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분전해질 불균형
1. 체액
2. 전해질의 정상범위
3. 체액과 전해질의 이동
4. 신체의 항상성(보상기전)
5. 수분과 소듐불균형
6. 용량 불균형
7. Na+ 불균형
8. K+ 불균형
9. Ca++ 불균형
10. Ma++ 불균형
Ⅱ. 산-염기 불균형
1. 대사성 알칼리증
2. 대사성 산증
3. 호흡성 알칼리증
4. 호흡성 산증
1. 체액
2. 전해질의 정상범위
3. 체액과 전해질의 이동
4. 신체의 항상성(보상기전)
5. 수분과 소듐불균형
6. 용량 불균형
7. Na+ 불균형
8. K+ 불균형
9. Ca++ 불균형
10. Ma++ 불균형
Ⅱ. 산-염기 불균형
1. 대사성 알칼리증
2. 대사성 산증
3. 호흡성 알칼리증
4. 호흡성 산증
본문내용
채워지는 시간, 활력 징후 측정
- 혈청내 Na량과 삼투성 정도 모니터(고혈량 저나트륨혈증 환자 정상으로 나타남)
- 3% 생리식염수 IV로 투여하는 경우 고나트륨혈증과 폐울혈 살핌
- 혈청 나트륨 농도 125mEq/L 이상이면 균형잡힌 식사
- 저나트륨혈증이 고혈량증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 수분섭취 제한
- 갈증은 줄이기 위해 얼음 조각이나 찬물 줌
- 125mEq/L 이하이면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치료 필요. 이때 고장성 생리식염수 천천 히 주입
- 환자가 혼돈이 보이고 안절부절 못하면 환자 안전에 주의하고 경련에 대비
⑵고나트륨혈증
혈청내 Na농도가 145mEq/L 이상인 상태를 말함
입원환자의 약 1%정도에서 발생, 사망률 높음
① 원인과 위험요인
- 저혈량 고나트륨혈증으로 총 신체 수분이 Na에 비해 심하게 손실된 상태
- 정상혈량 고나트륨혈증으로 총 신체 Na량은 정상인데 총 신체 수분량이 감소된 상태
- 고혈량 고나트륨혈증으로 총 신체 수분량이 증가하였으나 신체 Na량의 증가가 훨씬 많 은 상태
- 영아, 노인, 병약한 사람에게 잘 나타남
→갈증 감각이 저하되어 수분을 적절히 섭취하지 못하거나 발열, 구토, 설사로 과다한 수분이 손실되거나 충분한 수분이 대체되지 못하기 때문
- 치료되지 않을 당뇨병 혹은 신장질환도 주요요인
② 증상 및 징후와 병태생리적 근거
임상증상 및 징후
병태생리적 근거
위장관계 증상 및 징후
ㆍ식욕부진, 오심, 구토
ㆍ위세포에 수분 정체 때문
피부계 증상 및 징후
ㆍ피부가 건조하고 홍조되며, 점막이 건조하고 끈적거림
ㆍ갈증, 혀가 건조하고 거칠고, 체온이 상승된다.
ㆍ조직 간질액의 감소 때문
ㆍ수분이 증발해서 신체를 식힐 수 있는 조직액이 감소되기 때문
신경계 증상 및 징후
ㆍ안절부절, 흥분, 기면, 혼돈,혼수, 발열
ㆍ근육의 약화 및 근육의 뒤틀림, 전진, 과반사 반응, 경련, 나중에는 신경근의 흥분성 때문 강직성 마비가 온다.
ㆍ뇌세포의 탈수로 신경계 증상이 나타남
ㆍ신경근육 수축 및 흥분의 장애
심혈관계 증상 및 징후
ㆍ빈맥, 저혈압 혹은 고혈압
ㆍ말초정맥 비우는 시간>5초
ㆍ불규칙한 맥박, 수분상태에 따른 혈압
ㆍ체중증가, 부종
ㆍ고나트륨혈증의 종류에 따른 혈압 변화
ㆍ저혈량성이면 혈압이 감소하고 고혈량성이면 혈압이 증가된다.
ㆍ체액과다, 고혈량증, 고나트륨혈증
ㆍNa이온이Ca이온과 경쟁하므로써 심 근의 억압이 생긴다.
