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그렇다면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분류한다.
뇌졸중은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분류한다.
본문내용
다.
●뇌혈류검사는 뇌로 가는 혈류를 측정하고 이상을 발견한다.
●검안경 검사법은 고혈압의 징후와 망막 동맥의 죽상경화성 변화를 보여준다.
●뇌파검사는 대뇌피질의 경색 부위의 감소된 전기적 활동을 찾아내고 특히 CT촬영 결과가 결정적이지 않은 경우 유용하다. 또한 이것은 뇌졸중으로부터 다른 발작을 구별해낸다.
●안혈량측정법은 눈의 혈류와 경동맥 혈류를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뇌졸중의 관리와 치료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관리
1. 급성처치
-활력기능의 유지-기도, 호흡, 산소화, 순환유지
-용량증가제를 사용하여 확산을 돕고 혈액을 희석시킨다.
-ICP 상승을 관리한다.
-경색징후 3~5일경에 최고에 달하는 뇌부종 감소를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다.
-혈관경련 및 혈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칼슘통로차단제를 투여한다.
2. 후속처치
-항 응고제 사용으로 인한 출혈유무를 확인한다.
-Ticlid같은 혈소판 억제제를 사용한다.
-경련성 마비를 위해 항경련제를 사용한다.
-항우울제를 사용하여 발작후의 우울증세를 치료한다.
-물리치료와 재활치료계획을 세운다.
치료
뇌졸중의 치료에는 위험요인을 줄이고 언어장애와 마비 같은 특수한 결손에 환자가 적응하도록 돕기위해 신체적 재활, 식이요법과 약물요법이 포함된다.
약물요법
뇌졸중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손상된 뇌조직의 순환을 회복시키고 뇌 손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허혈성 뇌졸중 후 첫 3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재 결합조직 프라스미노겐 활성제와 같은 혈전용해요법
●간질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phenytoin이나 phenobarbital과 같은 진경제
●두개강내압을 증가시키는 긴장을 예방하기 위해 docusate sodium과 같은 대변 완화제
●뇌부종을 최소화하기 위한 dexamethasone과 같은 corticosteroids
●혈전성 뇌졸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heparin, warfarin, 그리고 ticlopidine과 같은 항응고제
●출혈성 뇌졸중 후에 뒤따를 두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codeine과 같은 진통제
수술요법
뇌졸중의 원인과 범위에 따라 환자는 수술을 받을 수도 있다. 혈종을 제거하기 위해 개두술을 할 수 있고 내부 동맥벽에서 동맥경화성 프라그를 제거하기 위해 동맥내막 절제술을 할 수 있고 또한 폐색이나 협착으로 인해 막혀있는 동맥을 우회하기 위해 두 개와-두개내 우회술을 할 수 있다. 뇌척수액을 배액하기 위해 뇌실의 도관술을 할 수도 있다.
뇌졸중 대상자의 간호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하자.
간호사정
-신경계 flow sheet를 작성한다.
-신경계 손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정신상태, 뇌신경기능, 감각, 방광조절에 이상이 있는지를 사정한다.
-배뇨와 배변상태를 모니터한다.
-항응고제 사용의 효과를 검사한다.
-정신상태 및 정신기능수준을 자주 관찰한다.
간호진단
-신경계 손상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운동성 손상과 관련된 운동장애
-뇌손상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뇌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언어소통 장애
-편마비/마비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목욕, 옷 입기, 용변보기)
-영양부족(식사, 저작, 연하장애와 관련된 신체요구량 부족)
-운동/감각부족과 관련된 배뇨장애
-발작으로 인한 인지 및 행동상의 후유증, 불운한 질병, 간호제공자의 부담과 관련된 가족기능 장애
간호중재
A. 낙상과 기타 손상방지
1. 급성기 동안 (뇌졸중 발생 후 48~72시간)은 침대머리를 약간 올려준 상태로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2. 뇌의 산소공급을 활발히 하기위해 급성기 동안은 처방된 대로 산소를 투여한다.
3. 기본적인 신체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호흡상태, 활력징후, 소변량등을 주의 깊게 자주 사정한다.
4. 급성기 후, 환자의 의식이 돌아오기 시작하면 환자의 인지 사정, 환자의 욕구충족을 위해 계속적으로 살펴야 한다.
5. 환자를 안정시키도록 한다.
B.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방지
1. 뇌졸중 발병 후 오랜 침대생활 동안 발 지지대를 대주어서 발의 올바른 굴곡을 유지한다. -foot drop, 발꿈치 길이 단축, 이상굴곡방지
2. 경련이 있으면 발 지지대의 사용을 피한다.-경련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경련이 있은 후 발의 굴곡부분에 지나친 압력을 피한다.
4. 사지를 기능적 위치로 유지시킨다.
-필요할 경우 관절의 위치를 적절히 유지하기 이해 부복이나 지지대를 이용한다.-움직임을 감소시키고 경련성 근육의 자극을 적게한다.
-대전자 받침을 관골부터 허벅지 중간정도까지 받쳐서 환자가 똑바로 누워 있을
●뇌혈류검사는 뇌로 가는 혈류를 측정하고 이상을 발견한다.
●검안경 검사법은 고혈압의 징후와 망막 동맥의 죽상경화성 변화를 보여준다.
●뇌파검사는 대뇌피질의 경색 부위의 감소된 전기적 활동을 찾아내고 특히 CT촬영 결과가 결정적이지 않은 경우 유용하다. 또한 이것은 뇌졸중으로부터 다른 발작을 구별해낸다.
●안혈량측정법은 눈의 혈류와 경동맥 혈류를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뇌졸중의 관리와 치료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관리
1. 급성처치
-활력기능의 유지-기도, 호흡, 산소화, 순환유지
-용량증가제를 사용하여 확산을 돕고 혈액을 희석시킨다.
