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일본의 이해 정리노트(기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일본의 이해 정리노트(기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⑥ 무침 → ⑦ 장아찌 → ⑧ 절임 → ⑨ 구운 생선 → ⑩ 밥과 된장국
4) 생선류
(1) 사시미
① 재료의 신선함을 살리는 요리의 대표
② 날생선의 살을 도려내어 얇게 저민 것을 와사비를 품 간장에 찍어 먹는 것
③ 참치, 피조개, 성개알, 연어알, 방어, 연어, 새우, 조개, 꽁치
(2) 스시(생선 초밥)
① 생선을 부패를 막기 위해 생선에 밥과 소금을 절여 저장한 후, 생선만 먹었던 음식
② 에도시대 이후, 스(초)를 사용 → 밥·생선을 같이 먹음
③ 종류 : 니기리즈시(일반적 형태의 초밥), 데마키즈시(김으로 만 초밥), 노리마키(김밥), 이나리즈시(유부초밥), 오시즈시 등
5) 면류
(1) 우동과 소바
① 우동 - 밀가루, 관서(교토, 오사카)
② 소바 - 메밀 + 밀가루, 관동(도쿄)
⇒ 국물은 똑같으나 밀가루 국수를 넣느냐, 메밀 국수를 넣느냐에 따라 우동과 소바로 구분
③ 계절에 따라 뜨거운 국물에 말아먹거나 건진 면을 시원한 츠유(간장소스)에 담갔다가 먹음.
④ 우동의 종류 : 기츠네 우동(유부), 다누키 우동(튀김가루), 나베야키 우동(무쇠 냄비 이용), 츠크미 우동(날계란), 덴푸라 우동(새우·야채 튀김)
⇒ 우동 위에 어떤 재료를 얹어서 만드느냐에 따라 구분
⑤ 소바의 종류 - 자루소바(대나무 그릇 위에 녹차로 만든 면으로 만든 소바)
(2) 라멘
① 중국에서 전해진 라면
②생라면(밀가루 + 계란 + 소금 + 물)을 삶아 간장으로 맛을 낸 국물, 된장으로 맛을 낸 국물 등
기본적으로 된장, 간장, 소금으로 맛을 낸다.
③ 라멘의 종류 : 쇼유라멘(간장), 미소라멘(된장), 쨔슈멘, 돈코츠라멘
5) 육류
(1) 스키야키
① 8세기 불교사상 전래 → 소고기 금지
② 메이지 시대 → 서양요리의 전래, 소고기 판매점 개설
③ 스키 : 농기구 가래(가래 위에 구워서 몰래 먹었다에서 유래)
(2) 샤부샤부
① 얇게 썬 고기를 끓는 국물에 살짝 담갔다가 간장소스, 깨소스에 찍어먹는 음식
② '샤부샤부' : 끓는 물에 고기를 흔들 때 나는 소리
6) 나베요리와 화의 문화
(1) 나베요리 : 냄비 안에 국물과 재료를 넣고 따뜻하게 끓인 후 적당량을 자신의 식기에 덜어 먹음
(2) 화의 문화
① 일본문화에서 '화(和)'의 중시 ≠ 개인마다 한 상, 개인접시
② 스키야키, 샤부샤부, 나베요리 → '화(和)의 문화'
7) 기타
(1) 돈부리모노 - 덮밥과 유사
(그릇 - 우리나라의 탕발이라는 말이 일본으로 전래되어 만들어 진 말)
① 챠왕 대신 돈부리에 밥을 담고 그 위에 여러 가지 재료를 얹음.
