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목차
제1장 한국 근대문학의 성립
1. 국어국문운동과 근대문학의 성립
(1) 한국 사회의 근대적 변혁
(2) 국어국문운동과 국문체
(3) 새로운 글쓰리기로서의 문학
2. 서사 양식의 확대와 분화
(1) 개화계몽 시대 서사 양식의 분화
(2) 영웅 전기와 반식민주의적 성격
(3) 풍자와 우화 그리고 현실 비판
(4) 신소설의 서사 구조
3. 개화계몽 시대의 시가 문학
(1) 시가 문학의 형태적 변혁
(2) 가사 양식의 분화와 확대
(3) 시조의 변화
(4) 신시의 형식적 모색
제2장 근대적 주체와 문학 양식의 발견
1. 식민지 상황과 문학의 대응
(1) 일본의 식민지 문화 정책
(2) 반식민운동과 민족의 자기 발견
(3) 근대문학의 전개
2. 개인과 현실의 발견
(1) 근대소설의 형식과 그 전개
(2) 단편소설 양식의 정립
(3) 염상섭과 근대소설의 확립
3. 민족 정서와 개성의 표현
(1) 시적 형식과 시 정신 추구
(2) 민족 정서의 시적 발견
4. 근대적 극문학의 성립
(1) 연희 형태의 변화
(2) 희곡과 극문학의 성립
제3장 문학과 이념의 대립
1. 문학*민족*계급
(1) 계급문학운동의 성립
(2) 계급문학운동의 조직과 사회적 확대
(3) 계급문학운동의 이념과 노선
(4) 계급문학운동의 조직 해체
2. 계급소설과 리얼리즘의 성과
(1) 경향소설과 소설의 이념성
(2) 농민소설과 농민문학론
(3) 노동소설의 이념적 진보성
(4) 계급문학운동과 동반자소설
3. 시적 형상과 계급적 이념
(1) 계급시와 이념적 경향
(2) 계급시의 창작적 성과
4. 무산 계급과 연극운동
(1) 프로연극운동의 성격
(2) 경향극과 대중성
제4장 문학의 정신과 기법의 전환
1. 문학의 논리와 방법의 전환
(1) 군국주의의 확대와 문학의 변화
(2) 암흑기의 상황과 문학
2. 소설의 양식과 기법의 분화
(1) 식민지 현실과 소설에 대한 반성
(2) 모더니즘 소설과 산문의 시학
(3) 현실과 풍자와 비판
(4) 여성소설의 등장과 여성적 관점
(5) 역사소설의 양식적 확대와 대중성
3. 시 정신과 언어의 발견
(1) 시 정신과 감수성의 변화
(2) 시적 언어와 서정적 율조
(3) 모더니즘의 시와 시적 모더니티
(4) 모더니티의 시적 지양
(5) 시적 의지와 자기희생
4. 극문학의 대중성과 사실주의적 성과
(1) 극예술연구회의 활동
(2) 사실주의 극의 확립과 연극의 대중성
찾아보기
1945-2000 한국현대문학사 2 / 권영민 / 민음사 2005
책 머리에
서설: 분단 시대의 문학
제1장 한국의 해방과 민족문학의 확립
1. 한국문학과 8.15 해방
(1) 해방의 의미
(2) 해방 직후의 문단
2. 민족문학의 건설 방향
(1) 식민지 문화 청산과 자기비판
(2) 좌익 문단의 민족문하골ㄴ
(3) 민족문학과 순수문학론
3. 현실과 이념의 갈등
(1) 해방 공간의 소실
(2) 체험의 형식과 비판의 형식
(3) 방법의 모색과 이념의 선택
(4) 극문학의 분열
4. 시 정신과 이데올로기의 충돌
(1) 정치 시대의 시와 시인
(2) 이념의 시와 순수의 시
제2장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1. 잃어버린 문학의 시대
2. 서사적 공간과 황폐한 삶
(1) 전후소설의 가능성
(2) 저항과 비판의 정신
(3) 윤리 의식과 인간 탐구
(4) 극문학과 전통 의식
3. 서정의 세계와 인식의 언어
(1) 전후시의 몇 가지 경향
(2) 순수와 서정의 세계
(3) 시적 인식과 그 확대
4. 전후 상황의 극복과 지양
(1) 전후문학의 한계와 그 극복
(2) 참여시와 순수시
(3) 전후세대의 변모와 소설적 감성
(4) 풍자극과 희극성
제3장 산업화 과정과 문학의 사회적 확대
1. 산업화 시대의 문학
2. 민족문학의 논리와 실천
(1) 민족문학의 재인식
(2) 민족문학론의 논리
(3) 민족문학론과 민중론
(4) 민족문학론의 성과와 한계
3. 사회 변동과 소설적 상상력의 대응
(1) 주제와 기법의 변주
(2) 소설적 기법과 산문 정신
(3) 사회 계층의 갈등 양상
(4) 분단 현실의 소설적 인식
(5) 여성적 시각과 여성주의의 확대
(6) 소설 양식의 확대
(7) 민속극의 현대적 반응
4. 시 정신과 일상성의 회복
(1) 민중시와 민중적 상상력
(2) 관념과 기법과 정서
(3) 시와 경험적 진실성
제4장 북한의 문학
1. 분단시대의 북한문학
2. 북한문학의 성립과 그 전개 양상
(1) 북한문학과 사회주의 국가 건설
(2) 전후의 북한문학
(3) 주체 시대의 문학
(4) 1980년대의 북한문학
3. 북한문학의 이념적 성격
(1) 주체사상과 혁명성
