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 건강사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혈관계 건강사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해부생리

2.건강력

3.신체검진

본문내용

된다.
- 90mV 정지막 전위에 기여하는 주요 인자는 K+은 통과시 키고, Na+은 통과시키지 않는 세포의 투과성이다. Na-K 교환 펌프는 Na+을 세포 밖으로, K+은 세포 안으로 능동적 으로 운반한다. 이 펌프 기능에 필요한 에너지는 ATP가 가 수 분해되어 제공한다. K+이 세포내로 들어오는 것보다 더 많은 양의 소듐이 세포 밖으로 펌프 되어 나가므로 세포 외의 양이온량이 많아져 휴식기 동안 세포내의 음전기는 더 강화된다.
③ 탈분극 (Depolarization)- 심장 박동의 시작은 탈분극의 과정과 함께 시작된다. 탈분극은 정지막 전위의 과정이 빠르게 역으로 진행되며, 다음의 순으로 일어난다.
Na+에 대한 세포의 투과성이 자동적으로 증가되거나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세포막의 투과성이 증가된다.
Na+이 빠르게 세포내로 유입된다.
K+이 세포 밖으로 이동한다. 막을 통한 이온의 이동은 전류를 발생시킨다. 세포로 들어가는 Na+의 양이 위기수준에 이를 때, 전기적 충격이 일어난다. 이 충격 은 인접한 세포로 탈분극의 파동을 통해 퍼진다.
④ 재분극 (Repolarization)- 재분극은 세포가 휴식기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Na+에 대한 세포막 투과성이 감소하고 Na+이 세포외로 이동하며, K+은 능동적으로 운반체계를 통해 세포내 로 들어가는 순서로 일어난다.
목혈관(neck vessels)이란.....
(1) 경동맥 맥박(carotid artery pulse)
- 심장에 가까이에 위치한 중심 동맥으로 심실수축기와 밀접한게 일치한다.
경동맥은 기관과 흉쇄유돌근(sternomastoid muscles)사이, 흉쇄유돌근을 따라 내측 융기에 위치한다.
정상적인 맥박파의 상승은 부드럽고 빠르며 제1심음이 거의 동시에 나타난다.
(2) 경정맥 맥박과 압력(jugular venous pulse and pressure)
① 경정맥압(jugular venous pulse)
- 경정맥은 비산화된 혈액을 상대정맥으로 직접 보낸다.
내 외 경정맥은 목의 좌 우에 위치해 있다. 내경정맥은 흉쇄유돌근을 따라 내측 깊숙이 있고,
외경정맥은 쇄골 위, 흉쇄유돌근 외측의 옆으로 더 표면상에 위치해 있다.
- 왕와위로 누워있을때 내경정맥은 흉골 절흔(sternal notch)에서 넓게 정맥파를 볼 수 있지만 보통 잘
보이지 않는다. 외경정맥은 앙와위에서는 볼 수 있으나 일어서면 사라진다.
- 전신의 정맥혈압은 동맥혈압보다는 상당히 낮다. 정맥혈압은 일차적으로 좌심실 수축에 의해 생기나
이때 생기는 압력은 혈액이 세동맥이나 모세혈관을 지날 때 대부분 없어진다.
정맥벽의 근육은 동맥벽보다는 덜 부드러우며 정맥의 긴장도는 더 낮고 정맥은 쉽게 팽창된다.
정맥혈압을 결정하는 것은 혈액량과 혈액을 받아들이고 폐동맥으로 다시 혈액을 내보내는 우심장의
능력이다.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병리적 상태가 되면 정맥혈압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 경정맥의 압력은 우심방 압력을 반영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정맥혈압은 정맥 어느 곳에서도 측정할수
있지만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이 우심방압을 정확하게 알 수 있고 따라서 우심장의 기능을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지표이다. 내경정맥압을 측정할 수 없다면 외경정맥(external jugular vein)을 이용
하여 측정할 수도 있으나 신뢰도가 떨어진다.
- 정맥혈압은 내경정맥에서 진동하는 최대 지점을 파악하거나, 필요하면 외경정맥이 허탈된 지점에서
측정한다.
- 기준점(zero-pont)은 보통 제2늑골 가까이에 있는 흉골각(sternal angle)이고 정맥혈압은 항상 흉골각
에서 수직으로 측정한다. 대상자의 자세는 앙와위이거나 똑바로 앉거나 혹은 어느 각도에서든지 관계
없이 흉골각은 우심방 상부로 약5㎝지점에 있다.
- 검진자는 경정맥과 목 아래쪽의 맥박을 쉽게 찾기 위하여 대상자의 자세를 바꿔준다. 대상자는 보통
침상머리를 수평상태에서 15° 내지 30°정도 올린다.
② 경정맥 맥박(jugular venous pulsations)
- 내경정맥에서 보이는 진동은 우심방 내에서 변화하는 압력을 반영한다. 우측 내경정맥은 우심방과 직접
통해 있으므로 이러한 변화또한 가장 잘 반영한다.
- 첫 번째 상승인 A파(wave) : 최초 심음의 직전파 경동맥 맥박의 직전에 일어난다. 이는 심방수축에
따라 심방압력이 약간 상승되었음을 반영한다. 이어 심방이완과 함께 x하강(descent)이 시작된다.
이는 수축기 동안 우심실 수축시 심방을 아래쪽으로 당기는 동안 계속된다. 심실수축기 동안 혈액이
대정맥으로부터 우심방으로 계속 흘러 들어온다. 삼첨판은 닫히고 심방은 차기 시작하며 우측 심방압은
두 번째 상승인 V파(wave)을 만들면서 다시 상승하기 시작한다.
- 이완기 초기에 삼첨판이 열릴 때 우심방 내 혈액은 우심실로 수동적으로 흘러 들어가고 우측 심방압은
두 번째 하강곡선으로 y하강을 만들면서 다시 감소한다.
네 가지 진동으로는 심방수축(atrial comtraction) 심방이완(atrial relaxation) 심방유입(atrial filling)과
심방박출(atrial emptying)으로 설명할수 있다.(a파는 심방수축으로, v파는 정맥유입으로 )
내경정맥(internal jugular vein)박동
경동맥(carotid artery)박동
거의 촉지할 수 없다
촉지된다
부드럽고 빠른 파장
매심박동마가 2~3개의 파장
강하고 급한 1개의 파장
박동이 쇄골의 흉골끝 바로 윗부분의 정맥을 가볍게 압박하면 소실된다
박동은 소실되지 않는다
박동이 체위에 따라 변화한다.
선 자세에서는 박동의 높이가 하강한다
자세에 무관하다
박동의 높이는 흡기시에 대개 하강한다
흡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말초 혈관계란.....
말초 혈관계는 신체내에서 혈액과 임파액 같은 체액을 운반한다.
동맥은 심장에서 신선한 산소와 영양을 조직으로 보내며 정맥은 조직으로부터 비산화된 혈액과 노폐물을
심장으로 보내는 관이다. 사지의 통합성 사정은 동맥과 정맥의 상태로 파악할 수 있다.
임파계는 맥관계와 완전히 분리되어 조직으로부터 과잉 체액과 혈장단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0.02.2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