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비뇨기관 해부학
1. 신장
2. 요관
3. 방광
4. 요도
Ⅱ.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1. 정의
1) 세균뇨와 요로감염
2) 무증상세균뇨
3) 상부요로감염과 하부요로감염
4) 복잡성과 단순성 요로감염
2. 요로감염의 분류
3. 요로감염의 원인균
4. 요로감염의 빈도
5. 요로감염의 경로
6. 숙주 방어 기전
7. 요로감염의 위험인자
8. 요로감염의 임상증상
9. 요로감염의 진단
10. 감별진단
11. 요로감염의 치료
12. 재발성 감염의 예방
13. 감염예방 및 환자교육
Ⅲ. 참고문헌
1. 신장
2. 요관
3. 방광
4. 요도
Ⅱ.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1. 정의
1) 세균뇨와 요로감염
2) 무증상세균뇨
3) 상부요로감염과 하부요로감염
4) 복잡성과 단순성 요로감염
2. 요로감염의 분류
3. 요로감염의 원인균
4. 요로감염의 빈도
5. 요로감염의 경로
6. 숙주 방어 기전
7. 요로감염의 위험인자
8. 요로감염의 임상증상
9. 요로감염의 진단
10. 감별진단
11. 요로감염의 치료
12. 재발성 감염의 예방
13. 감염예방 및 환자교육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어오는 400~500mL의 소변을 저장한다.
1) 위치
(1) 남자 : 골반강내 치골결합과 직장 사이
(2) 여자 : 치골결합과 자궁 사이
2) 신경분포 : 배뇨는 불수의적 반사 및 수의적 과정으로 일어난다. 방광에 소변이 차면 방
광벽의 부교감신경섬유가 방광을 수축시키고 내괄약근을 이완시킨다. 그러면 수의적 반
응으로 대뇌가 외괄약근을 이완시켜 배뇨가 시작된다.
3) 감각신경: 부교감-> 천수(sacral spinal cord;S2~4)
교감-> 흉요수(thoracolumbar spinal cord;T11~L2)
운동신경->배뇨근에 분포되는 교감신경과 방광삼각에 분포되는 부교감 신경
4) 구조
(1) 방광저(fundus) : 방광의 상부에 세 개의 구멍이 있는데, 하나는 앞쪽에 위치하는 요도
의 개구부이고 두 개는 후외측에 위치한 요관의 개구부는 방광삼각이다.
(2) 방광첨(apex) : 골반저(pelvic floor)에 가까운 방광의 바닥
(3) 방광경(neck) : 배뇨근이 두꺼워진 섬유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도 평활근과 이어져
있다.
(4) 방광삼각(trigone): 요관개구부와 요도의개구부가 만나는 삼각부위
5) 조직학
(1) 점막(mucosa) : 6~8층의 이행상피세포로 구성
(2) 점막하(submucosa) : 결체 및 탄성조직이 잘 발달되어 쉽게 늘어남
(3) 배뇨근(detrusor muscle)
(4) 외근층및 외막(adventitia)
(5) 장막(serosa)
6) 인대
여자의 방광은 뒤로 자궁과 질의 위 부분을 접하고 있다. 방광은 방광자궁오목
(vesicouterine pouch)에 의해 자궁몸통의 앞면과 분리되어 있고, 이 오목은 아래에서
방광은 성긴 경합조직에 의해 자궁목의 앞부분과 질 앞벽의 위와 연결된다. 방광이 비어 있는 경우 자궁은 방광 위면에 위치한다. 방광은 요도가 열리는 근처와 꼭대기에 있는 인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방광의 나머지 부분은 성긴 조직인 장막 밑 근막(subserous fascia)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오줌이 차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일어난다.
치골요도인대 (pubourethral ligament), 요도골반인대(urethropelvic ligament),
치골경부인대(pubocervical ligament), 기인대-치골자궁인대 복합체(cardinal sacrouterine ligament complex)등이 있다.
4. 요도(Urethra)
1) 남성요도
요와 정액의 배출구이며 방광의 내요도구에서 음경귀두부의 외요도구까지 평균 15~20cm정도 이다. 남성요도는 전립선요도(prostatic portion), 막양부요도(menbranous portion), 음경요도(penile portion)로 나뉜다.
(1) 구조
① 전립선요도(prostatic portion): 요도 중 가장 넓은 부위로 평균 3cm정도이고, 내요도구
에서 하행하여 전립선을 관통하며 하부에 돌출된 정구(verumontanum)를 통해 15~30개
의 전립선도관(duct)과 좌우의 사정관(ejaculatory duct)이 개구함. 내요도괄약근(internal
urethral sphicter)은 사정 시 정액이 방광 내로 역류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작용을 하며
소변이 방광 내에 찰 때에는 방광경부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켜 요실금을 방지해준다.
② 막양부요도(menbranous portion): 요도 중 가장 좁은 부위로 평균 길이 2.0~2.5cm이
고, 비뇨생식격막을 관통하여 외요도괄약근(external urethral sphincter)으로 끝나며 횡
문근(수의적 외요도괄약근 역할)과 평활근으로 싸여있다.
