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관·유가의 화회
2. 아라야식의 두 가지 의미
3. 삼세·아라야식의 새로운 해석
4. 부주열반론 사상
2. 아라야식의 두 가지 의미
3. 삼세·아라야식의 새로운 해석
4. 부주열반론 사상
본문내용
나타내어 중생의 근거에 따라 그를 이롭게 하는 후득지 내지 후득지의 작용이라 할 수 있다.
원효는 먼저 <대승기신론>이 진과 속이 둘이 아님을 치유하기 위한 중관·유식의 지양·종합설임을 천명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삼세·아라야식설을 창안하였다. 이러한 원효의 입장은, 열반에 안주하지 않고 하화중생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부주열반의 정신으로 귀결된다.
원효는 먼저 <대승기신론>이 진과 속이 둘이 아님을 치유하기 위한 중관·유식의 지양·종합설임을 천명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삼세·아라야식설을 창안하였다. 이러한 원효의 입장은, 열반에 안주하지 않고 하화중생에 뛰어들어야 한다는 부주열반의 정신으로 귀결된다.
추천자료
한국불교사상
불교의 민간전승 - 민간신앙의 불교 토착화를 중심으로
중국불교 법상종에 대한 고찰
호국불교 전통에 대한 이념적 근거와 반성적 성찰
불교와 육식
[원효][원효대사][원효사상][원효(원효대사) 일심사상][원효(원효대사) 불교학 습득과정]원효...
국가불교의 순기능과 역기능
[삼국시대][삼국시대 한문학][삼국시대 공예][삼국시대 불교미술][삼국시대 미술][삼국시대 ...
[백제시대 건축][백제시대 건축 불교사원][백제시대 건축 불사건축][백제시대 건축물]백제시...
이차돈 순교의 역사적의미와 고대국가에 불교가 도입/불교의 영향등~!!!!!!!!!!!
[종교적 관점][불교][토지][효율]종교적 관점으로 본 불교, 종교적 관점으로 본 토지, 종교적...
불교- 출가에서 사리까지.
인도불교의 발전과 전파 및 쇠퇴
[인도불교철학] 부파불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