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전설모음화(前舌母音化)란?
Ⅱ. 전설모음화의 구분
1) 모음에 의한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l’ 모음 역행동화)
2) 자음에 의한 전설모음화
Ⅲ. 교과서에 제시된 전설모음화
Ⅳ. 임용고시 기출 문제 및 예상문제
Ⅱ. 전설모음화의 구분
1) 모음에 의한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l’ 모음 역행동화)
2) 자음에 의한 전설모음화
Ⅲ. 교과서에 제시된 전설모음화
Ⅳ. 임용고시 기출 문제 및 예상문제
본문내용
Ⅰ. 전설모음화(前舌母音化)란?
후설모음이 (‘l\' 모음 또는 경구개음의 영향으로 인해) 전설모음으로 바뀌는 현상
Ⅱ. 전설모음화의 구분
1) 모음에 의한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l’ 모음 역행동화)
(1) 정의
움라우트(Umlaut)는 원래 독일어의 모음 ‘a,o,u’가 뒤에 오는 ‘i’나 ‘e’의 영향으로 ‘a,o,u’ 로 변하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이다. 이를 변모음(變母音), ‘l’모음 역행 동화라고도 말한다. 한국어에서 후설 모음 ‘ㅏ, ㅓ, ㅗ, ㅜ,ㅡ’가 뒤 음절의 전설 고모음 / l /의 영향으로 같은 높이의 전설 모음 ‘ㅐ, ㅔ, ㅚ, ㅟ, l ’로 바뀌는 현상을 움라우트라고도 하고, ‘l’ 모음 역행동화라고도 한다. 또한 후설 모음이 전설 모음 쪽으로 변하는 것이므로 넓은 의미로 볼 때 ‘전설모음화’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 현대국어 단모음 체계 (10개)
혀의 위치
혀의 모양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l[i]
ㅟ[u]
ㅡ[]
ㅜ[u]
중모음
ㅔ[e]
ㅚ[o]
ㅓ[]
ㅗ[o]
저모음
ㅐ[ae]
ㅏ[a]
㉠ 혀의 앞 뒤 : 전설모음 ‘ㅣ’의 영향으로, 중설모음과 후설모음이 전설모음으로 변화됨.
㉡ 입술 모양 : 변화 없음.
㉢ 혀의 높이 : 변화 없음.
◈ 동화: 두 음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한 음이 다른 음의 영향을 받아 인접음과 완전히 같은 음으로 변동하거나 조음방법, 조음위치나 유무성 중 일부만 같아지는 현상이다.
◈ 모음동화 ‘l ’ 모음 역행동화
‘l ’ 모음 순행동화
◈ ‘l’ 모음 순행동화: 앞의 ‘l’ 모음의 영향으로 뒤에 오는 모음이 바뀌는 현상이다.
예)미시오[미시요], 당기시오[당기시요], 기어[기여], 먹이었다[머기
후설모음이 (‘l\' 모음 또는 경구개음의 영향으로 인해) 전설모음으로 바뀌는 현상
Ⅱ. 전설모음화의 구분
1) 모음에 의한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l’ 모음 역행동화)
(1) 정의
움라우트(Umlaut)는 원래 독일어의 모음 ‘a,o,u’가 뒤에 오는 ‘i’나 ‘e’의 영향으로 ‘a,o,u’ 로 변하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이다. 이를 변모음(變母音), ‘l’모음 역행 동화라고도 말한다. 한국어에서 후설 모음 ‘ㅏ, ㅓ, ㅗ, ㅜ,ㅡ’가 뒤 음절의 전설 고모음 / l /의 영향으로 같은 높이의 전설 모음 ‘ㅐ, ㅔ, ㅚ, ㅟ, l ’로 바뀌는 현상을 움라우트라고도 하고, ‘l’ 모음 역행동화라고도 한다. 또한 후설 모음이 전설 모음 쪽으로 변하는 것이므로 넓은 의미로 볼 때 ‘전설모음화’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 현대국어 단모음 체계 (10개)
혀의 위치
혀의 모양
혀의 높이
전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l[i]
ㅟ[u]
ㅡ[]
ㅜ[u]
중모음
ㅔ[e]
ㅚ[o]
ㅓ[]
ㅗ[o]
저모음
ㅐ[ae]
ㅏ[a]
㉠ 혀의 앞 뒤 : 전설모음 ‘ㅣ’의 영향으로, 중설모음과 후설모음이 전설모음으로 변화됨.
㉡ 입술 모양 : 변화 없음.
㉢ 혀의 높이 : 변화 없음.
◈ 동화: 두 음이 연속적으로 나타날 때 한 음이 다른 음의 영향을 받아 인접음과 완전히 같은 음으로 변동하거나 조음방법, 조음위치나 유무성 중 일부만 같아지는 현상이다.
◈ 모음동화 ‘l ’ 모음 역행동화
‘l ’ 모음 순행동화
◈ ‘l’ 모음 순행동화: 앞의 ‘l’ 모음의 영향으로 뒤에 오는 모음이 바뀌는 현상이다.
예)미시오[미시요], 당기시오[당기시요], 기어[기여], 먹이었다[머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