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case] 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위암 (Gastric Cancer)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case] 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위암 (Gastric Cance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 목적
2) 문헌 고찰

2. 연구기간 및 방법

3.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위 : 다리, 발 정도 : 발이 탱탱 부어서 거동이 힘들 정도임
6. 안전/보호(Safety/Protection)
통증/불편감
무□ 유
통증양상
복부 팽만감 호소 → (배를 문지르며) “배가 붕붕해 죽겠어“
복부의 압통 호소 → (얼굴을 찡그리며) “나죽겠네... 배아파... 피곤해...”
부위
복부
악화요인
갑작스럽게 통증이 옴
완화요인
마약성 진통제 투여
7. 안위(Comport)
바. 신체검진
부위
결과
피부
색깔(창백, 발진, 박리, 청색증, 황달)
윤기(건조, 축축, 비늘처럼 일어남)
탄력성, 손톱(색, 모양)
피부색은 약간 누런색이며 피부가 건조하며 탄력이 없다. 피부를 손가락으로 눌렀다가 떼면 원상태로 돌아오는데 2~3초 정도 걸림
머리
머리카락(색, 형태, 분포상태, 압통)
머리카락은 회색으로 머리숱이 별로 없음
얼굴
균형, 형태, 압통
얼굴의 균형이 잘 이루어져 있으며 압통은 없음

시력 및 시야, 결막(충혈, 염증)
결막에 충혈이나 염증이 관찰되지 않음

청력, 이도분비물, 이개(크기,색,압통,상처)
청력이 좋지 않아 약간 크게 말해야 함
구강
입술(균형,색,상처)
치아, 잇몸, 점막, 혀, 구개, 편도선
입술과 구강 점막이 매우 건조함
유방
외형(균형, 모습, 덩어리)
유두(형태, 분비물, 착색)
외형에 별다른 문제 없음
림프절
경림프절, 쇄골하림프절, 액와림프절, 서혜림프절
림프절의 부종이나 통증이 나타나지 않음
호흡기
호흡(횟수, 양상)/부속근의 사용/가슴(균형,형태,상처)/폐(호흡음,청진음,기침,객담)
분당 14~16회로 특별한 문제없이 호흡하시나 간헐적으로 가래가 섞이지 않은 기침을 함
생식계
병변, 분비물, 월경량, 월경통
생식계에 병변이나 분비물이 관찰되지 않음
항문
변, 압통
2~3일에 한번정도 소량의 묽은 변을 봄
사지
부종, 궤양
다리와 발에 부종이 관찰됨
관절
기형, 부종, 운동기능
다리와 발의 부종이 심해 이동 시 폴대와 보호자의 부축이 필요함
사.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1) 임상병리검사
구분
항목
정상범주
결과
임상적의의
12/11
12/14
C
BC
WBC
3.0-10.0
10³/㎕
7.7
7.1
증가 :세균감염, 백혈병
감소 :재생 불량성 빈혈
RBC
4.00-6.10
10/㎕
3.04▼
3.37▼
증가 :백혈병, 금성감염증
감소 :재생불량성 빈혈, 악성빈혈
Hb
12-16g/㎗
10.3▼
11.2▼
증가 :만성 일산화탄소 중독증
감소 :빈혈, 백혈병, 만성질환
HCT
36-47%
30.3▼
33.2▼
증가 :악성, 골수증식,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수술 후
감소 :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급성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MCV
80-96 fL
99.7▲
98.5▲
증가 :악성종양
MCH
27-31 pg
33.9▲
33.2▲
증감 시 골수이상, 혈소판 이상, 비장 이상
RDW
11.5-14.5%
15.3▲
16.0▲
증가 :거대적아구성 빈혈이나 재생불량성빈혈, 만성 골수성 백혈병,특발성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혈소판 이영양증
PLT
150-450
10³/㎕
376
385
증가 :급성림프구성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 매독, 결핵, 갑상선기능저하증 등
감소 :후천성면역결핍증, 선천성 면역부전증, 요독증 등
PCT
0.13-0.40%
0.33
0.38
증가 :급성백혈병, 만성 골수성 단핵구성 백혈병, 악성 림프종, 용혈성 빈혈
MPV
7.4-10.4 fL
9.1
9.8
증가 :세균감염
PDW
9.3-15.8%
9.0
10.3
증가 :세균성 감염, 알레르기 반응, 피부질환, 기생충감염, 위염같은 소화기질환
Lymphocyte
20.5-51.1%
12.7▼
7.6▼
증가 :allergy, 궤양성 대장염, 갑상선기능저하증, 당뇨병, 결핵
감소 :Anaphylaxis 직후, 두드러기, 갑상선기능항진증, 감염, 염증
Monocyte
1.7-9.3%
8.9
6.9
Neutrophil
42.2-75.2%
78.3▲
85.4▲
Eosinophil
<10%
0.0
0.0
Basophil
<0.8%
0.1
0.1
Lymph(*1000)
0.98
0.54
Mono(*1000)
0.69
0.49
Neut(*1000)
6.03
6.06
CBC
※종합 의의 및 분석 : RBC, Hb, HCT 의 감소, RDW의 증가 - 빈혈
2) 특수검사
항목
검사일
결과
임상적 의의
abdomin
-pelvic CT
2012.11.25
1.Aggravation of carcinomatosis peritonei, with increase small to moderate amount of ascites.
2.Ileus of distal ileal loops, probably due to tumoral invasion of ascending colon acd IC valve.
3.Newly developed hepatic metastasis in S8.
1. 복막파종의 악화와 함께 복수의 증가가 관찰됨.
2. 상행결장과 IC valve의 종양 폐색으로 인한 회장 원위부의 장폐색이 관찰됨.
3.간 전이가 관찰됨.
항목
검사일
결과
임상적 의의
Blood culture
2012.12.4
No growth after 5days.
5일 동안 균 배양이 관찰되지 않음.
아. 약물요법
황몰핀주사30mg/2ml(MORPHINE SULFATE INJ.30mg/2ml) -마약성 진통제
용량, 용법
이 약은 피하주사, 근육주사 또는 천천히 정맥주사하여야 하며, 경막외 또는 수막강내로 투여하지 않는다. 이 약을 정맥주사로 투여할 때는 인공소생장치와 마약길항제(날록손 등)를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정맥주사 시 투여량 : 일반적으로 이 약으로서 4∼10 mg을 4∼5분에 걸쳐 천천히 투여하고, 필요에 따라 4시간마다 투여한다. 이 약 2.5∼15 mg을 주사용 증류수 4∼5 mL 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여기간
2012.11.25~2012.12.14
약리작용
비교적 심한 급성 또는 심한 만성 통증(예 : 말기 질환)의 완화
부작용
이 약과 관련된 중대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의존성, 호흡억제(호흡곤란, 무호흡 등), 두부손상과 두개내압 상승, 혈압 저하 및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4.05.20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8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