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골절과 무혈관성 괴사, 골절과 가골, 골절과 일리자로브 사지연장술, 골절의 치료 약물, 골절의 치료 단계, 대퇴부 골절의 치료법, 골절과 노인낙상의 치료, 골절과 한의학 치료법, 골절과 한의학의 방향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절]골절과 무혈관성 괴사, 골절과 가골, 골절과 일리자로브 사지연장술, 골절의 치료 약물, 골절의 치료 단계, 대퇴부 골절의 치료법, 골절과 노인낙상의 치료, 골절과 한의학 치료법, 골절과 한의학의 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골절과 무혈관성 괴사
1. 원인과 발생 기전
2. 임상 소견
3. 검사 소견
1) 혈액검사
2) 단순 방사선 검사
3) Tc99m을 이용한 골 주사
4) 자기 공명 영상
4. 치료
1) 원래의 관절을 유지하는 방법
2) 인공 관절 치환 성형술

Ⅱ. 골절과 가골

Ⅲ. 골절과 일리자로브 사지연장술

Ⅳ. 골절의 치료 약물
1. 접골속근약
1) 자연동, PYRITUM
2) 골쇄보
3) 합환피
4) 접골목
5) 지별충
6) 백급
7) 두충
2. 장근건골약
1) 보골지
2) 호골
3) 구척
4) 귀판
5) 녹각교
6) 육총용
7) 토사자
8) 파극천
9) 천년건
10) 숙지황
11) 하수오
12) 저실자(저실자)

Ⅴ. 골절의 치료 단계
1. 응급처치(Emergency Care)
1) 기도폐색
2) 급성출혈
3) 쇼크
2. 본치료(본치료)
1) 폐쇄적 방법
2) 수술적 방법
3) 약물투여
4) 재활

Ⅵ. 대퇴부 골절의 치료법
1. 치료의 문제점
2. 치료목표
3. 치료원칙
4. 보존적 요법
5. 수술적 요법
1) 감입골절(impacted fx. Garden stage Ⅰ)
2) 비전위 골절(nondisplaced fx. Garden stage Ⅱ)
3) 전위 골절(displaced fx. Garden stage Ⅲ, Ⅳ)
6. 내고정 금속 장치
7. 관절 성형술의 적응증

Ⅶ. 골절과 노인낙상의 치료
1. 낙상의 내적요인
1) 노화의 정상적 생리적 변화
2) 병리적인 상태
3) 약물영향
2. 낙상의 환경 요소
1) 가정 밖
2) 가정 안
3) 위험요인에 대한 관리
3. 간호 사정
1) 신체검진
2) 임상검사 및 진단적 검사
4. 약물 요법

Ⅷ. 골절과 한의학 치료법
1. 골손상에 대한 이론
2. 내인
3. 외인
1) 외력
2) 육음
4. 정골수법
1) 모법
2) 접법
3) 단법
4) 제법
5) 안마법
6) 추나법
5. 일상에서 활용하는 상용수기법
1) 추법
2) 나법
3) 안법
4) 마법
5) 찰법
6) 양법
7) 유법
8) 요법
9) 반법
10) 박격법
11) 차법
12) 두법
13) 염법
14) 말법
15) 배법
16) 채교법
17) 발신법
6. 고정법
7. 약물치료
1) 내복약
2) 외용약
3) 단방약

