함
간호목표
대상자는 질병과정 및 치료, 약물, 추후관리의 필요성을 이해한다고 말하며 협조한다.
간호계획
①환자의 질병 및 치료과정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②협심증의 유형에 대해 설명한다
③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대한 효과. 부작용 등에대해 설명한다
④진행될 치료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⑤추후관리의 시기, 방법,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⑥의문사항에 대해 질문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질문에 대답한다.
⑦환자교육에 보호자를 포함시키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설명한다
평가
계획은 이루어 졌으나 수행을 하지 못하여 이 간호진단은 달성되지 못하였다.
추천자료
신결석(신장 척출술) 케이스 레포트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케이스스터디
요로결석(ureter stone) 케이스 (CASE STUDY) 입니다
급성 세기관지염 (acute bronchiolitis) 케이스 스터디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케이스
지주막하 출혈(SAH) 케이스 스터디
아동 Pneumonia(폐렴) 케이스
협심증(Angina pectoris) 케이스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케이스 최종 완성
폐결핵 (Pulmonary Tuberculosis) 케이스
뇌동정맥기형 (Arteriovenous Malforma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뇌동정맥기형 원인,...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case study
심부전(heart failur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호흡기제거에 대한 부적응, 피...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가정간호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