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반적 사정.
#.1 수술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2 분만후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1 수술과 관련된 잠재성 감염
#.2 분만후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본문내용
염증이나 2차적인 감염을 막기 위함이다.
⑤ 수술부위의 화농성 배액이 있는지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화농성 배액은 백혈구, 액화된 죽은 조직부스러기와 죽었거나 살아 있는 박테리아로 구성되며, 역겨운 냄새, 원인균에 따라 노랗거나 초록 또는 갈색 등으로 다른 색이며 제왕절개 같은 외과적 절개시 발생위험이 있다.
⑥ 수술 부위에 이상이 있을시 간호사에게 즉시 알리기를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상처 가장자리와 주위 조직의 열감과 발적, 열, 부종 상처의 통증 또는 고름의 양 증가 또는 육아조직의 변색은 감염을 예견한다.
⑦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부적절한 영양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영양제주사를 맞을 수 있음을 설명 하였고 단백질함유가 높은 음식 섭취하기를 교육하였다.
⑧ 불필요한 도뇨관 삽입을 지속하지 않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도뇨관을 삽입시 무균적으로 시행되지 않을 경우나 불필요한 도뇨관 삽입이 지속되었을 경우 요도에 외상을 일으켜 미생물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비뇨기 감염발생 위험이 생긴다. 배뇨시 통증 및 농축된 소변, 탁하고 악취나는 소변, 소변에 피나 침전물이 섞이면 감염을 나타낸다.
⑨ 정맥 수액 공급시 주사부위를 48~72시간 마다 교환한다.
이론적 근거: 정맥 수액 공급시 장시간 동일부위의 주사 침으로 정맥염이 생길 수 있다.
⑩ 오로의 양상을 확인하여 감염여부를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오로는 분만 후 자궁내면이 치유되면서 나오는 분비물로 탈락막, 혈액, 점액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적색오로: 1~3일 혈액, 탈락막, 양수, 솜톨, 태지, 박테리아 등을 포함.
장액성(갈색)오로 : 4~10일 혈액량이 줄어들고 갈색, 장액, 백혈구 포함.
백색오로 : 10일에서 2~3주까지 장액성 성분이 많고 백혈구 포함.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적색오로가 반복해서 나타나거나 2주후에도 장액성 오로가 있을 경우, 그 외에 나쁜냄새, 다량의 혈괴 배출시 자궁내막염 등의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수행
및
(* 이론적 근거)
① 수술 당일 special v/s 하면서 기침과 심호흡 할 것을 격려함.
→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기침이나 심호흡은 마취로 인한 폐합병증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복대를 착용하게 해 체위변경을 시행하였다.
(* 폐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주고, 폐에 점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도와줌으로써 감염의 가능성을 줄인다. )
② 하루 두 번 V/S을 측정함.
11/30
12/1
12/2
12/3
BP
08:00
138/80
110/78
120/80
120/80
14:00
122/81
124/85
121/76
110/70
P
08:00
81
79
80
75
14:00
88
72
85
78
BT
08:00
36.2
36.9
37.2
36.1
14:00
36.1
36.6
36.4
36.1
(* 감염 발생 시 혈압,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
③ 예방적 차원에서 항생제를 투여함. (by RN)
11/30
12/1
12/2
12/3
cefolatam 2g
Y
Y
X
X
(* 항생제를 감염 전에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예방 할 수 있다. )
④ 항생제 부작용을 관찰하고 교육함.
→ 어지럼증, 두드러기, 구내염, 구토, 기침, 두통, 설사, 복통, 이명 등의 부작용 증세가 있을 경우 바로 간호사에게 알리기를 교육하였다.
→ 매일 V/S 측정 시 저혈압, 발열 증상을 사정하였다.
⑤ 1일 1회 수술부위 드레싱을 실시함. (by RN)
(* 수술부위의 염증이나 다른 감염을 막기 위함이다. )
제왕 절개 수술 절개부위의 드레싱을 제거하고 봉합부위를 소독한 후 새 드레싱으로 교체하고 소독함.
⑥ 수술부위의 화농성 배액이 있는지 관찰함.
11/30
12/1
12/2
12/3
수술 부위
Clear
Clear
Clear
Clear
(*감염 증상을 수시로 확인함으로써 감염의 진전을 막는다.)
⑦ 수술 부위가 붓거나 붉어짐 또는 통증이나 열감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즉시 알릴 것을 교육함.
⑧ 충분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격려함.
→ 부적절한 영양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영양제주사를 맞을 수 있음을 설명 하였고 단백질함유가 높은 음식 섭취하기를 교육하였다.
