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간호학 케이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 간호학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산업 간호학 CASE
1. 사업장
2. 근로자
3. 작업공정
4. 작업환경
5. 건강관리
6. 산업간호 사업
7. 일반 건강진단 결과에 대한 평가 방법 및 추후 관리에 대한 설명
8. 특수건강진단 부서를 파악하고 유해인자별 검사내용 및 유의사항, 판정결과와 추후 관리를 수술한다.
9. 작업환경 측정을 요하는 유해인자 항목 및 측정방법, 결과처리 및 개성내용
11. 문제 요인
12. 우선순위

본문내용

(국소배기시설)
환기가 원활하게 되지 않아 공정상 배합 및 용해반의 혼합물질로 인한 호흡기계 질환의 위험이 높다.
정수기 설치 장소와 위 생 관리 불량.
근로자의 위생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건강수준
질병 위험성
고혈압의심(11명)
고지혈증의심(7명)
간장질환주의 (7명)
당뇨질환 의심(3명)
신장질환 의심(3명)
빈혈증 의심(1명)
사업관련 질병 외의 질병관리
고혈엽>고지혈증=간장질환>당뇨=신장질환>빈혈증 으로 나타남
전 근로자의 건 강검진결과
질병유소견자 및 요관찰자의 간호 정보
부서별 주요재해

고혈압, 당뇨 및 간장질환, 고지혈증 의 유소견자가 평균5명에 이름
유소견자들의 지속적인 관리, 관찰, 교육, 보건상담이 필요하다.
-배합과정의 확인 및 첨가제 첨가시 유기화합물에 노출되며 약품 취급시 (솔벤 등) 주의 바람
-자동주입공정에서 제품이 에어로 고속 이송시 금속 마찰 소음 발생.
- 반응/ 포장 작업시 유해 인자가 발생하며 외부식 원형 후드 설치 가동 중
-MSDS(물질안전보건 자료) 및 경고표지판 부착 미흡.
10. 자료분석
11. 문제 요인
문제
관련요인
높은 사고발생 위험성
보호구착용의 중요성에 대한 인지부족
1년 미만의 근로자 수가10명 (기술 익힘 부족)
소음성난청의 잠재적 위험성
소음의 8시간 노출(8시간-dB 83.9dB, 85.4dB)
귀마개 미사용
귀마개 사용에 대한 지식부족
지속적인 소음노출에 대한 인식결여
호흡기계 질환 발생 가능성
방진마스크 미사용
부적절한 근무환경
화장실의 비위생적 관리
식수원 부족 & 위생관리 부실
안전을 고려하지 않은 건물설계(철 나선형 계단, 튀어 나온 창 문 틀)
고혈압&당뇨&고지혈증 &간장질환 예방
진단결과상 고혈압 의심 근로자가 11명진단결과상 고지혈증의심 근로자가 7명
진단결과상 간장질환주의 근로자가 7명
진단결과상 당뇨 의심 근로자가 3명
질병에 대하여 인식 결여 & 미실행
건강증진
산업장 재해에 대한 교육 지식 부족
질병에 대한 인식 결여 & 미실행
쉬는 시간에 스트레칭 이외의 tea time을 주로 갖음.
12. 우선순위
우선순위
간호진단
재발과
예방가능성
문제의
심각성
산업장
관련성
실행
가능성
자원동원
가능성
보건관리자
준비도
합계

높은 사고발생 위험성
0

높은 소음성난청 발생률

호흡기계 질환 발생 가능성

부적절한 근무환경

고혈압&당뇨&고지혈증 예방

건강증진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10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3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