(2) 북한문학과 혁명성의 전통
4. 북한문학의 의미
1. 국어국문운동과 근대문학의 성립
(1) 한국 사회의 근대적 변혁
(2) 국어국문운동과 국문체
(3) 새로운 글쓰리기로서의 문학
2. 서사 양식의 확대와 분화
(1) 개화계몽 시대 서사 양식의 분화
(2) 영웅 전기와 반식민주의적 성격
(3) 풍자와 우화 그리고 현실 비판
(4) 신소설의 서사 구조
3. 개화계몽 시대의 시가 문학
(1) 시가 문학의 형태적 변혁
(2) 가사 양식의 분화와 확대
(3) 시조의 변화
(4) 신시의 형식적 모색
제2장 근대적 주체와 문학 양식의 발견
1. 식민지 상황과 문학의 대응
(1) 일본의 식민지 문화 정책
(2) 반식민운동과 민족의 자기 발견
(3) 근대문학의 전개
2. 개인과 현실의 발견
(1) 근대소설의 형식과 그 전개
(2) 단편소설 양식의 정립
(3) 염상섭과 근대소설의 확립
3. 민족 정서와 개성의 표현
(1) 시적 형식과 시 정신 추구
(2) 민족 정서의 시적 발견
4. 근대적 극문학의 성립
(1) 연희 형태의 변화
(2) 희곡과 극문학의 성립
제3장 문학과 이념의 대립
1. 문학*민족*계급
(1) 계급문학운동의 성립
(2) 계급문학운동의 조직과 사회적 확대
(3) 계급문학운동의 이념과 노선
(4) 계급문학운동의 조직 해체
2. 계급소설과 리얼리즘의 성과
(1) 경향소설과 소설의 이념성
(2) 농민소설과 농민문학론
(3) 노동소설의 이념적 진보성
(4) 계급문학운동과 동반자소설
3. 시적 형상과 계급적 이념
(1) 계급시와 이념적 경향
(2) 계급시의 창작적 성과
4. 무산 계급과 연극운동
(1) 프로연극운동의 성격
(2) 경향극과 대중성
제4장 문학의 정신과 기법의 전환
1. 문학의 논리와 방법의 전환
(1) 군국주의의 확대와 문학의 변화
(2) 암흑기의 상황과 문학
2. 소설의 양식과 기법의 분화
(1) 식민지 현실과 소설에 대한 반성
(2) 모더니즘 소설과 산문의 시학
(3) 현실과 풍자와 비판
(4) 여성소설의 등장과 여성적 관점
(5) 역사소설의 양식적 확대와 대중성
3. 시 정신과 언어의 발견
(1) 시 정신과 감수성의 변화
(2) 시적 언어와 서정적 율조
(3) 모더니즘의 시와 시적 모더니티
(4) 모더니티의 시적 지양
(5) 시적 의지와 자기희생
4. 극문학의 대중성과 사실주의적 성과
(1) 극예술연구회의 활동
(2) 사실주의 극의 확립과 연극의 대중성
찾아보기
1945-2000 한국현대문학사 2 / 권영민 / 민음사 2005
책 머리에
서설: 분단 시대의 문학
제1장 한국의 해방과 민족문학의 확립
1. 한국문학과 8.15 해방
(1) 해방의 의미
(2) 해방 직후의 문단
2. 민족문학의 건설 방향
(1) 식민지 문화 청산과 자기비판
(2) 좌익 문단의 민족문하골ㄴ
(3) 민족문학과 순수문학론
3. 현실과 이념의 갈등
(1) 해방 공간의 소실
(2) 체험의 형식과 비판의 형식
(3) 방법의 모색과 이념의 선택
(4) 극문학의 분열
4. 시 정신과 이데올로기의 충돌
(1) 정치 시대의 시와 시인
(2) 이념의 시와 순수의 시
제2장 전후의 현실과 문학의 분열
1. 잃어버린 문학의 시대
2. 서사적 공간과 황폐한 삶
(1) 전후소설의 가능성
(2) 저항과 비판의 정신
(3) 윤리 의식과 인간 탐구
(4) 극문학과 전통 의식
3. 서정의 세계와 인식의 언어
(1) 전후시의 몇 가지 경향
(2) 순수와 서정의 세계
(3) 시적 인식과 그 확대
4. 전후 상황의 극복과 지양
(1) 전후문학의 한계와 그 극복
(2) 참여시와 순수시
(3) 전후세대의 변모와 소설적 감성
(4) 풍자극과 희극성
제3장 산업화 과정과 문학의 사회적 확대
1. 산업화 시대의 문학
2. 민족문학의 논리와 실천
(1) 민족문학의 재인식
(2) 민족문학론의 논리
(3) 민족문학론과 민중론
(4) 민족문학론의 성과와 한계
3. 사회 변동과 소설적 상상력의 대응
(1) 주제와 기법의 변주
(2) 소설적 기법과 산문 정신
(3) 사회 계층의 갈등 양상
(4) 분단 현실의 소설적 인식
(5) 여성적 시각과 여성주의의 확대
(6) 소설 양식의 확대
(7) 민속극의 현대적 반응
4. 시 정신과 일상성의 회복
(1) 민중시와 민중적 상상력
(2) 관념과 기법과 정서
(3) 시와 경험적 진실성
제4장 북한의 문학
1. 분단시대의 북한문학
2. 북한문학의 성립과 그 전개 양상
(1) 북한문학과 사회주의 국가 건설
(2) 전후의 북한문학
(3) 주체 시대의 문학
(4) 1980년대의 북한문학
3. 북한문학의 이념적 성격
(1) 주체사상과 혁명성
(2) 북한문학과 혁명성의 전통
4. 북한문학의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