⑨ 불필요한 단순도뇨는 지속하지 않도록 제거하고, 열이 나거나, 배뇨시 통증 또는 탁하고 악취가나는 소변을 볼 경우 간호사에게 알리기를 교육함.
11/30
12/1
12/2
12/3
도뇨관삽입
+
-
-
-
감염증상
-
-
-
-
⑩ 정맥 수액 공급 시 주사부위를 48~72시간 마다 교환한다.
→ 72시간 전에 라인 빼서 교환 불필요했음.
(* 정맥 수액 공급시 장시간 동일부위의 주사 침으로 정맥염이 생길 수 있다.)
⑪ 하루1번 전날의 오로의 양과, 냄새를 사정하고 비정상적인 변화는 간호사에게 알리기를 교육함.
11/30
12/1
12/2
12/3
Lochia
나쁜 냄새 없음
선홍색 덩어리보임 .
패드4번 교환
나쁜 냄새 없음
패드3번 교환
나쁜 냄새 없으며, 갈색으로 생리끝나는 양과 비슷 하다고 말함.
(확인 결과 패드에 3~4cm)
패드2번교환
(* 오로에서 악취가 나거나 색이 변하지 않고 다량일 경우 자궁내막염을 의심할 수 있다. )
평가
12/3 일 감염의 증상이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
날짜
2009.11.30~12.3
간호진단 #.2
분만후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사정
S:“여기서는 남이 다 해주는데 집에 가면 혼자 알아서 다 할 수 있으려나..“
S: “ 두명 더 낳을 꺼에요 ”O : 대상자는 초산부이다.
목표
- 대상자는 자가간호에 대한 교육을 이해하고 수행하며, 다음 분만 시에도 수행 하겠다고 말한다.
계획
① 대상자에게 수시로 찾아가 분만 후 궁굼한 점을 사정한다.
자가간호 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산후 합병증에 대해 스스로 이해하고 조기발견을 돕는다.
퇴원 전 자가 간호를 보기 쉽게 정리한 내용을 팜플렛으로 만들어준다.
수행
및
이론적 근거
하루 2회에서 3회 찾아가 퇴원 후 자가간호와 관련해서 궁굼한점을 사정함.
→ 산모가 수유를 길게 하면 아기 이가
⑤ 수술부위의 화농성 배액이 있는지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화농성 배액은 백혈구, 액화된 죽은 조직부스러기와 죽었거나 살아 있는 박테리아로 구성되며, 역겨운 냄새, 원인균에 따라 노랗거나 초록 또는 갈색 등으로 다른 색이며 제왕절개 같은 외과적 절개시 발생위험이 있다.
⑥ 수술 부위에 이상이 있을시 간호사에게 즉시 알리기를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상처 가장자리와 주위 조직의 열감과 발적, 열, 부종 상처의 통증 또는 고름의 양 증가 또는 육아조직의 변색은 감염을 예견한다.
⑦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부적절한 영양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영양제주사를 맞을 수 있음을 설명 하였고 단백질함유가 높은 음식 섭취하기를 교육하였다.
⑧ 불필요한 도뇨관 삽입을 지속하지 않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도뇨관을 삽입시 무균적으로 시행되지 않을 경우나 불필요한 도뇨관 삽입이 지속되었을 경우 요도에 외상을 일으켜 미생물의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비뇨기 감염발생 위험이 생긴다. 배뇨시 통증 및 농축된 소변, 탁하고 악취나는 소변, 소변에 피나 침전물이 섞이면 감염을 나타낸다.
⑨ 정맥 수액 공급시 주사부위를 48~72시간 마다 교환한다.
이론적 근거: 정맥 수액 공급시 장시간 동일부위의 주사 침으로 정맥염이 생길 수 있다.
⑩ 오로의 양상을 확인하여 감염여부를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오로는 분만 후 자궁내면이 치유되면서 나오는 분비물로 탈락막, 혈액, 점액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적색오로: 1~3일 혈액, 탈락막, 양수, 솜톨, 태지, 박테리아 등을 포함.
장액성(갈색)오로 : 4~10일 혈액량이 줄어들고 갈색, 장액, 백혈구 포함.
백색오로 : 10일에서 2~3주까지 장액성 성분이 많고 백혈구 포함.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적색오로가 반복해서 나타나거나 2주후에도 장액성 오로가 있을 경우, 그 외에 나쁜냄새, 다량의 혈괴 배출시 자궁내막염 등의 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수행
및
(* 이론적 근거)
① 수술 당일 special v/s 하면서 기침과 심호흡 할 것을 격려함.