Ⅸ. 골절과 한의학의 방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골막 또는 골수로부터 새 결합직성(結合織性) 세포, 즉 골아세포가 생성 증식되며, 혈관이 다시 새로 생기고 유주세포가 첨가되어 일종의 육아조직을 만드는데, 이것을 결합직성 가골이라 한다. 이 결합직성 가골은 점차로 석회화하고 골화되어 간다. 그 골절의 양끝을 잘 이어서 생리적 복구를 하는 데는 골수 골피질의 분화가 필요한데, 여기까지를 가골이라 총칭한다. 가골의 형성은 골절의 정도가 심한 경우나 노인의 경우, 영양상태가 나쁜 경우, 전염으로 화농(化膿)한 경우 등에는 좋지 않다. 뼈가 잘 붙지 않는다는 것은 이를 말한다.
Ⅲ. 골절과 일리자로브 사지연장술
신 연골생성방법이다. 일리자로브가 1953년 환형외고정장치(circular fixator)를 이용하여 골절골부에 안정성이 유지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골편을 신연하여 신생골 형성을 유도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러한 연장술은 과거의 방법과 달리 골이식술이 필요없으며, 골절골부에 형성된 가골의 신연과 골재생을 유도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골연장을 할 수 있는 길이에 제한이 없다. 고식적인 방법에서는 골 및 주위 연부조직의 신연 제한에 따라 일반적으로 연장하고자 하는 뼈 길이의 10~15%가 한계치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연장술 한계의 주요 원인은 근육의 재생력이 다른 연부조직보다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1989년 일리자로브는 저서(著書)에서 안정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조직을 신연시킬 때에는 근육도 재생이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이는 근절(sarcomere)의 연장과 위성세포(satellite cell)의 증식에 따른 근섬유의 재생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일리자로브 연장술에 사용되는 원형장치(circular fixator)는 다른 방법과는 달리 가는 금속핀(지름 1.5mm 또는 1.8mm)을 긴장력을 가하여 원형 금속테에 고정함으로써 축방향의 미세한 운동이 허용되어 골형성 및 유합에 가장 적합한 생 역학적 조건을 조성한다. 또한 장기간 고정에 따른 핀 삽입부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고, 고정장치의 형태변화가 가능하여 연장과 아울러 굴곡 및 회전 등의 복합변형의 교정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경피적 피질절골술방법에 따르면 주위의 연부조직 및 골수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골연장을 시행하기 전 1주간의 대기기간을 통하여 손상된 조직의 복구 및 혈액순환을 최대로 유지시켜준다. 골신연은 실험적으로 하루에 1mm가 적합한 것으로 증명되었고, 이를 수차례에 나누어 신연함으로써 골형성이 촉진된다고 하며, 치료 기간이 오래 걸리는 사지부동이 큰 경우에는 이중절골술에 의하며 치료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Ⅳ. 골절의 치료 약물
1. 접골속근약
1) 자연동, PYRITUM
천연 광석류에 속하는 일종의 황화철 광석인 산골이다.[FeS2, Cu]
性味-- 辛, 酸, 平
效能-- 接骨續筋, 散瘀鎭痛(근골을 이어주고 통증와 어혈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많은 양을 사용하면 소화장애, 오심, 구토, 팽만감을 동반하게 된다)
이 약은 韓方의 傷科의 접골 要藥이라 할 수 있는데, 접골이 되고 한 이후에는 복용하는 것을 중지한다.
2) 골쇄보
넉줄고사리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넉줄고사리 또는 수용골과에 속한 다년생초본인 갈참일엽초의 根莖이다.<학명; Daballia mariesii MOORE(넉줄고사리)>
性味-- 苦, 微甘, 溫
效能-- 接骨續筋, 活血祛風(血液을 溫通하여 血을 운행함으로써 止痛케 하고, 또한, 筋骨損傷을 이어주는 효능이 우수한 傷科의 要藥이다. 跌打損傷, 筋骨疼痛에 효과에 있다.)
3) 합환피
콩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자귀나무의 樹皮이다.<학명; Albizia julibrissin DURAZZ.>
性味-- 甘, 平
效能-- 接骨續筋, 活血寧神(活血로 消腫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癰腫, 특히 肺癰症이나 骨折 등의 症에 적용한다.
4) 접골목
인동과에 속한 낙엽관목 혹은 교목인 딱총나무 및 동속근록식물의 莖枝이다.
性味-- 甘, 苦, 平
效能-- 接骨續筋, 祛風痺(활혈지통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타박으로 인한 손상이나 어혈종통이나 근골의 골절손상에도 응용하는데, 근골의 골절의 손상에는 유향, 자연동, 당귀, 천궁 등의 약물을 배합하여 응용한다.)
5) 지별충
별렴과에 속하는 곤충인데 흙바퀴의 암컷 成蟲의 全體이다.<학명:Eupolyphaga sinensis WALKER(흑바퀴)
性味-- 鹹, 寒, 有毒
效能-- 活血破瘀, 接骨續筋(비교적 맹렬한 破血遂瘀작용과 消散結의 작용이 있고 打撲瘀血이나 骨折損傷에도 臨床에도 응용된다.)
6) 백급
난초과에 속한 다년생의 초본인 대암풀(자란)의 塊莖이다.<학명:Bletilla striata (THUMB.) REICHB. FIL.>
性味-- 苦, 平
效能-- 續筋生肌, 斂瘡止血(消腫生肌의 작용이 있기 때문에 瘡瘍腫痛이나 潰瘍에도 응용한다.)
7) 두충
두충나무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두충나무의 樹皮이다.<학명:Eucommia ulmoides OLIVER.>
性味-- 辛, 甘, 溫
效能-- 續筋壯骨, 補益肝腎(이 약은 補肝腎하고 健骨强筋할 수 있다.)
2. 장근건골약
1) 보골지
콩과에 속한 일년생초본인 파고지의 성숙한 종자 이다.<학명:Psoralea corylifolia L.>
性味-- 辛, 甘, 溫
效能-- 補腎健骨, 助陽攝精
2) 호골
고양이과에 속한 척추동물인 호랑이(범) 및 근록동물의 骨格이다.
性味-- 辛, 微溫
效能-- 壯筋健骨, 遂風祛寒( 관절이나 근육의 장애, 특히 근무력에 효과가 있다고 함)
3) 구척
방각궐과에 속한 대형구러유의 상록초본식물의 금모구척의 根莖이다. < 학명; Cibotium barometz (L.) J. SM. >
性味-- 苦, 辛, 溫
效能-- 壯筋健骨, 祛風燥濕
4) 귀판
남생이과에 속한 척추동무인 남생이의 腹甲 또 背甲이다. < 학명; Chinemys reevessii GRAY >
性味-- 鹹, 寒
效能-- 健骨續筋, 補陽益智
5) 녹각교
녹각(녹용이 완전히 성장하여 털이 탈락하고 경화
  • 가격7,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2.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7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