③ 음경요도(penile portion): 요도해면체(corpus spongiosum)에 의해 덮혀있고, 약 15cm으로 가장 길다. 구부(bulb of penis)에 의해 싸여 있는 가장 넓은 근위부를 구부요도(bulbous urethra)라고 하며 외요도구 직전에 약간의 확장을 보이는 부위를 요도주상와(fossa navicylaris)라고 한다. 점막하 조직에 많은 요도구선(bulbourethral gland)가 있어 요도로 개구하며 잼액을 분비한다.
(2) 조직학
전립선요도의 정구상방은 방광과 같이 이행상피세포로 덮여있고, 막양부 및 음경요도 에서는 가중충 혹은 중층원주(peudostratified or stratified columnar)상피세포로 변하고 음경말단부인 주상와(fossa navicularis)에서 외요도구까지는 중층편평(stratified squamous)상피로 덮혀있다. 상피 밑에는 고유층만 있고 여기에는 주로 종주하는 평활근섬유가 산재해 있다.
(3) 신경분포 :자율신경계와 체신경계의 지배를 받는다. 전립선막양부요도의 평활근은 주로 교감신경의 α-adrenergic 섬유에 의해 지배를 받고, 막양부요도의 수의적 횡문근은 체신경인 음부(pudendal)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2) 여성요도
길이 4cm, 직경 0.6~0.8cm의 곧은 관으로 방광삼각에서 시작하여 회음부에서 외요도구로 끝난다. 치골결합의 후하방에 위치하며, 전하방으로 주행하고 후방은 질의 전벽에 부착되어 있다.
(1) 조직학
이행상피에서 외요도구로 갈수록 중층편평상피로 바뀌며, 점막하 조직은 다수의 결체조직 및 탄성섬유와 정맥총으로 이루어졌고, 원위부에는 많은 요도 주위선(periurethral gland)들이 있어 분비물을 분비한다. 고유층외측에는 배뇨근에서 연속된 내종근층과 외종근층의 평활근이 있으며 이는 불수의적 내요도괄약근을 이룬다. 요도 중간부의 평활근 외층에는 두꺼운 횡문근이 있으며, 이것이 수의적 외요도괄약근을 이룬다.
(2) 신경지배
천수(sacral spinal cord;S2~4)에서 나오는 부교감신경과 흉요수(thoracolumbar spinal
cord;T11~L2)에서 나오는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Ⅱ.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은 인체의 각 기관별 감염성 질환중 빈도가 높은 질환의 하나이며 상부요로감염의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되거나 신반흔 등에 의한 신기능 저하와
1) 위치
(1) 남자 : 골반강내 치골결합과 직장 사이
(2) 여자 : 치골결합과 자궁 사이
2) 신경분포 : 배뇨는 불수의적 반사 및 수의적 과정으로 일어난다. 방광에 소변이 차면 방
광벽의 부교감신경섬유가 방광을 수축시키고 내괄약근을 이완시킨다. 그러면 수의적 반
응으로 대뇌가 외괄약근을 이완시켜 배뇨가 시작된다.
3) 감각신경: 부교감-> 천수(sacral spinal cord;S2~4)
교감-> 흉요수(thoracolumbar spinal cord;T11~L2)
운동신경->배뇨근에 분포되는 교감신경과 방광삼각에 분포되는 부교감 신경
4) 구조
(1) 방광저(fundus) : 방광의 상부에 세 개의 구멍이 있는데, 하나는 앞쪽에 위치하는 요도
의 개구부이고 두 개는 후외측에 위치한 요관의 개구부는 방광삼각이다.
(2) 방광첨(apex) : 골반저(pelvic floor)에 가까운 방광의 바닥
(3) 방광경(neck) : 배뇨근이 두꺼워진 섬유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도 평활근과 이어져
있다.
(4) 방광삼각(trigone): 요관개구부와 요도의개구부가 만나는 삼각부위
5) 조직학
(1) 점막(mucosa) : 6~8층의 이행상피세포로 구성
(2) 점막하(submucosa) : 결체 및 탄성조직이 잘 발달되어 쉽게 늘어남
(3) 배뇨근(detrusor muscle)
(4) 외근층및 외막(adventitia)
(5) 장막(serosa)
6) 인대
여자의 방광은 뒤로 자궁과 질의 위 부분을 접하고 있다. 방광은 방광자궁오목
(vesicouterine pouch)에 의해 자궁몸통의 앞면과 분리되어 있고, 이 오목은 아래에서
방광은 성긴 경합조직에 의해 자궁목의 앞부분과 질 앞벽의 위와 연결된다. 방광이 비어 있는 경우 자궁은 방광 위면에 위치한다. 방광은 요도가 열리는 근처와 꼭대기에 있는 인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방광의 나머지 부분은 성긴 조직인 장막 밑 근막(subserous fascia)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오줌이 차거나 배출됨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일어난다.