→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기침이나 심호흡은 마취로 인한 폐합병증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 복대를 착용하게 해 체위변경을 시행하였다.
(* 폐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주고, 폐에 점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도와줌으로써 감염의 가능성을 줄인다. )
② 하루 두 번 V/S을 측정함.
11/30
12/1
12/2
12/3
BP
08:00
138/80
110/78
120/80
120/80
14:00
122/81
124/85
121/76
110/70
P
08:00
81
79
80
75
14:00
88
72
85
78
BT
08:00
36.2
36.9
37.2
36.1
14:00
36.1
36.6
36.4
36.1
(* 감염 발생 시 혈압, 맥박, 체온이 상승된다. )
③ 예방적 차원에서 항생제를 투여함. (by RN)
11/30
12/1
12/2
12/3
cefolatam 2g
Y
Y
X
X
(* 항생제를 감염 전에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예방 할 수 있다. )
④ 항생제 부작용을 관찰하고 교육함.
→ 어지럼증, 두드러기, 구내염, 구토, 기침, 두통, 설사, 복통, 이명 등의 부작용 증세가 있을 경우 바로 간호사에게 알리기를 교육하였다.
→ 매일 V/S 측정 시 저혈압, 발열 증상을 사정하였다.
⑤ 1일 1회 수술부위 드레싱을 실시함. (by RN)
(* 수술부위의 염증이나 다른 감염을 막기 위함이다. )
제왕 절개 수술 절개부위의 드레싱을 제거하고 봉합부위를 소독한 후 새 드레싱으로 교체하고 소독함.
⑥ 수술부위의 화농성 배액이 있는지 관찰함.
11/30
12/1
12/2
12/3
수술 부위
Clear
Clear
Clear
Clear
(*감염 증상을 수시로 확인함으로써 감염의 진전을 막는다.)
⑦ 수술 부위가 붓거나 붉어짐 또는 통증이나 열감이 있을 시 간호사에게 즉시 알릴 것을 교육함.
⑧ 충분한 영양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격려함.
→ 부적절한 영양은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 영양제주사를 맞을 수 있음을 설명 하였고 단백질함유가 높은 음식 섭취하기를 교육하였다.
⑨ 불필요한 단순도뇨는 지속하지 않도록 제거하고, 열이 나거나, 배뇨시 통증 또는 탁하고 악취가나는 소변을 볼 경우 간호사에게 알리기를 교육함.
11/30
12/1
12/2
12/3
도뇨관삽입
+
-
-
-
감염증상
-
-
-
-
⑩ 정맥 수액 공급 시 주사부위를 48~72시간 마다 교환한다.
→ 72시간 전에 라인 빼서 교환 불필요했음.
(* 정맥 수액 공급시 장시간 동일부위의 주사 침으로 정맥염이 생길 수 있다.)
⑪ 하루1번 전날의 오로의 양과, 냄새를 사정하고 비정상적인 변화는 간호사에게 알리기를 교육함.
11/30
12/1
12/2
12/3
Lochia
나쁜 냄새 없음
선홍색 덩어리보임 .
패드4번 교환
나쁜 냄새 없음
패드3번 교환
나쁜 냄새 없으며, 갈색으로 생리끝나는 양과 비슷 하다고 말함.
(확인 결과 패드에 3~4cm)
패드2번교환
(* 오로에서 악취가 나거나 색이 변하지 않고 다량일 경우 자궁내막염을 의심할 수 있다. )
평가
12/3 일 감염의 증상이나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
날짜
2009.11.30~12.3
간호진단 #.2
분만후 자가간호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사정
S:“여기서는 남이 다 해주는데 집에 가면 혼자 알아서 다 할 수 있으려나..“
S: “ 두명 더 낳을 꺼에요 ”O : 대상자는 초산부이다.
목표
- 대상자는 자가간호에 대한 교육을 이해하고 수행하며, 다음 분만 시에도 수행 하겠다고 말한다.
계획
① 대상자에게 수시로 찾아가 분만 후 궁굼한 점을 사정한다.
자가간호 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산후 합병증에 대해 스스로 이해하고 조기발견을 돕는다.
퇴원 전 자가 간호를 보기 쉽게 정리한 내용을 팜플렛으로 만들어준다.
수행
및
이론적 근거
하루 2회에서 3회 찾아가 퇴원 후 자가간호와 관련해서 궁굼한점을 사정함.
→ 산모가 수유를 길게 하면 아기 이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