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케이스 스터디 - Major depressive disorder -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과 케이스 스터디 - Major depressive disorder -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주요 생활사건 : 큰 좌절감을 경험할만한 충격적인 사건.
- 미세한 생활사건 : 한번에 큰 좌절감을 주지 않는 사소한 문제라도 부정적인 사건들이 반복
- 사회적 지지의 결여 :
♣ 증상
① 매사가 귀찮아진다.
② 기분이 우울하다, 슬프다, 쓸쓸하다, 혹은 공허하다.
③ 평소에 즐기던 일에도 흥미를 잃거나 만사에 의욕을 상실한다.
④ 기운이 없고 금방 피로해진다.
⑤ 행동이 느려지고 움직이기 싫어진다.
⑥ 입맛도 없어지고 체중이 빠지거나 체중이 늘어난다.
⑦ 수면과다이거나 수면부족이다.
⑧ 성욕과 성기능이 떨어진다.
⑨ 집중력이 없어져 건망증이 생긴다.
⑩ 매사에 자신감이 없어진다.
⑪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처럼 느껴진다.
⑫ 죽고 싶은 생각이 든다.
♣ 진단
다음의 특징들 중에서 2∼3개가 해당되면 가벼운 우울증이고 5개 이상이면 심한 우울증이다.
1. 우울한 기분이나 짜증
2. 집중력이나 단기기억력(최근 기억)의 저하
3. 몸 동작이나 움직임의 둔화
4. 쉽게 피로함
5. 의욕이나 흥미 상실
6. 식욕 감소나 체중 감소
7. 잠들기 힘들거나 깊이 못 자고 자주 깸
8. 성욕 감소나 불규칙한 월경
9. 자신감의 저하
10. 능력 발휘의 어려움(학생의 경우 성적 하락)
11. 잘못된 일의 책임을 모두 자신에게 돌림
12. 죽음이나 자살에 대한 생각이나 집착
♣ 치료
(1) 약물치료
① 항우울제
몇 개의 계열로 나뉘며 중독성이나 흥분성은 없다. 몇 주가 지난 후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② 기분안정제
이 약들은 양극성 우울증 환자가 기분변화가 있을 때 이를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③ 항불안제
이 약제들은 불안이 빈번하게 우울증상과 동반되기 때문에 항우울제와 같이 사용한다.
(2) 행동치료
환자 스스로의 행동을 통하여 만족과 보상을 얻는 방법, 우울증에 이르도록 한 행동양상을 교정하는 법을 습득하도록 도와준다.
(3) 인지치료
환자가 부정적인 시각을 버리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가지도록 새로운 인식과 행동반응을 연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4) 대인관계 치료
대인관계를 호전시켜서 우울증을 치료하는 것이다. 우울증은 무기력하고 절망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청하는 행위가 불가능하고, 오히려 타인에게 불쾌한 느낌을 주기가 쉽다.
(5) 집단치료 : 여러명의 환자들을 한자리에 모아서 치료하는 방법이다. 개인치료와는 달리 여러 사람들의 경험을 같이 나눌 수 있고, 서로 정서적으로 지지를 해주고 서로 도와주는 사이에 치료 효과를 보기도 한다.
(6) 가족치료
① 환자가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② 정서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③ 자살에 대한 신호를 무시하지 않는다.
- 간호과정(Nursing Process) 적용 -
Ⅰ.사정(Assessment)
1. 자료수집
1) 일반적 정보
성명
박 ㅇㅇ
연령 / 성별
27세 / F
입원일
2008. 9. 1
직업
무직
종교

동거인(family)
어머니, 남편
결혼상태
기혼
교육정도
중교중퇴
경제상태

수입원
남편
병원비 부담
의료보험
거주지
서울 성북구
입원경로
응급실
정보제공자
언니
의학적 진단
입원 시 : Emotionally unstable personality disorder.
현 재 : Major depressive disorder
AXis Ⅰ: r/o major depressive disorder
AXis Ⅱ: r/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Xis Ⅲ: none
AXis Ⅳ: 남편과의 갈등
AXis Ⅴ: GAF score current 25, best past 1 year 65
입원 시 주 호소
# Problem on admission / Chief complaint
1. Self mutilation : neck Rt. ant.
- 스트레스 받을 때, 남편과 싸울 때 자해 반복됨
2. Unstable mood , suicidal idea, impulsivity
3. Anxiety, agitation
4. 불안정한 결혼생활, 남편에 대한 intense anger
5. 1개월전 ‘죽여라’는 Auditory hallucination
6. Decreased appetite and sleep
입원동기
(문제점 및 특기사항)
ㆍ초등학교 시절 모범생이었으나, 중학교 시절 아버지의 술, 폭력문제로 인한 부모의 잦은 다툼으로 인해 중학교 2학년 당시 어머니가 집을 나가면서 부모는 별거생활 시작함.
ㆍ중3때부터 나쁜친구들과 어울리며, 학교를 그만두고 가출하였고, 스트레스 받거나 남자친구와의 다툼으로 손목을 흉기로 긋는 일이 3회 있었다고 함.
ㆍ17세에 언니집에 들어가 살면서 피부미용학원 다니며 화장품 가게서 일했다고 함.
ㆍ8년전 한 남자와 결혼이야기 오갔으나 남자에 대한 집착이 강하였고 잦은 의심을 보이면서 하루에 40-50통씩 전화를 하며 회사 동료에게 험담을 하는 일이 있어 남자로부터 정신병자라는 말을 들으며 헤어졌다고 함. 그때 수면제를 구하여 다량 복용후 응급실에서 위세척하는 일 있었다고 함.
ㆍ7년전부터 어머니와 함께 살며 화장품가게에서 일하였고, 5년전(2003년) 화장품가게 사장 동생(5세연상)과 결혼하여 잘 지냈으나 남편의 바쁜 생활로 잦은 다툼이 있었고, 환자는 자연히 다른남자들과 어울게 되었으며, 자신은 젊으니까 다른남자를 만나면 된다는 생각에 먼저 이혼을 요구하여 1년반 결혼을 끝으로 2005년 이혼하였다고 함.
ㆍ이후 피부관리실, 호프집, 노래방 등에서 아르바이트 하였고, 1년전 소개로 만난 남자와 집안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개월만에 혼인신고(2007년 8월)하여 환자 집에서 얻어준 월세(수유리 1000/20)에 살았다고 함.
ㆍ남편은 자해하는 습관이 있어 화가 나면 피를 봐야 흥분이 가라앉는 사람으로 5개월 전 환자가 늦게 들어왔을 때 병깨고 때려부수는 일등으로 경찰서까지 간 일이 있었고, 4개월전(2008년 5월) 폭력과 자해하는 남편을 말리다가 왼쪽 손등을 다쳐 suture하였다고 함.
ㆍ3개월 전 이혼접수 하였으나, 법원 공판날에 환자가 남편을
  • 가격3,000
  • 페이지수39페이지
  • 등록일2009.11.30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3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