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밀봉흉곽배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밀봉흉곽배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밀봉흉곽배액의 정의

2. 밀봉흉곽배액의 목적

3. 밀봉흉곽배액의 적용

4. 밀봉흉곽배액의 원리

5. 밀봉흉곽배액기구의 종류

6. 흉관 삽입의 보조

7. 흉곽튜브를 삽입하는 동안의 간호

8. 밀봉흉곽배액을 하는 환자의 관리

9. 흉곽배액에 영향을 주는 요소

참고문헌

본문내용

8) 사고 발생 시 응급처치
- 병이 깨진 경우
병이 깨지면 대기는 흉막강 내로 들어간다. 이때 흉곽튜브를 잠가 기흉을 방지한다.
공기가 나오고 있지 않던 대상자는 즉시 튜브를 잠그고 배액기구가 준비되면 튜브 끝을 소독수로 닦은 후 연결시킨다.
공기가 나오던 대상자는 튜브를 잠근 후 다른 배액기구가 준비될 때까지 시간이 오래걸린다면 대상자의 상태를 잘 살펴서 긴장성 기흉이 생기는지 봐야 한다.
튜브를 잠근 후 대상자가 숨을 가쁘고 얕게 쉬며 불안해하고, 청색증이 생기면 긴장성기흉이 발생할 수 도 있다. 즉시 잠갔던 튜브를 풀어주어야 한다. 튜브를 풀어 생기는개방성 기흉보다는 긴장성 기흉이 훨씬 더 위험하기 때문이다.
- 연결관이 풀어진 경우
즉시 다시 연결해 주고 테이프로 고정시킨다.
- 배액병이 사고로 쓰러졌을 때
빨리 병을 일으켜 세워 놓고 기능이 돌아오는지 확인한다.
심호흡을 몇 번 하도록 하여 흉막강내로 들어간 공기를 배출시킨다.
- 배액병이 대상자의 가슴 높이에 올라가 있었을 때
배액병 내에 있는 물이 흉막강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많은 물이 들어간 경우 폐는 허탈되고 종격동은 변위된다.
얼른 내려놓고 기능을 확인한다. 흡인기과 연결한 후 보고한다.
흉곽배액기구의
위치
기구는 항상 대상자의 흉곽보다 낮은 수준에 놓아야함
배액병은 흉부로부터 70~90cm 아래 둠
(⇒ 중력에 의해 배액 유지, 흉막강 내 역류 방지)
대상자를 옮길 때는 흉곽튜브의 겸자를 잠그고 배액기구를 침대 위에 놓는다.
단, 기흉이 있을 때 잠그면 안 된다.
대상자의
자세
반좌위
튜브가 있는 쪽으로 대상자를 돌려 눕힐 때는 튜브가 눌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작은
모래주머니/접은 타월을 튜브 양쪽에 놓는다.
흉곽튜브의
길이
튜브를 침구에 고정시키는 지점을 기준으로
[대상자가 일어나 앉거나 돌아누울 길이+고정지점에서 배액병까지 곧게 연결될 길이]
튜브는 대상자의 침요에 고정하여 거기서부터 배액병까지는 곧게연결되어 고리가
만들어지지 않도록 해야 함
고리가 생길시 체액유통 폐색시키고 압력을 발생시켜 공기와 체액의 배액을 방해
튜브는 침구에 안전하게 고정시킴 (고무 밴드나 테이프)
침구로부터 튜브길이는 대상자가 일어나 앉거나 돌아누울 때 엉키거나 꼬이지 않아야함
대상자가 움직이고 나면 튜브 위치 확인
흉곽튜브의
개방유지
개방성 자주 관찰
꼬여있는지, 혈전으로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
흉곽튜브가 막힐 위험이 있을 때 : 엄지와 검지로 눌러줌
특별한 경우 제외하고 튜브 훑어주거나 짜주기 사용 X
훑어주기, 짜주기 흉곽 내 음압을 상승시켜 폐 손상 가능
배액병에 연결되는 부분에 설압자를 테이프고 붙여 두어 꼬이는 것을 방지
합병증 생길시 즉시 교정해 주어야 하며 증상을 관찰해야 함
밀봉흉곽배액의 밀폐유지
병마개에 새는 곳 없이 테이프로 붙임
밀폐되지 않을 시 흉막강 내 음압이 이루어지지 않아 긴장성 기흉 일어날 수 있음
흡인압력의
조절
흡인기의 압력은 의사의 결정에 따라 조절
보통 15cmH₂O 유지
기능
관찰법
-정상
흡기시 : 흉막강내압 저하 ⇒ 물이 긴 대롱 안으로 밀고 올라옴
호기시 : 흉막강내압 상승 ⇒ 물이 대롱 안에서 아래로 내려감
- 물의 파동이 없을 때 튜브가 눌리거나 꼬이지 않았는지 확인
대상자의 자세를 바꿔보고 심호흡과 기침 격려
파동 없을 때에는 의사에게 알림 밀봉병 안의 물속에 잠긴 긴 대롱 관찰
- 기흉이나 흉부수술 후 밀봉 흉곽 배액 시 흉막강 내에서 공기가
제거되므로 밀봉병에 물방울이 생김
- 흉막강내 공기가 없는 경우에도 물방울이 생김
어딘가에서 공기가 새어 들어가고 있음을 의미
(물방울 관찰, 계속 물방울이 나오면 흉곽튜브를 살펴보고 구멍 난 곳 테이프를 붙임- 밀 봉병에 공기 새는 곳이 없는데 물방울이 빨리 올라오는 것은폐 쪽 흉막의 파열이나 절개 부위에서 공기가 새고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즉시 보고하여야 한다.)
밀봉병 내의 물방울
흡입조절병 작동여부
- 물을 통해 흡인조절 대롱으로 올라오는 물방울로 확인
9. 흉곽배액에 영향을 주는 요소
<참고문헌>
Sigma Theta Tau Lamda, 편찬(2006), 최신임상간호매뉴얼Ⅰ제7판, 현문사, pp.382-388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상)제4판, 현문사, pp. 652-656
서문자 외(1999), 성인간호학(상2), 수문사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4.1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0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