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학언해 설명
- 소학언해 현대어 풀이 및 주석
- 번역소학 설명
- 번역소학 현대어 풀이 및 주석
- 소학언해와 번역소학의 표기상의 차이점 (중세국어 변화양상)
- 소학언해 현대어 풀이 및 주석
- 번역소학 설명
- 번역소학 현대어 풀이 및 주석
- 소학언해와 번역소학의 표기상의 차이점 (중세국어 변화양상)
본문내용
소학언해와 번역소학
- 소학언해의 해석 및 설명 (강독)
- 번역소학의 해석 및 설명 (강독)
- 소학언해와 번역소학의
언어학적 관점에서의 표기상의 비교
《소학언해(小學諺解)》
* 연대 : 중종 12년(1517)에 홍문관에서 \'번역 소학\' 10권을 간행
선조 19년(1586)에 교정청에서 \'소학 언해\' 6권을 간행
영조 20년(1744)에 \'어제 소학 언해\'라는 이름으로 \'소학 언해\'를 중간
* 문체 : 번역체
* 저자 : 주자의 명을 받아 유자징이 편찬한 아동용 학습서
* 내용 : 수신 예절(修身禮節)과 충효신자(忠孝信者)의 사적에 관한 내용을 여러 경서에서 엄선
경진자본(庚辰字本). 6권 4책. 1586년(선조 19) 교정청(校正廳)에서 처음으로 간행하였고, 이를 저본으로 하여 몇 차례의 재간행이 이루어졌다. 16세기의 사림(士林)들은 자기를 수양하는 것[修己]에서 출발하는 실천적 가치규범으로서 성리학을 체득하기 시작하였는데, 《소학》의 규범과 윤리를 몸에 익혀 실천함으로써 학문이 시작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중종 때의 사림은 먼저 《소학》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고 《구결소학(口訣小學)》 《소학편람(小學便覽)》 등을 만들어 그 이해를 도왔다. 이런 맥락에서 소학의 번역이 이루어져 1518년(중종 19) 《번역소학(飜譯小學)》이 간행되었으나, 후에 너무 의역(意譯)에 흘렀다는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직역을 원칙으로 한 《소학언해》가 간행되었다.
이 책은 소학의 윤리가 서민의 생활까지 깊숙이 침투하고 성리학의 질서가 정착되어 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16세기 말엽의 국어 상황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중세 국어와 근세 국어의 중요한 차이를 이루는 음운변화와 문법변화가 그때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교정청본이 안동(安東) 도산서원(陶山書院)에 전질(全秩)이 간수되어 있다. 1744년(영조 20) 왕명으로 다시 수정한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가 있다.
小소學학諺언解凡범例례
戊무寅인本본 欲욕人인易이曉효야 字義의之지外외예 幷병入입註주語어爲위解故고로 未미免면有유繁번冗용處처니 今금則즉刪산去거枝지辭고 一일依의大대文문야逐뵨字作작解호 有유解不블通통處쳐則즉分분註주解之지니라
戊무寅인년 애 사이 수이 알과댜야 字 밧긔 註주엣 말을 아오로 드려사겨시모로번거코 용잡 곧이 이심을 免면티
- 소학언해의 해석 및 설명 (강독)
- 번역소학의 해석 및 설명 (강독)
- 소학언해와 번역소학의
언어학적 관점에서의 표기상의 비교
《소학언해(小學諺解)》
* 연대 : 중종 12년(1517)에 홍문관에서 \'번역 소학\' 10권을 간행
선조 19년(1586)에 교정청에서 \'소학 언해\' 6권을 간행
영조 20년(1744)에 \'어제 소학 언해\'라는 이름으로 \'소학 언해\'를 중간
* 문체 : 번역체
* 저자 : 주자의 명을 받아 유자징이 편찬한 아동용 학습서
* 내용 : 수신 예절(修身禮節)과 충효신자(忠孝信者)의 사적에 관한 내용을 여러 경서에서 엄선
경진자본(庚辰字本). 6권 4책. 1586년(선조 19) 교정청(校正廳)에서 처음으로 간행하였고, 이를 저본으로 하여 몇 차례의 재간행이 이루어졌다. 16세기의 사림(士林)들은 자기를 수양하는 것[修己]에서 출발하는 실천적 가치규범으로서 성리학을 체득하기 시작하였는데, 《소학》의 규범과 윤리를 몸에 익혀 실천함으로써 학문이 시작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중종 때의 사림은 먼저 《소학》을 간행하여 널리 보급하고 《구결소학(口訣小學)》 《소학편람(小學便覽)》 등을 만들어 그 이해를 도왔다. 이런 맥락에서 소학의 번역이 이루어져 1518년(중종 19) 《번역소학(飜譯小學)》이 간행되었으나, 후에 너무 의역(意譯)에 흘렀다는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직역을 원칙으로 한 《소학언해》가 간행되었다.
이 책은 소학의 윤리가 서민의 생활까지 깊숙이 침투하고 성리학의 질서가 정착되어 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16세기 말엽의 국어 상황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중세 국어와 근세 국어의 중요한 차이를 이루는 음운변화와 문법변화가 그때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교정청본이 안동(安東) 도산서원(陶山書院)에 전질(全秩)이 간수되어 있다. 1744년(영조 20) 왕명으로 다시 수정한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가 있다.
小소學학諺언解凡범例례
戊무寅인本본 欲욕人인易이曉효야 字義의之지外외예 幷병入입註주語어爲위解故고로 未미免면有유繁번冗용處처니 今금則즉刪산去거枝지辭고 一일依의大대文문야逐뵨字作작解호 有유解不블通통處쳐則즉分분註주解之지니라
戊무寅인년 애 사이 수이 알과댜야 字 밧긔 註주엣 말을 아오로 드려사겨시모로번거코 용잡 곧이 이심을 免면티
추천자료
개화기와 미군정기 한국교육
이승훈의 교육사상
2009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바람직한 음주문화와 와인에 대하여
조선의_예학사상
대학(大學) [소개 및 내용요약, 소감문]
2013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현대문학 - 조수리와 소이흑의 결혼
2014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중세국어연습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