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의사결정의 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의사결정의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의심이나 반 대 의견의 중요성을 스스로 감소시키고 다른 구성원들에게 이를 말하지 않 은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처럼 집단 사고에 빠진 집단은 일부 구성원이 의사결정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리더는 어떤 문제 에 대한 특정의 해결책을 제안하고 그것을 강력히 주장한다. 집단 구성원 들은 이러한 의사결정을 뒤흔들 수 있는 외부정보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 며 자신이 거부단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집단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원 치 않기 때문에 반대 의견을 표명하지 않는다. 다른 의견을 가진 구성원들 은 결정된 사항에 따를 뿐만 아니라 자신이 갖고 있는 의문 들이 시시하고 가치가 없다고 스스로를 납득 시킨다. 집단사고에 빠지게 되면 의사결정에 있어 문제해결이 처음 제시된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제한되며 새로운 정보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한다.
4.행동 몰입에
대한 증폭: 행동 몰입에 대한 증폭이란 집단이 내린 첫 결정에의 집착을 말한다. 즉, 집단의사결정과정에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견되더라도 이미 자신들이 어떤 결정을 내려놓았기에, 그리고 흔히 그 결정에 따라 어떠한 행동을 취했기에 (그 다음 안을 논의한다던가) 그 결정을 고치기보다는 그것을 주어진 것으 로 받아들이고 거기에 따라 자꾸 추가적인 행동을 취하게 되는 현상이다. 투자한 것의 성공은커녕 투자자금의 회수 조차 어려운 줄 알면서 ‘이미 발 을 들여놓았으니’, 혹은 ‘이미 관계를 가졌으니’하면서 계속 투자를 하 는 것은 그 전형적인 예이다. 우드러프를 중심으로 하는 펩시 인수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은 의사결정의 검토 과정에서도 이미 내린 결정에 대해 비판
적인 자세를 고수하게 된다. 처음 내린 펩시 인수에 대한 반대 결정이 비판
받기는 커녕 오히려 확실한 결정으로 굳어진 것이다.
3-2-5. 펩시를 인수하지 않게 되는 의사결정의 결과
1. 펩시 콜라의 눈부신 성장
당시 코카콜라가 인수를 거절하자 펩시는 12온스짜리 1병을 5센트에 팔면서 가격 경 쟁을 시도한다. 시장에 나온 다른 콜라들은 6온스 1병을 그 가격으로 팔고 있었기 때 문에, 구스는 결국 소비자들에게 펩시를 사게 하는 최초의 그럴싸한 동기를 부여해준 것이었다. 1936년 펩시는 200만 달러의 순이익을 올렸고 2년 뒤에는 420만 달러의 순이익을 올렸다. 이후 1966년 펩시콜라사가 스낵 회사 프리토레이와 합병하면서 견 고했던 코카콜라의 아성도 점차 무너져간다. 이때부터 펩시콜라는 코카콜라의 아류작 이란 이미지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스타일을 추구하게 되며, 특히 새로운 맛을 원했던 젊은 층을 파고드는 데 성공했다.
80년대 초반부터 \'Pepsi-challenge\'라는 슬로건으로 대대적인 캠페인을 전개했다. 이 것은 눈을 가리고 콜라 맛을 본 후, 좋아하는 콜라를 선정하도록 하는 테스트다. 이 테스트에서 사람들은 펩시를 코크에 비해 3대 2정도로 더 많이 선택하였고, 그 결과가 텔레비전 광고에 이용되었다. 펩시가 코크보다 9% 더 달기 때문에 사람들이 눈을 가 리고 한 모금 마셨을 때는 펩시를 선택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젊을수록 단 것을 좋아 하므로 젊은이들에게 어필하려는 펩시에 부합하는 전략이었다. 그 결과 1984년 슈퍼 마켓 시장 점유율에서 펩시가 코카콜라보다 2%나 앞서는 성과를 거뒀다.
2. 현재 코카콜라와 펩시의 매출과 회사 규모 비교
3.코카콜라와 펩시의 광고비 지출 현황
3-2-6. 결론
코카콜라는 펩시를 인수하지 않는 집단의사결정을 하게 되고 그 후 펩시는 가격경쟁, 첼린저 경영 방식으로 현재 코카콜라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기업이 되었다. 코카콜라는 이로 인해 펩시보다 많은 광고비를 지출하며 매출증대를 꾀하고 있다. 당시 코카콜라의 경영진이 펩시 인수에 대해 더 깊이 있는 자세로 임했다면 지금 우리는 단맛나는 펩시 콜라를 마시지 못했을 것이다. 당시 1000달러는 지금의 가치보다 확실히 높았겠지만 지금 코카콜라가 펩시와 경쟁하며 지출하는 광고비에 비하면 비교도 안 되는 금액인 것이다. 의사결정과정에서 상위층의 무의사결정이 작용하여 결국 인수가 되지 않았는데, 의사결정에 있어서 무의사결정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위해서는 참여자와 상위층의 커뮤니케이션의 정도를 높이고 , TQM적 관리를 한다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서론
2. 본론(1)
2-1. 의사결정
2-2. 집단의사결정
2-3. 집단의사결정시스템
3. 본론(2)
3-1. 집단의사결정 성공사례: 교보생명“제도파괴위원회”
3-1-1. 기업 소개
3-1-2. “제도파괴위원회” 설립 당시 상황
3-1-3. “제도파괴위원회” 소개 및 분석
3-1-4. 결과
3-1-5. 언론에서 보는 “제도파괴위원회”
3-1-6. 교보생명 Interview
3-2. 집단의사결정 실패 사례: 코카콜라의 펩시콜라 인수거부
3-2-1. 코카콜라와 펩시콜라의 연혁
3-2-2. 문제제기
3-2-3. 당시 상황
3-2-4. 펩시를 인수하지 않게 되는 집단의사결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3-2-5. 펩시를 인수하지 않게 되는 의사결정의 결과
3-2-6. 결론
4. 결론
[참고자료]
집단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화상회의 시스템을 중심으로- 정영철 (1996)
집단의사결정지원시스템 도입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기문 (1996)
그룹의사결정자의 의견수렴과정 자동화를 위한 GLVQ 알고리즘의 응용 이미진 (1995)
교보생명 FY2002, FY2003, FY2004 연차 보고서
코카콜라의 경영기법 -세종대학교 출판부-
한국 CEO의 경영연금술 - 정승훈, 이광호 지음 (평단)
회사의 운명을 바꾸는 경영의 법칙 - 손진혁 지음 (원앤원북스)
매일경제 ‘고객 불편 제도 파괴하라’ 2002. 6/16
매일경제 2002. 11/20
한국경제 뉴스 \'펩시의 경영 지침\' 2004. 12/10
서울신문 \'펩시 코카콜라 아성을 깨다\' 2005. 3/12
www.pepsicola.co.kr
http://www.kyobo.co.kr/
http://www.cocacola.co.kr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9.12.10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