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농축혈소판보다는 성분채집 혈소판을 사용하여 헌혈자에 대한 노출을 줄임
c. 수혈될 혈액에 자외선 조사를 하여 림프구의 항원성을 소실시킴
7) 혈액량 과부하(Volume overload)
+ 원인 및 기전
-심폐질환이 있는 환자나 만성빈혈로 혈장이 증가되어 있는 환자에게 짧은 시간에 다량의 수혈시
+임상증상
a. 폐부종 - 호흡곤란, 기침
b. 수축기 혈압이 갑자기 증가
+치료 : 이뇨제투여, 산소 공급 ; 심할 경우 phlebotomy를 시행
8) 혈철증(Hemosiderosis, Iron overload)
+원인 및 기전
-적혈구 제제 1단위에는 200㎎의 철분이 함유 → 장기적으로 수혈 받을 시 철분이 축적
-초기에는 망상내피계 세포에 축적 → 기질세포에 축적
+임상증상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양 : 1㎏당 4001,000㎎
-간기능 장애와 심장 독성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음
+치료 및 예방
a. iron chelating agent인 desferrioxamine을 사용
b. 수혈이 꼭 필요하면 적혈구 중에서도 수명이 긴 신생적혈구(neocyte)를 공급
c. 가급적 수혈 횟수를 최소화
9) 세균 오염(Bacterial contamination)
+원인
a. 멸균이 불충분하게 된 수혈기구나 용액
b. 채혈 시 불충분한 피부 소독
c. open system하에서 시행되는 조작 중의 실수
+원인균 : Pseudomonas, Citrobacter freundii, Escherichia coli, Yersinia enterocolitica
→citrate를 이용할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 증식하는 그람 음성, 장독소 생성 세균
+기전 : 혈액제제 내에서 증식하여 citrate를 소모시키면, 혈액백 속의 혈액이 응고되고 용혈을 야기
+임상증상 : 안면 홍조, 발열, 복통, 구토, 설사, shock,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DIC)
+치료 : antibiotics, 스테로이드
+예방
a. 헌혈자의 정맥천자 시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b. 수혈 시작 후 4시간 이내에 수혈을 완료
3. 수혈전파성 감염(Transfusion-Transmitted Infection)
-가장 심각한 지연성 수혈부작용
1) 바이러스성 감염
(1) 간염
① A형 간염
-혈중에 존재하는 기간이 짧고 보균자가 되는 일이 없으므로 수혈에 의한 감염은 극히 드뭄
-A형 간염 환자가 증상이 나타나기 전 잠복기에 헌혈하는 경우 전파 가능
② B형 간염
-감염 환자의 610%는 무증상 보균자
-HBs Ag에 대한 검사가 실시(1979년대 초)되면서 수혈에 의한 감염을 예방 가능
-window 시기에는 anti-HBc Ab검사를 실시
③ non-A, non-B 간염
-대부분이 C형 간염으로 만성화되거나 일부에서는 간경병과 간암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이 밝혀짐
-8090%정도의 non-A, non-B 간염은 임상적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증상이 있더라도 매우 경미하여 수혈 후 발생 빈도는 정확히 알기 힘듬
-G형 간염 : 1995년에 발견, 수혈 후 간염을 유발함이 밝혀짐
+예방
-모든 헌혈 혈액에 대해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CV Ab)검사와 ALT 검사를 병행
(2) 후천성면역결핍증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HIV)감염
-HIV 감염자 중 수혈을 통한 HIV의 감염은 약 3%, 농축응고인자 치료에 의한 경우는 약 1%
-성교에 의한 경우보다 잠복기가 짧고 AIDS로 진행되는 기간도 짧음
+예방
-고위험군(동성연애자, 마약중독자, 창녀, 혈우병환자 등)으로부터의 헌혈을 차단하기 위하여 자세
(3)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 CMV)
-수혈되는 혈구성분에 CMV가 붙어 들어가 재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신선혈액의 감염성은 저장혈액보다 높음
+임상증상
-유사 단핵구증(mononucleosis-like syndrome) : 10%이하에서 수혈 후 36주
-발열, 피부발진, 간비종대, 림프절종대, 말초혈액 비정형림프구 출현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발열, 관절통, 장염, 간염, 폐렴 등으로 심한 증상 야기
-골수 이식환자의 가장 중요한 사망 원인
(4) 기타 바이러스 감염
① Epstein-Barr virus(EBV)
-매우 드뭄, 대부분 무증상