② 종류 : 덴동(튀김을 밥에 얹어서), 우나동(장어를 밥에 얹어서), 오야코동(닭고기와 계란을 버무려서 밥에 얹어서)
(2) 덴푸라 : 야채나 생선을 기름에 튀기는 요리
① '덴푸라' : 16세기 전국시대 유럽인들에게서 명칭 유래(포르투갈어로 템페로)
② 덴푸라 : 밀가루와 계란 푼 물에 담갔다가 튀김
후라이 : 밀가루를 직접 묻혀 튀김
③ 한 번에 한 가지씩, 아삭아삭한 맛
(3) 츠케모노 : 절여서 삭혀 먹는 보존식(일본식 백김치)
① 다쿠앙 : 건조시킨 무를 쌀겨와 소금에 담근 것
② 우메보시 : 매실을 소금 절였다가 햇빛에 말리기를 반복한 것
(4) 오무스비( = 오니기리)
: 주먹밥, 삼각형·원형
우메보시·명란젖 등을 넣고 김으로 싼 음식
(5) 에키벤 : 역(에키)에서 파는 도시락(벤토)
· 1885년 주먹밥 2개와 단무지를 대나무 잎에 싸서 판매
· 지역마다 특산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에키벤 판매
(6) 낫토 : 대두를 삶아서 짚으로 만든 통에 넣고 낫토균을 번식시켜 만든 음식(청국장과 유사)
- 항암효과에 특효라 하여 전세계에서 각광받고 있다.
3. 주 문화
1) 주택사정
※ 20년 전에 유럽공동체에서 발간한 '일본백서'라는 책에 일본은 토끼장과 같은 집에서 살면서 일에 중독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열악한 주택사정
⇒ 실제로는 그러지 아니하다.
구분
1958년
1968년
1978년
1988년
1999년
총주택수
1,793만
2,559만
3,545만
4,201만
5,022만
총세대수
1,865만
2,532만
3,284만
3,781만
4,433만
1세대당 주택수
0.96채
1.01채
1.08채
1.11채
1.13채
· 주택보급률 - 100%를 넘어섬
· 일본 사람들의 1인당 집 면적이 90평방미터(약 27평)를 넘어섰다.
· 한 가구당 평균 방의 개수가 4.5개
⇒ 열악하지 않다.
2) 일본 전통가옥의 특징(해양성 기후 : 고온다습 / 지진 등의 재해)
(1) 전통가옥의 재료 : 종이, 나무 - 화재에 취약
(2) 일본의 고상식 주택
① 습기 방지
② 지면보다 2∼30cm 높은 방바닥
3) 일본 가옥
※ 란마
(1) 방과 방의 경계 윗 부분에 통풍·채광을 목적으로 설치
(2) 격자나 틈이 보이도록 성기게 생긴 장식
※ 도코노마
(1) 방 벽면에 족자와 꽃꽂이를 장식하는 곳(중국 선종의 양식에서 유래)
(2) 주위보다 한단 높게 되어 있음
※ 다타미
(1) 헤이안 시대부터 사용, 무로마치 시대부터 방 전체에 깔았다.
(2) 다타미 1장(1조) : 90cm × 180cm(반평)
→ 다타미 2장(2조)이 한평
⇒ 보통 4.5장(4.5조) - 가장 작은 규모의 방
6장(6조) - 규모가 큰 방
※ 후스마
(1) 다타미 방의 구분, 벽장의 문으로 사용 ⇒ 벽의 대용(통풍, 채광X)
(2) 칸막이로서의 기능, 디자인의 아름다움
※ 쇼지(집 안과 밖을 구분)
(1) 일종의 미닫이 문
(2) 나무 테두리 안에 가는 나무 격자를 끼우고 종이를 바른 문
(3) 채광을 고려 → 문을 닫아도 부드러운 빛이 들어옴.
※ 카와라(기와 지붕)
(1) 카와라부키 : 전통 기와 지붕
(2) 오니 카와라 : 귀신문양의 기와 - 잡귀 퇴치
※ 코타츠
일본은 겨울이 많이 춥지 않기 때문에(북해도 제외) 난방장치가 없으나 유일한 장치로 코타츠를 이용.
(1) 목재 테이블을 이불을 덮고 그 안에 화로를 넣어둔 것
※ 이로리(취사 + 난방)
(1) 방 중앙 마루를 파고 불을 지핌
(2) 지자이카기 : 주전자를 이로리 위해 걸어놓고 따뜻한 물을 마시게 함.
(3) 로바다야키 : 일본식 구이 식당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9.11.02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