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용범위
2. 설정의무
3. 설정과 변경
4. 차등금지
5. 수급권의 보호
2. 설정의무
3. 설정과 변경
4. 차등금지
5. 수급권의 보호
본문내용
차등을 두는 것은 가능하다(行).
5. 수급권의 보호
퇴직연금의 급여를 받을 권리는 양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다(근퇴7). 다만, ①무주택자인 가입자가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②가입자 또는 그 부양가족이 6월 이상 요양을 하는 경우, ③그 밖에 천재·사변 등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유와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근퇴7단, 근퇴령8).
5. 수급권의 보호
퇴직연금의 급여를 받을 권리는 양도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다(근퇴7). 다만, ①무주택자인 가입자가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②가입자 또는 그 부양가족이 6월 이상 요양을 하는 경우, ③그 밖에 천재·사변 등 노동부령이 정하는 사유와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근퇴7단, 근퇴령8).
추천자료
퇴직금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과 대착방안
근로자의 방출관리(근로관계의 종료)에 대한 문제
자발적 실업자에게도 실업급여를 주어야 하는가
국민건강보험제도 정책내용분석
퇴직연금제도의 현황과 실태 및 문제점 분석
[기업연금] 퇴직연금제도의 설계와 운영방안
현행법상 산전후휴가급여 지급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국민적연금제도 확립을 위한 기업연금제도의 모형과 정책방향
[국민건강보험제도A+]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연혁, 적용대상, 보험급여 등 총체적 고찰
[주거][주거급여][주거권][임대료보조제도][주거급여의 문제점]주거의 정의, 주거의 흐름, 주...
(사회복정책론)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의 개요와 특징을 서술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의견...
[퇴직금, 퇴직금 정의, 지급기준, 임원퇴직금, 퇴직금중간정산제도, 시민사회단체, NGO]퇴직...
[사회복지정책론]퇴직연금제도의 의의, 특징, 장단점, 문제점 및 발전방향 제언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정부의 관여에 관한 논의및 관여의 의미,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