치골요도인대 (pubourethral ligament), 요도골반인대(urethropelvic ligament),
치골경부인대(pubocervical ligament), 기인대-치골자궁인대 복합체(cardinal sacrouterine ligament complex)등이 있다.
4. 요도(Urethra)
1) 남성요도
요와 정액의 배출구이며 방광의 내요도구에서 음경귀두부의 외요도구까지 평균 15~20cm정도 이다. 남성요도는 전립선요도(prostatic portion), 막양부요도(menbranous portion), 음경요도(penile portion)로 나뉜다.
(1) 구조
① 전립선요도(prostatic portion): 요도 중 가장 넓은 부위로 평균 3cm정도이고, 내요도구
에서 하행하여 전립선을 관통하며 하부에 돌출된 정구(verumontanum)를 통해 15~30개
의 전립선도관(duct)과 좌우의 사정관(ejaculatory duct)이 개구함. 내요도괄약근(internal
urethral sphicter)은 사정 시 정액이 방광 내로 역류하지 못하게 막아주는 작용을 하며
소변이 방광 내에 찰 때에는 방광경부를 닫힌 상태로 유지시켜 요실금을 방지해준다.
② 막양부요도(menbranous portion): 요도 중 가장 좁은 부위로 평균 길이 2.0~2.5cm이
고, 비뇨생식격막을 관통하여 외요도괄약근(external urethral sphincter)으로 끝나며 횡
문근(수의적 외요도괄약근 역할)과 평활근으로 싸여있다.
③ 음경요도(penile portion): 요도해면체(corpus spongiosum)에 의해 덮혀있고, 약 15cm으로 가장 길다. 구부(bulb of penis)에 의해 싸여 있는 가장 넓은 근위부를 구부요도(bulbous urethra)라고 하며 외요도구 직전에 약간의 확장을 보이는 부위를 요도주상와(fossa navicylaris)라고 한다. 점막하 조직에 많은 요도구선(bulbourethral gland)가 있어 요도로 개구하며 잼액을 분비한다.
(2) 조직학
전립선요도의 정구상방은 방광과 같이 이행상피세포로 덮여있고, 막양부 및 음경요도 에서는 가중충 혹은 중층원주(peudostratified or stratified columnar)상피세포로 변하고 음경말단부인 주상와(fossa navicularis)에서 외요도구까지는 중층편평(stratified squamous)상피로 덮혀있다. 상피 밑에는 고유층만 있고 여기에는 주로 종주하는 평활근섬유가 산재해 있다.
(3) 신경분포 :자율신경계와 체신경계의 지배를 받는다. 전립선막양부요도의 평활근은 주로 교감신경의 α-adrenergic 섬유에 의해 지배를 받고, 막양부요도의 수의적 횡문근은 체신경인 음부(pudendal)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2) 여성요도
길이 4cm, 직경 0.6~0.8cm의 곧은 관으로 방광삼각에서 시작하여 회음부에서 외요도구로 끝난다. 치골결합의 후하방에 위치하며, 전하방으로 주행하고 후방은 질의 전벽에 부착되어 있다.
(1) 조직학
이행상피에서 외요도구로 갈수록 중층편평상피로 바뀌며, 점막하 조직은 다수의 결체조직 및 탄성섬유와 정맥총으로 이루어졌고, 원위부에는 많은 요도 주위선(periurethral gland)들이 있어 분비물을 분비한다. 고유층외측에는 배뇨근에서 연속된 내종근층과 외종근층의 평활근이 있으며 이는 불수의적 내요도괄약근을 이룬다. 요도 중간부의 평활근 외층에는 두꺼운 횡문근이 있으며, 이것이 수의적 외요도괄약근을 이룬다.
(2) 신경지배
천수(sacral spinal cord;S2~4)에서 나오는 부교감신경과 흉요수(thoracolumbar spinal
cord;T11~L2)에서 나오는 교감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Ⅱ.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감염은 인체의 각 기관별 감염성 질환중 빈도가 높은 질환의 하나이며 상부요로감염의 경우 패혈증으로 진행되거나 신반흔 등에 의한 신기능 저하와
추천자료
기본간호학- 유치도뇨
-노인-배설장애와 간호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임질 및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UTI)- 요로감염증
병원감염관리예방지침
아동 특수질환아 고찰 4개 - 폐렴(Pneumonia), 요로감염증(urinary tract infection), 경련성...
전치태반 모성 케이스입니다 간호진단 3개입니다 - 1. 침습적 수술로 인한 감염 위험성, 2. ...
병원 감염
UTI Case Final
요로감염 간호진단(5개)- 염증성 변화, 발열과 관련된 통증,요로 감염에 대한 지식결여와 관...
비뇨기계염증성질환과간호, 비뇨기계간호, 방광염, 요관염, 신우신염, 신농양, 신결핵, 요로...
성전파성질환, 임질, 클라미디아, 유두종바이러스감염, 음부포진, 매독, 연성하감, 서혜육아...
a+ 아동 소아과 요로감염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