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수발보험제도 도입 관련 호주 출장 결과 보고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수발보험제도 도입 관련 호주 출장 결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출 장 개 요 1

Ⅱ. 출 장 결 과 2
1. 호주 장기요양제도 개요 2
2. 호주 장기요양급여 개괄 3
3. 호주 장기요양제도 체계 7
4. 호주 장기요양제도 재정 및 수가 13
5. 장기요양서비스 인증제도 및 표준 관리 19

본문내용

1.1
(0.68)
5.9
(0.56)
5.2
(0.12)
11.7
\"
노르웨이
24.0
(2.15)
6.0
(1.45)
18.0
(0.69)
15.2
\"
폴란드
-
-
-
12.2
\"
스페인
-
-
-
17.0
\"
스웨덴
17.0
(2.89)
7.9
(2.07)
9.1
(0.89)
17.3
\"
스위스
12.4
(1.54)
7.0
(1.34)
5.4
(0.20)
15.3
\"
영국
25.4
(1.37)
5.1
(0.96)
20.3
(0.33)
15.8
\"
미국
7.1
(1.25)
4.3
(0.88)
2.8
(0.38)
12.4
65+(메디케어)
OECD
13.9
(0.25)
4.8
(0.88)
9.1
(0.38)
13.8
※ ( )는 GDP대비 지출비중 *는 2003년
□ 호주 고령인구 비중
65세이상
80세이상
증감(%p)
증감(%p)
1960
2000
2040
60~00
00~40
1960
2000
2040
60~00
00~40
호주
8.5
12.4
22.5
3.9
10.1
1.2
2.9
7.3
1.7
4.1
오스트리아
12.2
15.5
29.6
3.3
14.1
1.8
3.5
8.2
1.7
4.7
벨기에
12.0
16.8
27.4
4.8
10.6
1.8
3.6
8.6
1.8
5.0
캐나다
7.5
12.5
24.6
5.0
12.1
1.2
3.0
8.1
1.8
5.1
체코
8.7
13.8
28.8
5.1
15.0
1.2
2.4
8.5
1.2
6.1
덴마크
10.6
14.8
24.1
4.2
9.3
1.6
4.0
6.9
2.4
2.9
핀란드
7.3
14.9
26.2
7.6
11.3
0.9
3.4
9.0
2.5
5.6
프랑스
11.6
16.1
26.6
4.5
10.5
2.0
3.7
9.1
1.7
5.4
독일
-
16.4
29.7
-
13.3
-
3.7
8.7
3.7
5.0
그리스
8.1
17.3
28.2
9.2
10.9
1.3
3.5
7.9
2.2
4.4
헝가리
9.0
15.1
25.7
6.1
10.6
1.1
2.6
7.1
1.5
4.5
아이슬란드
8.0
11.7
22.6
3.7
10.9
1.1
2.8
7.1
1.7
4.3
아일랜드
11.1
11.2
20.5
0.1
9.3
1.9
2.6
5.5
0.7
2.9
이태리
9.3
18.1
33.7
8.8
15.6
1.4
4.0
10.0
2.6
6.0
일본
5.7
17.4
35.3
11.7
17.8
0.7
3.8
14.1
3.1
10.3
한국
2.9
7.2
27.8
4.3
20.6
0.2
1.0
7.1
0.8
6.1
룩셈부르크
10.8
14.2
24.0
3.4
9.8
1.6
3.0
7.4
1.4
4.4
멕시코
4.2
4.6
15.4
0.4
10.8
0.5
0.6
3.7
0.1
3.1
네덜란드
9.0
13.6
25.5
4.6
11.9
1.4
3.2
7.6
1.8
4.4
뉴질랜드
8.6
11.7
22.8
3.1
11.1
1.5
2.8
7.0
1.3
4.2
노르웨이
11.0
15.2
26.3
4.2
11.1
2.0
4.3
8.6
2.3
4.3
폴란드
6.0
12.2
24.1
6.2
11.9
0.7
2.0
7.5
1.3
5.5
포르투칼
7.9
16.3
24.0
8.4
7.7
1.1
3.4
6.2
2.3
2.8
슬로바키아
6.9
11.4
23.2
4.5
11.8
1.0
1.9
6.3
0.9
4.4
스페인
8.2
16.9
30.7
8.7
13.8
1.1
3.8
8.5
2.7
4.7
스웨덴
11.7
17.3
25.2
5.6
7.9
1.9
5.0
7.9
3.1
2.9
스위스
10.2
15.3
33.1
5.1
17.8
1.5
4.0
11.1
2.5
7.1
터어키
3.5
5.7
14.3
2.2
8.6
0.3
0.6
2.6
0.3
2.0
영국
11.7
15.9
25.4
4.2
9.5
1.9
4.0
7.3
2.1
3.3
미국
9.2
12.4
20.4
3.2
8.0
1.4
3.3
6.9
1.9
3.6
OECD평균
8.7
13.8
25.6
5.4
11.8
1.3
3.1
7.7
1.8
4.6
3. 호주 노인장기요양제도 체계
< Australia\'s Aged Care Framework >
대상자 선정
○ 노인요양 평가프로그램(Aged Care Assessment Program, ACAP)
- ACAT은 노인의 장기요양욕구를 사정하고, 욕구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에 자격이 되는지를 심사해 주기위해 구성된 전문인력팀
- ACAT(Aged Care Assessment Teams)의 주요 구성인력은 노인전문의, 일반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물리치료사 등
- ACAT은 노인의 의학적,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정신심리학적 욕구를 포괄적으로 사정하며, 노인과 가족에게 서비스 선택의 범위와 필요한 정보를 제공
- 노인의 희망과 요구, 가족과 일차수발자의 의견등이 ACAT이 케어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 노인이 ACAT에 의해 자격심사를 받은 후에는 그들의 케어욕구에 따라 연방정부에서 재정지원이 되는 대상
서비스 유형
건강상태
프로그램
시설서비스
high care
Nursing Home입주
low care
Hostel 입주
지역사회서비스
high care
EACH(Extended Aged Care at Home)
low care
CACP(Community Aged Care Package)
지역사회(재가)서비스
○ 노인이 자신의 집에서 서비스를 받기위해서는 지역사회 서비스를 선택해야 함
지역사회서비스 종류
구분 기준
CACP
- 연방정부 제공, ACAT 판정 필요
- low care에 해당자 서비스
HACC
- 지방정부 제공, ACAT 판정 불필요
EACH
- 연방정부 제고, ACAT 판정 필요
- high care에 해당자 서비스
○ CACP (Community Aged Care Package)
- 개념
요양시설서비스의 low care 에 해당하는 기능상태와 복합적인 건강문제를 가진 노인들이 집에서 시설서비스에 준하는 통합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설 대안적 지역사회서비스
- 대상
CACP를 받기위해서는 먼저 ACAT에 의해 욕구가 사정되고 자격심사를 거쳐야 함
- 서비스 내용
노인 개개인에 맞는 서비스 패기지가 제공
목욕, 식사준비, 세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1.27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