-ICP 상승을 관리한다.
-경색징후 3~5일경에 최고에 달하는 뇌부종 감소를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다.
-혈관경련 및 혈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칼슘통로차단제를 투여한다.
2. 후속처치
-항 응고제 사용으로 인한 출혈유무를 확인한다.
-Ticlid같은 혈소판 억제제를 사용한다.
-경련성 마비를 위해 항경련제를 사용한다.
-항우울제를 사용하여 발작후의 우울증세를 치료한다.
-물리치료와 재활치료계획을 세운다.
치료
뇌졸중의 치료에는 위험요인을 줄이고 언어장애와 마비 같은 특수한 결손에 환자가 적응하도록 돕기위해 신체적 재활, 식이요법과 약물요법이 포함된다.
약물요법
뇌졸중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약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손상된 뇌조직의 순환을 회복시키고 뇌 손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허혈성 뇌졸중 후 첫 3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재 결합조직 프라스미노겐 활성제와 같은 혈전용해요법
●간질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phenytoin이나 phenobarbital과 같은 진경제
●두개강내압을 증가시키는 긴장을 예방하기 위해 docusate sodium과 같은 대변 완화제
●뇌부종을 최소화하기 위한 dexamethasone과 같은 corticosteroids
●혈전성 뇌졸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heparin, warfarin, 그리고 ticlopidine과 같은 항응고제
●출혈성 뇌졸중 후에 뒤따를 두통을 경감시키기 위한 codeine과 같은 진통제
수술요법
뇌졸중의 원인과 범위에 따라 환자는 수술을 받을 수도 있다. 혈종을 제거하기 위해 개두술을 할 수 있고 내부 동맥벽에서 동맥경화성 프라그를 제거하기 위해 동맥내막 절제술을 할 수 있고 또한 폐색이나 협착으로 인해 막혀있는 동맥을 우회하기 위해 두 개와-두개내 우회술을 할 수 있다. 뇌척수액을 배액하기 위해 뇌실의 도관술을 할 수도 있다.
뇌졸중 대상자의 간호과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하자.
간호사정
-신경계 flow sheet를 작성한다.
-신경계 손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정신상태, 뇌신경기능, 감각, 방광조절에 이상이 있는지를 사정한다.
-배뇨와 배변상태를 모니터한다.
-항응고제 사용의 효과를 검사한다.
-정신상태 및 정신기능수준을 자주 관찰한다.
간호진단
-신경계 손상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운동성 손상과 관련된 운동장애
-뇌손상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뇌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언어소통 장애
-편마비/마비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목욕, 옷 입기, 용변보기)
-영양부족(식사, 저작, 연하장애와 관련된 신체요구량 부족)
-운동/감각부족과 관련된 배뇨장애
-발작으로 인한 인지 및 행동상의 후유증, 불운한 질병, 간호제공자의 부담과 관련된 가족기능 장애
간호중재
A. 낙상과 기타 손상방지
1. 급성기 동안 (뇌졸중 발생 후 48~72시간)은 침대머리를 약간 올려준 상태로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2. 뇌의 산소공급을 활발히 하기위해 급성기 동안은 처방된 대로 산소를 투여한다.
3. 기본적인 신체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호흡상태, 활력징후, 소변량등을 주의 깊게 자주 사정한다.
4. 급성기 후, 환자의 의식이 돌아오기 시작하면 환자의 인지 사정, 환자의 욕구충족을 위해 계속적으로 살펴야 한다.
5. 환자를 안정시키도록 한다.
B.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방지
1. 뇌졸중 발병 후 오랜 침대생활 동안 발 지지대를 대주어서 발의 올바른 굴곡을 유지한다. -foot drop, 발꿈치 길이 단축, 이상굴곡방지
2. 경련이 있으면 발 지지대의 사용을 피한다.-경련을 증가시킬 수 있다.
3. 경련이 있은 후 발의 굴곡부분에 지나친 압력을 피한다.
4. 사지를 기능적 위치로 유지시킨다.
-필요할 경우 관절의 위치를 적절히 유지하기 이해 부복이나 지지대를 이용한다.-움직임을 감소시키고 경련성 근육의 자극을 적게한다.
-대전자 받침을 관골부터 허벅지 중간정도까지 받쳐서 환자가 똑바로 누워 있을
추천자료
[성인간호]위암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hemiparesis 간호과정 case study
[성인간호학] 외과적수술과 회장루술을 시행한 김씨에게 수행해야 할 간호 사정 - 장루 사정 ...
[성인간호학실습] 간호과정 적용사례 - 내과컨퍼런스 CAD와 HTN.ppt
[성인간호학] 결장암 케이스 스터디 (colon cancer case study)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4학년 공통]장기간 의식장애가 있는 환자의 가족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심...
[성인간호학 case] 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간세포성 암종 (Hepatocellula...
[성인간호학 case] 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위암 (Gastric Cancer)
성인간호학 - 궤양성대장염 ( 크론병과 비교, 궤양성대장염, 역학, 진단, 중증도의 분류, 치...
성인간호학 - 탈장 ( 정의, 종류, 원인, 증상, 치료, 합병증, 간호, 예방방법 )
성인간호학 - 기흉 ( 기흉의 종류 , 임상증상, 기흉의 진단, 기흉의 치료, 기흉의 합병증,기...
성인간호학 ( CASE STUDY ) - 대퇴 경부 골절 ( 대퇴 경부 골절, 고관절 수술, 대상자 자료...
성인간호학 - 폐렴 ( 정의, 분류, 병태생리, 원인과 위험요인, 발생빈도, 임상증상, 진단, ...
성인간호학 - 폐암 ( 정의, 종류, 원인, 예방,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