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의 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왕양명이 창립한 '심학'

Ⅱ. 명대 심학(心學)의 대두

Ⅲ. 천일합일사상
1. 양지·양능
2. 심즉리
3. 성즉리
4. 성인론과 교학론
5. 이단론

본문내용

게 될 것이다.
4. 성인론과 교학론
심을 가지고 있지 않는 사람은 없다. ‘양지는 심의 본체이자 천리이다’. 모든 사람은 천리인 ‘양지’를 ‘스스로 충족하게 갖추고 있지 않는 자가 없다.’,‘성인은 지(知)하지 않는 바가 없으니 다만 지(양지)는 하나의 천리이고 능(能)하지 않는 바가 없으니 다만 능(양능)은 하나의 천리이다.’‘성인의 기상을 무엇으로 알 수가 있겠는가? 자신의 양지는 원래 성인과 같은 것이므로 만약 자신의 양지를 분명하게 체인한다면 성인기상은 성인이게 있지 않고 바로 나에게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증으로 왕양명은 모든 사람을 ‘성인’으로 보았다.
그러나 ‘양지’,‘양능’이라는 똑같은 심의 본체를 가진 성인이라고 하더라도 개인에게 부여된 천리(양지,양능)인 성(性)의 ‘성(性)’,‘질(質)’,‘정(情),’‘폐(蔽)’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였다. ‘성’,‘질’,‘정’,‘폐’의 차이가 바로 성인의 중량을 결정짓는 것이다. 그리하여 중량에따라 천리를 회복시키는 노력의 양도 달라야 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왕양명은 재질과 능력에 따라 마음속으로 천리의 보유량이 적든 크든 보유고 자체로써의 고귀성을 동등하게 인정하면서 인간 개인의 천부적인 차별성은 노력 즉 교학으로 보완하여야 한다는 것을 강조.
-교학의 목적
;반드시 인간의 동질성인 천리를 회복
-교학의 방법
;개인의 재능과 재질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채택
∴교학의 목적+교학의 방법=양지의 만물일체 공능이 원활하여짐
인간은 비록 간직한 천리의 분량은 다르다 할지라도 각기 특기할만한 재능을 가진 존재이므로 각기 생존에 필요한 각종의 업무에 종사하며 함께 도우며 어우러져서 원만하게 살아 갈 수 있는 성인들이다. 그러한 성인들의 풍요로운 생존을 위하여 교학은 필요하다.
5. 이단론
왕양명이 ‘순박한 남녀와 같은 것을 동덕(同德)이라 하고 순박한 남녀와 다른 것을 이단이라고 한다.’ 라고 한 것은 ‘모든 사람은 양지를 선천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까닭에 중량이 다른 성인일 뿐이다.’라는 주장과 같은 것이다. 즉 ‘양지’속성 밖의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은 이단이라는 견해를 피력하였다. 따라서 그는 일생동안 ‘양지’를 잡아서 일정한 법칙으로 담았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양지 이외는 더 이상 알 것이 없고 치지(致知) 이외는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다. 양지 밖에서 얻는 것은 사악하고 거짓된 지식이며 치지 밖에서 하는 학은 이단학이다.’ 라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왕양명은 ‘양지’, ‘양능’, ‘일기유통’ 속성에 저해가 되는 요소를 가지고 있는 묵학(墨學),도학(道學),불학을 이단학으로 아래와 같이 비판
1) ‘무근(無根)’의 ‘불인(不仁)’
;‘양지는 곧 성이고 곧 천리이다.’성을 가지고 있어야 비로소 살아 날 수가 있으며 이 성의 살아나는 이치 곧 이를 일러 인이라고 한다.’에서 ‘양지양능’의생의(生意)개념을 확실하게 정립시킨 후 이단학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2) 사물에의 ‘집착’
3) 본체 상에의 ‘첨가’
4) ‘상달(上達)’만의 추구
5) ‘고의성’과 ‘정체성’

키워드

  • 가격2,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1.29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3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