ㆍ고혈량성 고나트륨혈증
호흡기계 증상 및 징후
ㆍ폐의 악설음, 호흡곤란, 흉막유출
ㆍ고혈량성 고나트륨혈증에서 정수압의 증가
신장 증상 및 징후
ㆍ핍뇨, 진한 농축된 소변
ㆍ보상기전
임상/진단 검사 결과
ㆍ혈청내 Na>145mEq/L
ㆍ혈텅내 삼투성>295mOsm/kg
ㆍNa의 정체, 수분손실
ㆍNa은 수분농축의 주요 용질이며, 고나트륨혈증이 혈청내 삼투성을 증가시킨다.
③치료
■내과적 요법
- 저혈량 혹은 정상혈량 고나트륨혈증 환자에게 증상이 경미 → 원인교정, 구강으로 수분 대체
- 고나트륨혈증의 증상이 심하면 입원을 시켜 IV로 저장성 생리식염수를 투여
<수액요법>
- 총 신체 Na량을 감소시키고 수분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저삼투성 전해질 용약(0.2% 혹 은 0.45% NaCl) 이나 5% DW를 투여
→ 과다한 나트륨이 배설되면서 혈청내 Na수준이 점차 감소
- 수분대체는 48시간 동안 혈청내 Na 농도가 2mEq/L이상 줄어 들지 않도록 천천히 투여
- Na과다로 인한 고나트륨혈증은 5%DW와 Lasix와 같은 이뇨제로 치료
- 고나트륨혈증이 요붕증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 이뇨가 서서히 일어나도록 desmopressin acetate(DDAVP)의 비강 스프레이 사용 → 약 20시간 동안 소변 배설량 조절
<나트륨 제한>
-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일일 나트륨 섭취량을 500~2000mg으로 제한
- 고혈량성 고나트륨혈증의 경우 수분도 제한
④간호
-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활력징후와 모세혈관층만 시간을 4~8시간마다 측정하고 섭취 량과 배셜량을 8시간마다 측정하고,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 혈청 나트륨과 삼투성의 변화를 계속 살핀다.
- 합병증으로 저나트륨혈증이 생기지는 않는지 파악하기 위해 흥분, 안절부절, 혼돈 과 같은 행동변화의 초기 증상을 살핀다. - 신체 내 체액손실과 고나트륨혈증을 예방하 기 위해 노인이나 병약자에게 수분을 충분히 제공
- 카페인이 들어 있는 음료수와 알코올은 체액손실을 증가하여 고나트륨혈증의 위험을 증가 시키므로 피하도록 한다.
- IV로 수액과 나트륨의 대체요법을 실시하고 IV부위를 매시간 관찰한다.
- 5% DW를 투여할 때 주입 속도를 지켜 삼투성 이뇨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8. K+ 불균형
혈중 정상 K농도는 3.5~4.5mEq/L
신경과 근육의 흥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염기 평형의 유지와 정상 신기능의 유지를 돕는다
ㆍ세포 내 가장 많은 전해질 → 96%(150mEq/L)가 세포내 존재, 4%(5mEq/L)가 혈관내 존재
① 칼륨의 기능
- 세포내 삼투성 농도 조절
- 신경 자극의 정도와 골격즌, 심장 평활근의 수축을 도움
- 세포대사에서 효소활동과 간에 글리코겐 저장을 도움
- 수소이온과 세포교환을 통해 산-염기 균형 유지
② 체내에 저장이 안되므로 매일 섭취해야 함 (80~90%는 신장을 통해 배설,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설)
③ 알카리증 -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음
④ 산증 - 고칼륨 혈증을 일으킬 수 있음
