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골수성 백혈병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급성 골수성 백혈병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성인 간호사례 연구 보고서
1) 서론
사례 연구의 필요성
사례 연구의 목적
사례선택 배경
2) 대상자소개
3) 진단명, 진단검사, 임상 lab자료 및 치료과정
진단명: 임상 lab자료: 주사: 먹는약:
4) 관련 질병 및 문헌 고찰
정의
병태생리
건강사정

(1) 자료수집
A. 일반적 사항
B. 건강력
① 주호소 ( chief complaints ) ;
② 현병력 ( present illness )
a. 발병 ( onset )
b. 유형
c. 발병이후의 과정
d. 입원으로 인한 대상자의 반응
③ 과거력 ( past history )

② 특수 검사 ( 특수 치료 )감 사 명
검사 목적
bone
marrow
aspiration
1) 정의
2) 목적
3) 골수검사 적응증
1)검사 전 간호
2)검사후 간호
③ 외과적 치료 ( 해당되는 경우에만 기술할 것 )
E. 약물
(2) 간호과정양식
간호사정
간호진단(3개: 출혈위험성, 감염위험성, 골수이식과 관련된 지식부족, 수혈부작용위험성)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목표
계획

본문내용

한 모든 연조직에 침윤되기 때문에 간 종대 및 비장종대(50%), 침윤된 연조직 비후(예: 잇몸비대, 직장비대), 림프선종, 간 종대 및 비장종대로 인한 복부 불편감 및 복통, 조기 포만감이 나타난다.
미성숙 골수아세포는 정상 백혈구에 비해 염증이나 감염부위에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없고, 탐식작용이나 세균파괴도 효과적으로 할 수 없기 때문에 감염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되어 감염에 잘 걸린다. 미성숙 백혈구의 골수강 침윤으로 인한 혈색소 감소 및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 출혈로 인한 혈액상실, 철분결핍으로 인한 빈혈 증상으로 창백, 전신권태, 피로가 나타난다.
혈소판 감소 및 기능 부전, 응고인자 감소, 섬유소 용해작용 증가로 인한 출혈(예: 쉽게 멍듬, 반상출혈, 점상출혈, 잇몸출혈, 비정상적인 월경), 항암제 투여 후 백혈병세포가 파괴되면서 응혈촉진제가 유리되어 미세혈관을 폐색하기 때문에 DIC가 발생되고, DIC로 인해 치명적인 CNS 출혈이 발생될 수 있다.
임상증상
①백혈병의 전구증후군이 발병 3개월 이내에 출현하나 AML의 25% 정도에서 나타나며, 수개월~ 수년간 지속될 수도 있다.
②백혈병성 울혈(leukostasis)은 폐, 뇌에서 흔한데, 순환백혈병세포수가 100,000/ml 이상 일때 잘 발생된다. 백혈병성 울혈이란 백혈병 세포에 의해 미세혈관의 순환장애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③출혈은 혈소판 감소, 혈액응고장애, 혈소판기능저하에서 발생된다.
④감염은 급성 백혈병의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호중구가 108/l 이하일 때 나타나며, 주로 피부, 잇몸, 항문주위, 폐, 요로계에 흔하고, 원인균은 그람음성균, 그람양성균, candidar 균종이다.
⑤비장종대, 간종대는 백혈병세포가 비장과 간에 침윤되므로 발생됨.
⑥녹색종은 백혈병 세포가 피부, 폐, 안구, 비인후부, 신장, 고환, 연조직에 침윤되어 덩어리를 형성할 때 나타난다.
⑦백혈병성 뇌막염은 백혈병세포가 중추신경계를 침범할 때 발새오디는데, 뇌척수액 검사에서 백혈병 세포 발견, 단백질 증가, 혈당 감소가 특징이다.
건강사정
①빈혈, 비정상 백혈구 출현, 혈소판 감소
②말초혈액에서 백혈구 수가 5000 이상일 때는 백혈병 세포가 출현한다.
③골수검사에서 30~100% 미성숙 세포가 출현한다.
④muramidase, 또는 lysozyme 증가는 AML에서 흔하다.
