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움라우트 현상에 대한 비교 연구 -충남, 경남, 제주도 방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별 움라우트 현상에 대한 비교 연구 -충남, 경남, 제주도 방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지역별 움라우트 현상
2.1 충남 방언의 움라우트 현상
2.1.1 일반적인 움라우트
2.1.2 환경 확대 움라우트, 유추적 확대 움라우트
2.2 경남 방언의 움라우트 현상
2.3 제주도 방언의 움라우트 현상
3. 결론

본문내용

에 따른 것이 틀림없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 현상은 구개음화 현상의 ’환경 확대 현상‘으로 명명할 수 있다.
(2)ㄱ과 (2)ㄷ의 경우 (2)ㄴ과 같은 음운론적 조건에 따른 교체라고 볼 수 없고 또한 규칙화 할 수 없는 예들이다. 그러나 그 나타난 시기와 성격에 있어서 각각 구개음화 현상, 구개음 뒤 전설 모음화 현상과의 깊은 상관성을 가졌다고 판단되므로 확대의 일종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를 본고에서는 ‘유추적 확대 현상’이라 부르고자 한다. 즉, (2)ㄱ과 (2)ㄷ의 예들은 생산적인 구개음화와 구개음 뒤 ’ㅡ>l\'전설모음화 현상의 확대로서, 음운론적으로 조건 지어지지 않고 규칙화할 수 없는 ‘유추적 확대 현상’이다.
위의 보기들을 확대로 보는 이유는 세가지가 있다. 첫째는 이 예들이 우선 움라우트로 결과되었다는 사실이고, 둘째는 그 발생 시기에 있어서도 일반적인 움라우트가 일어난 다음에야 나타났을 것이라는 점, 셋째는 이러한 움라우트 현상이 거의 대부분의 어휘에서 규칙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수적인 면에서 보았을 때 적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다만, 움라우트의 확대 유형을 ‘환경 확대’와 ‘유추적 확대’로 나누는 기준은 조건적 교체의 해당여부이다. 즉, 동화주가 보이는지, 그리고 그 과정을 음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지 등이다. 예를 들면 ‘개리다, 굄팽이’등은 동화주 ‘l\'와 ’ㅐ‘의 전설성에 의한 환경 확대 움라우트이고, ’가매, 새다리‘등은 동화주가 보이지 않고 음운론적으로 설명 불가능한 유추적 확대 움라우트라고 할 수 있다.
이상 본고에서는 충남 방언에 국한하여 움라우트로 결과된 모든 예들을 포괄하고 그 성격과 유형을 고찰해 보았다. 그러나 본고에 제시된 움라우트의 자료들 중 많은 예들이 다른 방언에도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따라서 이러한 유형 분류가 충남방언의 특이성처럼 규정될 수 없다는 점이다. 충남 방언의 움라우트 유형을 표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기준/유형
일반적인 움라우트
환경 확대 움라우트
유추적 확대 움라우트
교체 조건
음운론적인 교체
음운론적인 교체
무조건적인 교체
규칙
일반적 적용
수의적 적용
없음
동화주
I,y
모든 전설모음
없음
동화의
방향
역행
역행, 순행
무관함
개재자음
[+변음성]
모든 자음
무관함
자료
소내기(소나기)
애기(아기)
애비(아비)
올개미(올가미)
댕기(당기)
냉기다(남기다)
새키다(삭히다)
댐배(담배)
굄팽이(곰팡이)
넥네기(넉넉히)
꾕괴미(곰곰히)

키워드

움라우트,   방언,   충남,   경남,   제주도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7.0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