⑤ 인슐린 - 세포에서 칼륨흡수 도모
- 인슐린이 부족하면 고칼륨 혈증 나타남
⑥ 글루카곤 - 혈텅 칼륨 농도 상승시킴
⑦ 부신피질호르몬(코티졸, 알도스테론) - 신장에서 K는 배설, Na은 정체되는 것을 도움
- 스트레스 받으면 증가 → 저칼륨혈증
⑧ cate-cholamine과 베타아드레날린성 촉진제 - 혈청칼륨농도 상승
⑴ 저칼륨혈증
- 혈청 칼륨농도가 3.5mEq/L이하인 상태
① 원인 및 위험요인
저칼륨혈증의 종류
임상 상태 및 질환
ㆍ위장관계 손실
ㆍ구토, 설사, 비위관흡인, 장루공, 잦은 설사약의 투여, 과다한 수분관장, 회장루
ㆍ식이의 변화
ㆍ영양불량, 기근, 칼륨이 부족한 식이, 체중감소 식이, 식이로
- 혈청내 Na량과 삼투성 정도 모니터(고혈량 저나트륨혈증 환자 정상으로 나타남)
- 3% 생리식염수 IV로 투여하는 경우 고나트륨혈증과 폐울혈 살핌
- 혈청 나트륨 농도 125mEq/L 이상이면 균형잡힌 식사
- 저나트륨혈증이 고혈량증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 수분섭취 제한
- 갈증은 줄이기 위해 얼음 조각이나 찬물 줌
- 125mEq/L 이하이면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치료 필요. 이때 고장성 생리식염수 천천 히 주입
- 환자가 혼돈이 보이고 안절부절 못하면 환자 안전에 주의하고 경련에 대비
⑵고나트륨혈증
혈청내 Na농도가 145mEq/L 이상인 상태를 말함
입원환자의 약 1%정도에서 발생, 사망률 높음
① 원인과 위험요인
- 저혈량 고나트륨혈증으로 총 신체 수분이 Na에 비해 심하게 손실된 상태
- 정상혈량 고나트륨혈증으로 총 신체 Na량은 정상인데 총 신체 수분량이 감소된 상태
- 고혈량 고나트륨혈증으로 총 신체 수분량이 증가하였으나 신체 Na량의 증가가 훨씬 많 은 상태
- 영아, 노인, 병약한 사람에게 잘 나타남
→갈증 감각이 저하되어 수분을 적절히 섭취하지 못하거나 발열, 구토, 설사로 과다한 수분이 손실되거나 충분한 수분이 대체되지 못하기 때문
- 치료되지 않을 당뇨병 혹은 신장질환도 주요요인
② 증상 및 징후와 병태생리적 근거
임상증상 및 징후
병태생리적 근거
위장관계 증상 및 징후
ㆍ식욕부진, 오심, 구토
ㆍ위세포에 수분 정체 때문
피부계 증상 및 징후
ㆍ피부가 건조하고 홍조되며, 점막이 건조하고 끈적거림
ㆍ갈증, 혀가 건조하고 거칠고, 체온이 상승된다.
ㆍ조직 간질액의 감소 때문
ㆍ수분이 증발해서 신체를 식힐 수 있는 조직액이 감소되기 때문
신경계 증상 및 징후
ㆍ안절부절, 흥분, 기면, 혼돈,혼수, 발열
ㆍ근육의 약화 및 근육의 뒤틀림, 전진, 과반사 반응, 경련, 나중에는 신경근의 흥분성 때문 강직성 마비가 온다.
ㆍ뇌세포의 탈수로 신경계 증상이 나타남
ㆍ신경근육 수축 및 흥분의 장애
심혈관계 증상 및 징후
ㆍ빈맥, 저혈압 혹은 고혈압
ㆍ말초정맥 비우는 시간>5초
ㆍ불규칙한 맥박, 수분상태에 따른 혈압
ㆍ체중증가, 부종
ㆍ고나트륨혈증의 종류에 따른 혈압 변화
ㆍ저혈량성이면 혈압이 감소하고 고혈량성이면 혈압이 증가된다.
ㆍ체액과다, 고혈량증, 고나트륨혈증
ㆍNa이온이Ca이온과 경쟁하므로써 심 근의 억압이 생긴다.
ㆍ고혈량성 고나트륨혈증
호흡기계 증상 및 징후
ㆍ폐의 악설음, 호흡곤란, 흉막유출
ㆍ고혈량성 고나트륨혈증에서 정수압의 증가
신장 증상 및 징후
ㆍ핍뇨, 진한 농축된 소변
ㆍ보상기전
임상/진단 검사 결과
ㆍ혈청내 Na>145mEq/L
ㆍ혈텅내 삼투성>295mOsm/kg
ㆍNa의 정체, 수분손실
ㆍNa은 수분농축의 주요 용질이며, 고나트륨혈증이 혈청내 삼투성을 증가시킨다.