⑤혈액화학검사에서 NA저하, K 저하, 요산증가, Cawj하, P 상승, 간 기능이상이 나타난다.
예후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양호
불량
염색체 비정상
(8.21)(15.7)
(9,22)
연령
60세 이하
60세 이상
전백혈병(preleukemia)
음성
양성
골수부전 증후군
음성
양성
속발성 백혈병
음성
양성
WBC수
낮다
높다
발열
없다
있다
출혈
없다
있다
LDH 수준
낮다
높다
치료
치료목표는 골수의 백혈병 세포를 박멸시키는 것으로, 초기에 완전완화를 실시한다.
①지지요법으로 감염통제, 출혈조절, 합병증 예방
②항암요법
③조혈모이식술
진단적 평가
① 전혈구 검사(CBC)와 혈액 도말검사 - 과량의 좌립구, 혈소판 감소
② 골수흡입과 생검 - 과세포 증식, 대개 Ph 염색체가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
① 백혈구 정체
② 감염, 출혈, 장기 손상
③ 골수이식이나 Alpha interferon 치료를 제외하고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예후는 예상할 수 없음.
5) 간호과정
(1) 자료수집
자료수집일 __2008. 9. 2____ 정보제공자 ___본인______________
A. 일반적 사항
성명 이동 x 성별 남 생년월일 1962.3.21
연령 46세 주소 부산시 부산진구 양정 2동
종교 기독교 경제상태 어려움
직업 회사원 교육정도 대졸
B. 건강력
① 주호소 ( chief complaints ) ; 대상자나 보호자가 표현한 증상이나 문제
G-ache, G-weakness, skin itching
② 현병력 ( present illness )
a. 발병 ( onset )
날짜 2008.4월
형태 감기증상, G-weakness
기간: 5개월간 지속
촉진요인: 운동, 일상생활
b. 유형
동통의 부위와 범위, 강도 혹은 심한정도 : 발부분 둔하고 무거운 통증 있음. 통증지수(10점-가장 극심함) 3 checked.
시간 (지속적/간헐적, 기간, 타부위와의 관련성 ): 일상생활에도 피로감을 느끼며 오전 보다는 오후가 더 하다함. 운동후에는 G-weakness develop
악화요인/완화요인,: 악화요인-chemo therapy
동반되는 증상
c. 발병이후의 과정
발병의 성격: 급성
진행과정: 4월 18일 bone section 검사에서 needle biopsy: leukemic cell infiltration 2 차 chemo까지 마친 후 실시한 bone section 검사에서는 there are very small numbers of scattered innature myeloid cells. there are too scanty to count and insignificant. 로 나와 치료 후 호전보이는 상태임.
치료효과 : 상동
d. 입원으로 인한 대상자의 반응
‘병원생활이 무료하다. 잠도 잘안오고 해서 수면제를 이용한다. 그렇지만 내 병이 치료효 과가 좋다하고 10월 쯤에는 골수이식하고 하니깐 기대해 볼만 하다.“
③ 과거력 ( past history )
a. 질병: duodenal ulcer, chronic sinusitis, pheriperal neuropathy
b. 수술
④ 습관
a. 식습관
일일 식사회수 3회/일
특히 좋아하는 음식 없음
싫어하는 음식 및 편식여부 없음
음식에 대한 알러지 없음
식습관에 대해 유의해야 할 사항 없음
음주 0 회/주
흡연 1 갑/일
b. 배변 습관
배변회수 4 회/주
배변 불편감 없음
c. 수면습관
수면시간 밤 5 시간/일 낮 30 분/일
취침시간 ? 밤 12 시부터 5 시까지 낮 시부터 시까지
수면시 불편감 수면장애(약물도움 받고 있음.)
d. 운동습관
운동회수 7회/주 (병원 복도 ambulation 저

키워드

사례,   백혈병,   case,   급성 ,   골수성,   study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1.2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7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