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식민사관의 내용
2.2 사회경제사학에 입각한 식민사관 비판
2.3 사회경제사학에 대한 식민지 근대화론의 비판
2.4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3. 결론
2. 본론
2.1 식민사관의 내용
2.2 사회경제사학에 입각한 식민사관 비판
2.3 사회경제사학에 대한 식민지 근대화론의 비판
2.4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3. 결론
본문내용
지 고대사회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는 주장이다. 이들은 19세기 말 ~ 20세기 초 한국의 사회, 경제체제의 수준이 일본의 고대사회 말기인 10세기경 후지와라(藤原) 시대와 비견된다고 주장하였다. 학자들은 이를 통해 일본의 조선 지배가 조선의 사회, 경제체제를 발전시켰다는 주장을 폈다.
2.2 사회경제사학에 입각한 식민사관 비판
사회경제사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경제사학이 발생한 배경을 알아야 한다. 사회경제사학의 배경으로는 정체성론, 민족주의 사관, 사회주의 사상을 들 수 있다. 사회경제사학은 식민사관 중에서도 조선의 발전수준이 고대사회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정체성론에 대해 비판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또한 민족주의 사관은 감상적이고 실증적이지 않은 민족 정신을 바탕으로 식민사관을 비판했는데, 이러한 민족주의 사관으로는 식민사관을 합리적으로 정확히 비판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사회경제사학이 등장했다. 사회주의 사상은 1920년대 초 한반도에 유입되어, 1930년대 사회경제사학의 밑거름이 된다. 사회경제사학은 사회주의 사상의 유물사관을 받아들인다. 유물사관은 경제적 생산관계를 바탕으로 한 계급갈등에 입각하여 역사의 발전단계를 구분하였다. 유물사관에서는 역사를 원시 공산제 사회, 고대 노예제 사회, 중세 봉건제 사회, 근대 자본주의 사회, 사회주의 사회로 구분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사회경제사학은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 체계화하는 학파를 형성한다. 즉, 한국의 역사가 유물사관에 나오는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단계를 거쳐오고 있었다는 것이다. 사회경제사학자인 백남운은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삼국 이전은 원시 공동체 사회, 삼국 시대는 노예제 사회, 신라 통일 이후 조선 시대 까지는 동양적 봉건사회, 개항 이후는 이식 자본주의 사회로 파악하였다. 정체성론에 따르면 조선은 장원이 등장하거나 봉건제가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세가 없다고 했지만, 백남운은 토지 국유제, 중앙집권적 관료제와 같은 아시아적 특질을 정체적 특질로 보지 않고 보편적 발전 단계인 봉건제의 아시아적 유형으로 보았다.
사회경제사학은 또한 조선시대 후기 이미 자본주의의 태동이 보였다는 ‘자본주의 맹아론’을 주창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이앙법(모내기)이 전국적으로 확장되면서 농업 생산량과 일인당 경작량이 크게 늘었다. 이로 인해 경작하는 토지를 넓히는 광작이 시작되었으며, 기존의 소작농들의 많은 수가
2.2 사회경제사학에 입각한 식민사관 비판
사회경제사학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경제사학이 발생한 배경을 알아야 한다. 사회경제사학의 배경으로는 정체성론, 민족주의 사관, 사회주의 사상을 들 수 있다. 사회경제사학은 식민사관 중에서도 조선의 발전수준이 고대사회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정체성론에 대해 비판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또한 민족주의 사관은 감상적이고 실증적이지 않은 민족 정신을 바탕으로 식민사관을 비판했는데, 이러한 민족주의 사관으로는 식민사관을 합리적으로 정확히 비판할 수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사회경제사학이 등장했다. 사회주의 사상은 1920년대 초 한반도에 유입되어, 1930년대 사회경제사학의 밑거름이 된다. 사회경제사학은 사회주의 사상의 유물사관을 받아들인다. 유물사관은 경제적 생산관계를 바탕으로 한 계급갈등에 입각하여 역사의 발전단계를 구분하였다. 유물사관에서는 역사를 원시 공산제 사회, 고대 노예제 사회, 중세 봉건제 사회, 근대 자본주의 사회, 사회주의 사회로 구분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사회경제사학은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한국사를 세계사적 보편성 위에 체계화하는 학파를 형성한다. 즉, 한국의 역사가 유물사관에 나오는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단계를 거쳐오고 있었다는 것이다. 사회경제사학자인 백남운은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삼국 이전은 원시 공동체 사회, 삼국 시대는 노예제 사회, 신라 통일 이후 조선 시대 까지는 동양적 봉건사회, 개항 이후는 이식 자본주의 사회로 파악하였다. 정체성론에 따르면 조선은 장원이 등장하거나 봉건제가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세가 없다고 했지만, 백남운은 토지 국유제, 중앙집권적 관료제와 같은 아시아적 특질을 정체적 특질로 보지 않고 보편적 발전 단계인 봉건제의 아시아적 유형으로 보았다.
사회경제사학은 또한 조선시대 후기 이미 자본주의의 태동이 보였다는 ‘자본주의 맹아론’을 주창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는 이앙법(모내기)이 전국적으로 확장되면서 농업 생산량과 일인당 경작량이 크게 늘었다. 이로 인해 경작하는 토지를 넓히는 광작이 시작되었으며, 기존의 소작농들의 많은 수가
추천자료
수탈론의 속류화 속에 사라진 식민지
우리나라의 개화기와 식민지 교육
『무정』― 이형식의 식민지 근대에 대한 인식
일제하 ‘식민지 공업화’에 대한 재고
Jamestown 식민지, Plymouth 식민지, Massachusetts 식민지, 그리고 Virginia 식민지의 특징2
[일제하, 식민지시대]일제하(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의 유기체적 연대론, 동화주의, 일제하(...
일제강점기(식민지시대, 일제하)의 사회주의운동, 민중계몽운동, 농지탈환운동, 민족개조론, ...
[식민지시대]식민지시대(일제하, 일제강점기)의 식민지지배론, 중추계급론, 식민지시대(일제...
[일제, 식민지시대]일제(식민지시대, 일제강점기)와 일제정치, 일제정책, 일제(식민지시대, ...
한기형, 「문화정치기 검열체제와 식민지 미디어」 요약․정리...
박헌호, 「식민지 조선에서 作家가 된다는 것」 요약․정리 및...
[한국민족운동사] 식민지 시대 노동운동(식민지시대상황과 노동운동의 전개 및 활동, 식민지 ...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Colonial Modernity in Korea)』 _ 신기욱 & 마이클 로빈슨 저 ...
일제강점기 식민지 지배 정책에 따른 초등역사교육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