③치료
■내과적 요법
- 저혈량 혹은 정상혈량 고나트륨혈증 환자에게 증상이 경미 → 원인교정, 구강으로 수분 대체
- 고나트륨혈증의 증상이 심하면 입원을 시켜 IV로 저장성 생리식염수를 투여
<수액요법>
- 총 신체 Na량을 감소시키고 수분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저삼투성 전해질 용약(0.2% 혹 은 0.45% NaCl) 이나 5% DW를 투여
→ 과다한 나트륨이 배설되면서 혈청내 Na수준이 점차 감소
- 수분대체는 48시간 동안 혈청내 Na 농도가 2mEq/L이상 줄어 들지 않도록 천천히 투여
- Na과다로 인한 고나트륨혈증은 5%DW와 Lasix와 같은 이뇨제로 치료
- 고나트륨혈증이 요붕증으로 인해 발생한 경우 이뇨가 서서히 일어나도록 desmopressin acetate(DDAVP)의 비강 스프레이 사용 → 약 20시간 동안 소변 배설량 조절
<나트륨 제한>
- 신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는 일일 나트륨 섭취량을 500~2000mg으로 제한
- 고혈량성 고나트륨혈증의 경우 수분도 제한
④간호
- 환자의 상태에 따라 활력징후와 모세혈관층만 시간을 4~8시간마다 측정하고 섭취 량과 배셜량을 8시간마다 측정하고,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 혈청 나트륨과 삼투성의 변화를 계속 살핀다.
- 합병증으로 저나트륨혈증이 생기지는 않는지 파악하기 위해 흥분, 안절부절, 혼돈 과 같은 행동변화의 초기 증상을 살핀다. - 신체 내 체액손실과 고나트륨혈증을 예방하 기 위해 노인이나 병약자에게 수분을 충분히 제공
- 카페인이 들어 있는 음료수와 알코올은 체액손실을 증가하여 고나트륨혈증의 위험을 증가 시키므로 피하도록 한다.
- IV로 수액과 나트륨의 대체요법을 실시하고 IV부위를 매시간 관찰한다.
- 5% DW를 투여할 때 주입 속도를 지켜 삼투성 이뇨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8. K+ 불균형
혈중 정상 K농도는 3.5~4.5mEq/L
신경과 근육의 흥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염기 평형의 유지와 정상 신기능의 유지를 돕는다
ㆍ세포 내 가장 많은 전해질 → 96%(150mEq/L)가 세포내 존재, 4%(5mEq/L)가 혈관내 존재
① 칼륨의 기능
- 세포내 삼투성 농도 조절
- 신경 자극의 정도와 골격즌, 심장 평활근의 수축을 도움
- 세포대사에서 효소활동과 간에 글리코겐 저장을 도움
- 수소이온과 세포교환을 통해 산-염기 균형 유지
② 체내에 저장이 안되므로 매일 섭취해야 함 (80~90%는 신장을 통해 배설, 나머지는 대변으로 배설)
③ 알카리증 - 저칼륨혈증을 일으킬 수 있음
④ 산증 - 고칼륨 혈증을 일으킬 수 있음
⑤ 인슐린 - 세포에서 칼륨흡수 도모
- 인슐린이 부족하면 고칼륨 혈증 나타남
⑥ 글루카곤 - 혈텅 칼륨 농도 상승시킴
⑦ 부신피질호르몬(코티졸, 알도스테론) - 신장에서 K는 배설, Na은 정체되는 것을 도움
- 스트레스 받으면 증가 → 저칼륨혈증
⑧ cate-cholamine과 베타아드레날린성 촉진제 - 혈청칼륨농도 상승
⑴ 저칼륨혈증
- 혈청 칼륨농도가 3.5mEq/L이하인 상태
① 원인 및 위험요인
저칼륨혈증의 종류
임상 상태 및 질환
ㆍ위장관계 손실
ㆍ구토, 설사, 비위관흡인, 장루공, 잦은 설사약의 투여, 과다한 수분관장, 회장루
ㆍ식이의 변화
ㆍ영양불량, 기근, 칼륨이 부족한 식이, 체중감소 식이, 식이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