② Parvovirus(B-19 virus)
-재생불량성 빈혈 또는 용혈성빈혈의 aplastic crisis를 초래(∵적혈구계열 세포에 대한 독성)
③ Human T-cell leukemia virus(HTLV)
-T 림프구의 다클론성 증식을 일으키는 종양바이러스
-HTLV-Ⅰ: 만성 퇴행성 신경성 질환을 야기, 수혈 후 HTLV관련 척수병증, 혈구 성분의 수혈에 의해 감염이 가능/ 혈장 성분만을 수혈한 경우에는 감염×
-HTLV-Ⅱ : HTLV-Ⅰ과 매우 유사하나 어떤 질병과의 연관성이 확실히 증명되어 있지 않음
2) 기생충 감염
① 말라리아
-수혈로 인한 감염의 주된 원인 : P. malariae, P. vivax
-적혈구 뿐 아니라 혈소판, 백혈구, 신선혈장, 동결침전제제 수혈로도 감염
-저장 혈액 내에서 1주 이상 생존하며 대개의 감염은 5일 이내의 신선혈액에 의해 이루어짐
-수혈 후 잠복기는 약 3주(750일)정도이며 감염되는 원충 수에 좌우
+예방 : 말라리아 병력자는 3년 전에 치유된 경우에만 헌혈할 수 있도록 규정
② Trypanosoma cruzi - Chagas' disease야기
③ Toxoplasma gondii - Toxoplasmosis 야기
④ Babesia microti - Babesiosis 야기
3) 세균 감염
① Treponema pallidum
-냉장 온도에서 72시간이면 대개 사멸
-근래에는 수혈로 인한 매독 감염이 매우 드뭄
② Brucella abortus : Brucellosis 야기
기본간호
REPORT
과목 : 기본간호
교수 : 김선애 교수님
제출일 : 2008. 9. 9
학번 : 200821026
이름 : 유민혜
c. 수혈될 혈액에 자외선 조사를 하여 림프구의 항원성을 소실시킴
7) 혈액량 과부하(Volume overload)
+ 원인 및 기전
-심폐질환이 있는 환자나 만성빈혈로 혈장이 증가되어 있는 환자에게 짧은 시간에 다량의 수혈시
+임상증상
a. 폐부종 - 호흡곤란, 기침
b. 수축기 혈압이 갑자기 증가
+치료 : 이뇨제투여, 산소 공급 ; 심할 경우 phlebotomy를 시행
8) 혈철증(Hemosiderosis, Iron overload)
+원인 및 기전
-적혈구 제제 1단위에는 200㎎의 철분이 함유 → 장기적으로 수혈 받을 시 철분이 축적
-초기에는 망상내피계 세포에 축적 → 기질세포에 축적
+임상증상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양 : 1㎏당 4001,000㎎
-간기능 장애와 심장 독성으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음
+치료 및 예방
a. iron chelating agent인 desferrioxamine을 사용
b. 수혈이 꼭 필요하면 적혈구 중에서도 수명이 긴 신생적혈구(neocyte)를 공급
c. 가급적 수혈 횟수를 최소화
9) 세균 오염(Bacterial contamination)
+원인
a. 멸균이 불충분하게 된 수혈기구나 용액
b. 채혈 시 불충분한 피부 소독
c. open system하에서 시행되는 조작 중의 실수
+원인균 : Pseudomonas, Citrobacter freundii, Escherichia coli, Yersinia enterocolitica
→citrate를 이용할 수 있고 낮은 온도에서 증식하는 그람 음성, 장독소 생성 세균
+기전 : 혈액제제 내에서 증식하여 citrate를 소모시키면, 혈액백 속의 혈액이 응고되고 용혈을 야기
+임상증상 : 안면 홍조, 발열, 복통, 구토, 설사, shock,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DIC)
+치료 : antibiotics, 스테로이드
+예방
a. 헌혈자의 정맥천자 시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b. 수혈 시작 후 4시간 이내에 수혈을 완료
3. 수혈전파성 감염(Transfusion-Transmitted Infection)
-가장 심각한 지연성 수혈부작용
1) 바이러스성 감염
(1) 간염
① A형 간염
-혈중에 존재하는 기간이 짧고 보균자가 되는 일이 없으므로 수혈에 의한 감염은 극히 드뭄
-A형 간염 환자가 증상이 나타나기 전 잠복기에 헌혈하는 경우 전파 가능
② B형 간염
-감염 환자의 610%는 무증상 보균자
-HBs Ag에 대한 검사가 실시(1979년대 초)되면서 수혈에 의한 감염을 예방 가능
-window 시기에는 anti-HBc Ab검사를 실시
③ non-A, non-B 간염
-대부분이 C형 간염으로 만성화되거나 일부에서는 간경병과 간암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이 밝혀짐
-8090%정도의 non-A, non-B 간염은 임상적 증상을 보이지 않으며 증상이 있더라도 매우 경미하여 수혈 후 발생 빈도는 정확히 알기 힘듬
-G형 간염 : 1995년에 발견, 수혈 후 간염을 유발함이 밝혀짐
+예방
-모든 헌혈 혈액에 대해 C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anti-HCV Ab)검사와 ALT 검사를 병행
