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백혈구 파트
1.호중구(neutrophil)
2.호산구(eosinophil)
3.호염기구(basophil)
4.림프구(lymphocyte)
5.단핵구
Ⅱ.형질세포, 결합조식 세포 파트
1.형질세포(plasma cell)
2.비만세포
3.섬유모세포(fibrblast)
4.대식세포(macrophage)
1.호중구(neutrophil)
2.호산구(eosinophil)
3.호염기구(basophil)
4.림프구(lymphocyte)
5.단핵구
Ⅱ.형질세포, 결합조식 세포 파트
1.형질세포(plasma cell)
2.비만세포
3.섬유모세포(fibrblast)
4.대식세포(macrophage)
본문내용
세포의 하나이다. 동물체내의 모든 조직에 분포하며, 이물질 ·세균 ·바이러스 ·체내 노폐세포 등을 포식하고 소화하는 대형 아메바상 식세포를 총칭한다.
이것은 골수에서 생산되며 혈액 속으로 들어가 혈관 속으로 들어가 혈관에서 조직 안으로 유출된다고 생각된다. 말초 혈액 중에서는 단구라 불리며 세포질은 풍부하고 잘록한 부분이 있는 핵을 갖고 있다. 조직 내에서는 조직구라 부르지만 복강 및 폐포 내의 대식세포, 간의 정맥동벽의 Kupffer 세포, 중추신경계 중의 소교세포 등은 같은 계열의 세포라 생각된다. 대형이고 왕성한 탐식력을 가지기 때문에 대식세포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식세포는 지질성 이물체나 괴사물, 결핵균, 징티프스균 등을 좋아하며 탐식하고 처리하며, 면역기전에는 항원의 처리, 전달을 비롯하여 면역대식세포로서 병원균의 처리, 악성 종양 세포의 살해 등 생체 방어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물체나 세균을 처리하는 경우 몇 개 이상의 대식세초가 융합하여 1개의 다핵성 거대 세포가 되는 수가 있다. 이물체 육아종중 이물체성 다핵성 거대세포, 결핵 결절이나 매독 고무종 기타 육아종성 염증에서 보이는 랑그한스형 거대 세포 등이 그 예이다. 육아종성 염증에서 나타나는 유상피 세포도 대식세포에서 변형된 세포이다.
대식세포는 기능적으로 정의된 세포군이긴 하지만 발생학적 기원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고 대부분이 혈액단구에서 유래한다고 생각된다. 대식세포의 세포질에는 가수분해효소가 축적된 리소좀이 많이 있고, 이물포식에 의하여 형성된 파고좀과 융합해 효소를 방출하여 이물을 소화, 즉 식작용을 하고 있다.
이것은 골수에서 생산되며 혈액 속으로 들어가 혈관 속으로 들어가 혈관에서 조직 안으로 유출된다고 생각된다. 말초 혈액 중에서는 단구라 불리며 세포질은 풍부하고 잘록한 부분이 있는 핵을 갖고 있다. 조직 내에서는 조직구라 부르지만 복강 및 폐포 내의 대식세포, 간의 정맥동벽의 Kupffer 세포, 중추신경계 중의 소교세포 등은 같은 계열의 세포라 생각된다. 대형이고 왕성한 탐식력을 가지기 때문에 대식세포라는 이름이 붙었다.
대식세포는 지질성 이물체나 괴사물, 결핵균, 징티프스균 등을 좋아하며 탐식하고 처리하며, 면역기전에는 항원의 처리, 전달을 비롯하여 면역대식세포로서 병원균의 처리, 악성 종양 세포의 살해 등 생체 방어 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물체나 세균을 처리하는 경우 몇 개 이상의 대식세초가 융합하여 1개의 다핵성 거대 세포가 되는 수가 있다. 이물체 육아종중 이물체성 다핵성 거대세포, 결핵 결절이나 매독 고무종 기타 육아종성 염증에서 보이는 랑그한스형 거대 세포 등이 그 예이다. 육아종성 염증에서 나타나는 유상피 세포도 대식세포에서 변형된 세포이다.
대식세포는 기능적으로 정의된 세포군이긴 하지만 발생학적 기원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고 대부분이 혈액단구에서 유래한다고 생각된다. 대식세포의 세포질에는 가수분해효소가 축적된 리소좀이 많이 있고, 이물포식에 의하여 형성된 파고좀과 융합해 효소를 방출하여 이물을 소화, 즉 식작용을 하고 있다.
추천자료
B형 간염바이러스란 무엇인가??
가와사키
호흡기계장애 만성폐쇄성폐질환 억제성 폐질환 기관지 폐 감염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케이스스터디
천식 - 병태생리 및 원인, 임상증상, 치료 및 간호관리
[의학] 면역 - 특이성, 비특이성 면역반응에 관해서
급성췌장염 케이스 레포트
성인간호학 간경화증 케이스 스터디
아동 급성모세기관지염(Acute bronchiolitis) 케이스스터디
간염(바이러스성간염, 약물성간염, 중독성간염, 알코올성간염, 만성지속성간염, 만성활동성간염)
간경화 케이스 간호과정 자료
급성호흡곤란증후군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