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외래특수검사실
1.심장초음파실------------------------------------3
2.신경정신과--------------------------------------5
3.이비인후과--------------------------------------7
4.비뇨기과----------------------------------------10
5.산부인과----------------------------------------13
6.신경생리검사실-----------------------------------15
7.건강증진센터-------------------------------------17
8.내시경검사실-------------------------------------19
Ⅱ.진단방사선실
1.CT---------------------------------------------21
2.연하기능검사-------------------------------------21
3.MRI--------------------------------------------22
4.혈관조영술---------------------------------------23
*참고문헌
Ⅰ.외래특수검사실
1.심장초음파실------------------------------------3
2.신경정신과--------------------------------------5
3.이비인후과--------------------------------------7
4.비뇨기과----------------------------------------10
5.산부인과----------------------------------------13
6.신경생리검사실-----------------------------------15
7.건강증진센터-------------------------------------17
8.내시경검사실-------------------------------------19
Ⅱ.진단방사선실
1.CT---------------------------------------------21
2.연하기능검사-------------------------------------21
3.MRI--------------------------------------------22
4.혈관조영술---------------------------------------23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 차
Ⅰ.외래특수검사실
1.심장초음파실------------------------------------3
2.신경정신과--------------------------------------5
3.이비인후과--------------------------------------7
4.비뇨기과----------------------------------------10
5.산부인과----------------------------------------13
6.신경생리검사실-----------------------------------15
7.건강증진센터-------------------------------------17
8.내시경검사실-------------------------------------19
Ⅱ.진단방사선실
1.CT---------------------------------------------21
2.연하기능검사-------------------------------------21
3.MRI--------------------------------------------22
4.혈관조영술---------------------------------------23
*참고문헌
Ⅰ.외래특수검사실
1.심장초음파실
1)심전도검사 (Electrocardiography, EKG, ECG)
(1)정상
정상적 횟수(60~100회/분), 리듬. 곡선을 보임
(2)검사과정
환자는 탁자나 침상에 앙와위로 누워 있는다. 전극이 부착도니 후 사용할 준비를 갖 추기 위해 기계를 작동시켜야 한다. 전극이 위치할 부위의 피부는 피부오일과 피부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알코올로 닦는다. 만일 환자의 피부에 모발이 많으면 면도를 한다. 전기 전도를 돕기 위해 전극 연고를 피부와 전극 사이에 사용한다. 네 가지 사 지 리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지에 전극을 감싸주는 고리를 사용한다. 좀 더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클램프를 사용하기도 한다.
많은 심장 전문가들은 팔 전극을 근육 경직이 적은 팔 상부에 부착하도록 권하고 있 다. 흉부 리드는 EKG기계 종류에 따라 한 번에 한 부위 또는 세부위 또는 여섯 개 모두를 설치한다, 흉부리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V1: 우쇄골연과 4번째 늑간(4ICS)이 만나는 부위
V2: 좌쇄골연과 4번째 늑간(4ICS)이 만나는 부위
V3: V2와 V4 사이의 중간
V4: 쇄골 중앙성과 5번째 늑간(5ICS)이 만나는 부위
V5: V4위치의 수평선과 좌전액와선(left anterior axillary line)이 만나는 부위
V6: V4위치의 부평성과 좌중앙 액와선(left midaxillary line)이 만나는 부위
EKG 기록 절차는 환자에게 불편감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환자는 5분 정도 되는 EKG 기록 시 이야기를 하지 않고 누워 있어야 한다.
평소에 또는 쉬는 동안에 관측되지는 않으나 움직이거나 활동함으로써 나타나는 비 정상적 심장 전기활동(부정맥)이 Holter monitoring을 통하여 관측될 수가 있다. 만일 심장 전기활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면 휴대용 Holter monitor를 리드에 부착하여 24~48시간 동안 흉부나 복부 주위에 매달고 지낸다. 이것을 이동계측기 혹 은 이동식 심전도라 한다.
보통은 환자의 휴대용 심전도에
Ⅰ.외래특수검사실
1.심장초음파실------------------------------------3
2.신경정신과--------------------------------------5
3.이비인후과--------------------------------------7
4.비뇨기과----------------------------------------10
5.산부인과----------------------------------------13
6.신경생리검사실-----------------------------------15
7.건강증진센터-------------------------------------17
8.내시경검사실-------------------------------------19
Ⅱ.진단방사선실
1.CT---------------------------------------------21
2.연하기능검사-------------------------------------21
3.MRI--------------------------------------------22
4.혈관조영술---------------------------------------23
*참고문헌
Ⅰ.외래특수검사실
1.심장초음파실
1)심전도검사 (Electrocardiography, EKG, ECG)
(1)정상
정상적 횟수(60~100회/분), 리듬. 곡선을 보임
(2)검사과정
환자는 탁자나 침상에 앙와위로 누워 있는다. 전극이 부착도니 후 사용할 준비를 갖 추기 위해 기계를 작동시켜야 한다. 전극이 위치할 부위의 피부는 피부오일과 피부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알코올로 닦는다. 만일 환자의 피부에 모발이 많으면 면도를 한다. 전기 전도를 돕기 위해 전극 연고를 피부와 전극 사이에 사용한다. 네 가지 사 지 리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지에 전극을 감싸주는 고리를 사용한다. 좀 더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클램프를 사용하기도 한다.
많은 심장 전문가들은 팔 전극을 근육 경직이 적은 팔 상부에 부착하도록 권하고 있 다. 흉부 리드는 EKG기계 종류에 따라 한 번에 한 부위 또는 세부위 또는 여섯 개 모두를 설치한다, 흉부리드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V1: 우쇄골연과 4번째 늑간(4ICS)이 만나는 부위
V2: 좌쇄골연과 4번째 늑간(4ICS)이 만나는 부위
V3: V2와 V4 사이의 중간
V4: 쇄골 중앙성과 5번째 늑간(5ICS)이 만나는 부위
V5: V4위치의 수평선과 좌전액와선(left anterior axillary line)이 만나는 부위
V6: V4위치의 부평성과 좌중앙 액와선(left midaxillary line)이 만나는 부위
EKG 기록 절차는 환자에게 불편감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환자는 5분 정도 되는 EKG 기록 시 이야기를 하지 않고 누워 있어야 한다.
평소에 또는 쉬는 동안에 관측되지는 않으나 움직이거나 활동함으로써 나타나는 비 정상적 심장 전기활동(부정맥)이 Holter monitoring을 통하여 관측될 수가 있다. 만일 심장 전기활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다면 휴대용 Holter monitor를 리드에 부착하여 24~48시간 동안 흉부나 복부 주위에 매달고 지낸다. 이것을 이동계측기 혹 은 이동식 심전도라 한다.
보통은 환자의 휴대용 심전도에
추천자료
lung cancer
진단검사와 간호
진단검사-위장계,간.담도계,혈액계,순환기계,호흡기계,신 요로계
[위암][구강암][폐암][식도암][대장암][유방암][자궁암][전립선암][간암]위암의 원인, 구강암...
뇌종양 정리
간호사례연구 - 협심증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호흡기계 진단검사
NCU케이스 뇌실내출혈
종양 폐암 케이스 - 일반 병실 Care Study
성인간호학 - 맥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경막외혈종케이스(문헌고찰부터~간호진단까지) A++++
NS_case- 뇌종양 - Brain tumor (frontal lobe tumor,) 케이스 스터디 A+
(aneurysm)+컨퍼런스+-+사례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