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순환기질환식사요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순환기질환식사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혈압 환자

2. 고지혈증

3. 동맥경화증

4. 뇌졸증

5. 허혈성 심장질환(관상동맥성 질환)

6. 울혈성 심부전

본문내용

가 생기기 때문에 물과 전해질을 충분히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발한, 탈수정도, 전해질 상태에 따라 공급할 수액의 양과 내용을 결정해야 한다. 경구섭취가 불가능할 때는 발작 3~4일 후부터는 코로 경관급식을 할 수 있다. 이때 공급에너지는 1200~1500kcal가 되게 하며 경관액이 너무 차거나 공급 속도가 너무 빨라 설사를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혈청알부민농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단백질 공급에 주의한다.
경구 섭취로 이행할 때: 이행하기 전 작은 얼음 조각을 입에 대어 보거나 입 안에 넣어 보아 환자가 혀를 움직이는지, 입안에서 굴리는지, 삼키려 하는지 여부를 관찰한다. 2~3일간 관찰을 통하여 연하운동이 확인되면 유동식으로 이행하고 미음을 2~3숟가락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양을 높이며 연식으로 이행한다.
씹거나 삼키기가 어려울 때: 환자가 으깬 식품을 씹거나 삼킬 수 있는지를 살펴본 뒤에 경구 섭취로 이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반숙달걀, 달걀찜, 연두부, 커스터드, 푸딩 등의 연식이 무난하며 천천히 달 씹어 먹는 연습을 되풀이하면 차츰 잘 삼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음식을 미리 잘라서 목에 걸리지 않게 하며 떡, 김밥 같은 치밀질의 음식, 신맛이 강한 주스나 음식처럼 자극적인 음식,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은 연하곤란을 잘 유발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식사에 필요한 운동기능이 장애를 일으켰을 때: 환자가 수저를 사용해서 먹는 데 불편을 느끼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한다.
뇌졸중을 예방하는 식사: 뇌졸중의 가장 중요한 요인인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완화시키는 식사를 해야 한다. 즉, 에너지, 지방(특히 포화지방), 소금의 함량을 줄이며 술을 많이 마시던 환자라면 하루에 1~2잔을 줄이거나 금주해야 한다.
환경요인의 고려: 언어소통기능이 마비된 환자들은 음식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할 수 없으므로 음식을 대할 때의 표정, 신체적 반응을 잘 관찰한다. 또한 미각이 떨어져 있으므로 음식은 산뜻하고 밝은 색으로 한다.
「뇌졸증 식품」
주식(1일 2회이상, 총 섭취량 줄 32% 이상)
좋은식품: 흰쌀
보통식품: 찹쌀, 수수, 조, 율무, 옥수수
금기식품; 콩류, 보리, 밀가루, 메밀, 팥
부식(1일 3회이상, 총섭취량 줄 40% 이상)
좋은식품: 미나리, 숙, 당근, 감자, 톳, 두릅, 양파, 김
보통식품: 파, 연근, 열무, 버섯, 피망, 쑥갓, 달래, 도토리묵, 갓, 고추장아찌, 마늘쫑,
금기식품: 시금치, 고구마, 오이, 호박, 상추, 깻잎, 더덕, 양배추, 신선초, 콩나물
부식B(1일1회정도, 총섭취량 중 10%이하)
좋은식품: 오리알
보통식품: 닭, 오리, 메추리, 염소고기, 알류, 가물치, 메기, 민물뱀장어, 연어, 쇠고기
금기식품: 돼지, 개고기, 바다생선, 붕어
과일(1일1회이상)
좋은식품: 토마토, 레몬, 살구, 유자
보통식품: 수박, 호두, 은행, 복숭아, 국광사과, 파인애플, 밤, 매실
금기식품: 감, 귤, 배, 바나나, 참외
야채즙(1일1회정도)
좋은식품: 당근, 감자, 무잎
금기식품: 양배추, 고구마, 신선초
조리료(총 섭취량 중 4%)
좋은식품: 참깨, 생강, 현미식초
보통식품: 고추장, 천일염, 마늘, 겨자, 참기름, 옥수수기름, 죽염, 흑설탕, 마요네즈
금기식품: 들기름, 콩기름, 유채기름, 된장, 젓갈
(회복기식단)
아침
간식
점심
간식
저녁
흰밥
감자조림

미나리무침
삶은 닭고기
토마토
도토리묵
조 밥
양파채
호박잎
민물뱀장어구이
당근쥬스
흰밥
버섯볶음
오리알찜
육계장
식품군
식품교환수
탄수화물(g)
단백질(g)
지방(g)
열량(kcal)
곡류군
11
253
22
1100
어육류군
저지방군
1
8
2
50
중지방군
1
8
5
75
고지방군
0
0
채소군
2
6
4
40
지방군
5
25
225
우유군
0
0
과일군
0
0

-
259
42
32
1490
★뇌졸증 직후에는 경관을 통하여 코로 1200~1500kcal정도를 섭취시켜주고 충분한 수분를 공급해 준다. 회복하여 음식을 씹거나 삼킬 수는 있지만 어려운 경우에는 부드러운 커스터드나 반숙, 달걀찜과 같은 부드러운 음식을 자연스럽게 공급해 줌으로써 씹는 연습 또한 할 수 있도록 해 주고 음식을 경구섭취가 가능해 지면 지방의 량(포화)은 최소화 하고 염분량은 최대로 줄여 음식을 만든다. 이번 식단은 경구섭취가 가능해진 뇌졸중 환자의 식단으로써 뇌졸중 환자에게 좋은 음식과 금기 음식을 찾아내어 구성해보았다. 대부분의 식품이 완전한 회복을 한 상태가 아니어서 자극이 심한 식품은 포함시키지 않았고, 대부분의 음식을 푹 익혀 질기거나 쫀쫀하지 않고, 잘 흩어지고, 소화되기 쉬운 형태로 조리하였다. 수분과 미네랄을 많이 섭취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야채와 과일을 간식으로 넣었고 볶음 시 깨 기름을 사용하여 포화지방의 량을 최소화 시켰다.
5.허혈성 심장질환(관상동맥성 질환)
허혈성 심장질환(IHD: Ischemic Heart Disease)는 관상동맥의 질병경과에 따라 심근에 혈액공급이 잘 안 되거나 중단되면서 생기는 급성 혹은 만성심장장애라고 정의를 내린다. 따라서 허혈성 심장질환은 관상동맥성 심장질환(CHD: Coronary Heart Disease)과 비슷한 의미로 쓰인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장마비, 협심증, 심근경색, 허혈성 심근경색에서 유발된 심부전, 허혈성 심장질환에서 유발된 부정맥 등을 포함한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인자: 대부분이 관상동맥의 동맥경화에 의해 오며 관상동맥의 동맥경화는 고지혈증과 관계가 깊으므로 고지혈증을 관리하는 것이 심혈관질환을 저하시키는 방법이 된다. 그밖에도 고혈압, 흡연 등이 중요한 위험인자며 비만, 당뇨병, 운동부족, 성격등도 지적되고 있다. 이중에서 성실하고 고지식하면서 야심이 많고 경쟁적이며 완벽을 추구하는 A타입의 성격은 스트레스를 많이 느껴 혈압이 상승되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게 되어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다.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
위험인자
고령의 나이
남자≥45, 여자≥55(여성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은 조기 폐경자 포함)
가족력
심근경색증, 급사(남자<55, 여자<65)
흡연
고혈압
>140/90mmHg 혹은 항
  • 가격5,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9.12.2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