(2) 후천성면역결핍증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HIV)감염
-HIV 감염자 중 수혈을 통한 HIV의 감염은 약 3%, 농축응고인자 치료에 의한 경우는 약 1%
-성교에 의한 경우보다 잠복기가 짧고 AIDS로 진행되는 기간도 짧음
+예방
-고위험군(동성연애자, 마약중독자, 창녀, 혈우병환자 등)으로부터의 헌혈을 차단하기 위하여 자세
(3)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 CMV)
-수혈되는 혈구성분에 CMV가 붙어 들어가 재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신선혈액의 감염성은 저장혈액보다 높음
+임상증상
-유사 단핵구증(mononucleosis-like syndrome) : 10%이하에서 수혈 후 36주
-발열, 피부발진, 간비종대, 림프절종대, 말초혈액 비정형림프구 출현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발열, 관절통, 장염, 간염, 폐렴 등으로 심한 증상 야기
-골수 이식환자의 가장 중요한 사망 원인
(4) 기타 바이러스 감염
① Epstein-Barr virus(EBV)
-매우 드뭄, 대부분 무증상
② Parvovirus(B-19 virus)
-재생불량성 빈혈 또는 용혈성빈혈의 aplastic crisis를 초래(∵적혈구계열 세포에 대한 독성)
③ Human T-cell leukemia virus(HTLV)
-T 림프구의 다클론성 증식을 일으키는 종양바이러스
-HTLV-Ⅰ: 만성 퇴행성 신경성 질환을 야기, 수혈 후 HTLV관련 척수병증, 혈구 성분의 수혈에 의해 감염이 가능/ 혈장 성분만을 수혈한 경우에는 감염×
-HTLV-Ⅱ : HTLV-Ⅰ과 매우 유사하나 어떤 질병과의 연관성이 확실히 증명되어 있지 않음
2) 기생충 감염
① 말라리아
-수혈로 인한 감염의 주된 원인 : P. malariae, P. vivax
-적혈구 뿐 아니라 혈소판, 백혈구, 신선혈장, 동결침전제제 수혈로도 감염
-저장 혈액 내에서 1주 이상 생존하며 대개의 감염은 5일 이내의 신선혈액에 의해 이루어짐
-수혈 후 잠복기는 약 3주(750일)정도이며 감염되는 원충 수에 좌우
+예방 : 말라리아 병력자는 3년 전에 치유된 경우에만 헌혈할 수 있도록 규정
② Trypanosoma cruzi - Chagas' disease야기
③ Toxoplasma gondii - Toxoplasmosis 야기
④ Babesia microti - Babesiosis 야기
3) 세균 감염
① Treponema pallidum
-냉장 온도에서 72시간이면 대개 사멸
-근래에는 수혈로 인한 매독 감염이 매우 드뭄
② Brucella abortus : Brucellosis 야기
기본간호
REPORT
과목 : 기본간호
교수 : 김선애 교수님
제출일 : 2008. 9. 9
학번 : 200821026
이름 : 유민혜
추천자료
[간호학]관상동맥질환에 관하여(관상동맥질환문헌고찰,관상동맥질환치료,관상동맥질환간호,관...
[성인간호학]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간...
[성인간호학][투석간호][투석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분만간호][산모.신생아 간호]산욕기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중환자간호) 두개내압 상승간호 (두개내압 , 두개내압 감시, 뇌실 외 배액, 두개내압 상승 ...
[간호사의 윤리적딜레마]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개요, 윤리적 의사결정 : 간호사의 윤리적 ...
[고위험모아간호학 공통] A.고위험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사정(진단평가,임상증상) 치료 및 ...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간호사례연구 & 간호과정
대퇴 골절 간호과정 - 간호진단 5개 /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
기초간호과학 2017-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염증의 형태적 분류와 그...
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입니다. (아동 간호과정) (폐렴간호과정)
아동건강간호학, 아동간호학케이스,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케이스A+++, case study, 아동...
(간호사윤리적딜레마)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사례 ;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이론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