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음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중요성,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의미와 필요성,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내용과 방법,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 사례,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 문제점과 해결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음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중요성,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의미와 필요성,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내용과 방법,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 사례,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아음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중요성

Ⅲ.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의미와 필요성

Ⅳ.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내용과 방법
1. 시범을 통한 수업
2. 창의성 계발을 위한 수업
3. 탐구력 개발을 위한 수업
4.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에 의한 수업

Ⅴ.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사례
1. 악기(장구) 소개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준비물
2. 바른 호흡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주의할 점
3. 앉아보자 - 발바닥 뽀뽀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준비물
4. 궁채와 열채를 잡고 장구 앞에 앉아보자
1) 활동방법
2) 활동내용
3) 준비물
4) 주의할 점
5. 양장고 ꡐ쿵(궁)ꡑ 쳐보기
1) 활동목표
2) 활동내용
3) 주의할 점

Ⅵ.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1. 유아
1) 문제점
2) 해결방안
2. 교사
1) 문제점
2) 해결방안
3. 교육환경
1) 문제점
2) 해결방안
4. 학부모
1) 문제점
2) 해결방안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들어 보게 하는 것은 매우 재미있는 수업이 될 수 있다. 또한 동작 표현에서도 창의성을 목표로 한 수업을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동요나 민요, 빠른 장단의 기악곡 등도 유아들로 하여금 저절로 동작표현을 할 수 있게 하는 음악이다. 유아들이 음악을 들으면서 각자 생각과 느낌대로 신체를 표현해 보도록 하는 것은 창의성 계발에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3. 탐구력 개발을 위한 수업
그동안 우리들은 누군가 국악교육자료를 만들어 주기만을 기다리고 자료가 없으니까 우리가 국악교육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국악교육은 국악을 전공한 사람들만 책임질 문제가 아니고 우리 국민들 모두가 함께 나누어야 할 책임인 것이 분명하다. 우리 주위에 국악에 관심을 갖고 잘 하는 분들을 찾아보고 그 분들이 노래하는 것을 녹음하고 그것을 서로 토의하면서 서로 의견을 나누는 등 우리 교육에 적극 활용 하고 자료를 개발하여 활용함으로써 탐구력을 신장해 갈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큰 유익이 된다 하겠다.
4.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에 의한 수업
교육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육매체로는 인쇄 매체는 물론 영상매체, 음향매체, 다양한 놀이자료 등이 활용되고 있다. 국악교육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반영되어야 한다. 그 가운데 국악교육에서 특히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 비디오자료에 의한 수업방법과 교사들이 개발한 놀이 학습자료이다.
비디오 자료에 의한 수업의 장점을 살펴보면, 첫째, 국악을 탁월한 수준으로 연주하는 사람들의 음악을 보여줌으로써 유아들에게 국악의 우수성을 공감하게 할 수 있고, 둘째, 연주하는 손동작이나 표정, 연주법 등을 클로즈업 장면으로 보여줌으로써 악기의 구조와 그 연주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셋째, 반복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교사가 설명하기 어려운 내용의 학습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고, 국악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여 수업을 원만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교사들이 개발한 교수학습자료나 놀이활동자료를 통하여 첫째, 학습활동의 동기유발 및 학습을 촉진시켜주고 지적으로 개념형성을 도우며 둘째, 지각ㆍ인지ㆍ표현능력을 증진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사용한다면 훌륭한 교수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Ⅴ. 유아국악교육(유아국악지도)의 사례
1. 악기(장구) 소개
1) 활동목표
우리 나라 악기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장구(장고)를 소개하고, 각 부분에 대한 명칭과 기능을 안다.
2) 활동내용
① 장구(장고)를 보여준 뒤, 이름을 물어본다.
② 원래는 북 고(鼓)자를 써서 장고(杖鼓)라 하였으나 발음상의 어려움으로 장구(獐拘)라 불리고 있음을 이야기한다.
③ 통 속은 비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소리의 진동이 전달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④ 각 부분에 대한 명칭을 알아보고 채를 소개한 후, 부전의 기능에 대해 이야기한다.
⑤ 당겨주기 전의 쿵 따소리를 들어보고, 당겨준 후의 쿵 따소리를 들어본다. (소리가 점점 커짐: 높아짐)을 알 수 있다.
3) 준비물
장구, 궁채, 열채, 각 명칭을 소개하는 그림. 여러 가지 장구 치고 있는 사람의 모습을 담은 그림이나 사진
2. 바른 호흡
1) 활동목표
바른 호흡에 의해 장단을 칠 줄 알아야 함을 알고, 하나아 호흡의 몸짓을 익힌다.
2) 활동내용
① 선생님을 만나면 먼저 호흡을 할 것임을 알린다.
② 선생님이 먼저 선을 보인 후, 따라해 보도록 한다.
③ 입으로는 하나아 두울 세엣 네엣을 크게 외치면서 한다.
(서서)
① 손을 뒤로 하고 앞, 뒤로 네 걸음씩 걷는다.
② 손을 앞, 뒤로 흔들면서 네 걸음씩 걷는다.
③ 손을 옆으로 올려서 흔들면서 네 걸음씩 걷는다.
④ 손을 위로 흔들면서 네 걸음씩 걷는다.
(앉아서)
① 무릎을 치면서
② 위로 흔들면서
③ 옆으로 올려서(옆친구보기)
④ 날개짓 하면서
3) 주의할 점
호흡할 때, 춤을 추듯이 하고 동작은 크게 함을 강조한다. (특히, 손동작을 크게 해야 궁채와 열채를 칠 때 무리없이 진행 할 수 있다.)
3. 앉아보자 - 발바닥 뽀뽀
1) 활동목표
장구를 칠 때는 장구를 올바르게 (편한 자세) 앉아서 쳐야함을 안다.
2) 활동내용
① 장구를 잘 치려면 장구가 움직이지 못하게 잘 잡아야 한다고 이야기해 준 후, 올바른 자세를 보여준다.
② 발바닥 뽀뽀를 하고 앉아 있는 연습을 해야 한다.
③ 발바닥 뽀뽀를 보여준 후 , 주먹을 쥐고 방아야 방아야 노래에 맞춰 양 무릎과 바닥을 두드려 본다.
④ 왼발은 부전을 누르고 오른발은 채편 가죽을 잡아준다.
⑤ 왼손으로 궁채를 잡고 오른손으로 열채를 잡고 준비자세를 취한다.
⑥준비는 소리가 안 난다라는 것을 강조한다. (소란스러워지기 쉽다.)
3) 준비물
장구, 궁채, 열채, 노래가사 방아야 방아야
4. 궁채와 열채를 잡고 장구 앞에 앉아보자
1) 활동방법
장구를 쳐보기전 바른 자세로 앉음을 충분히 익힌다.
2) 활동내용
① 첫 번째, 발바닥 뽀뽀(발바닥을 마주대고 장구 앞에 앉는다.)
② 두 번째, 부전을 당겨준다. (하나 - 여덟까지 세어준다.)
③ 세 번째, 장구를 잡아준다. (왼발은 부전을 누르고, 오른발은 채편 가죽을 잡아준다.)
④ 네 번째, 궁채! 열채! (궁채는 왼손, 열채는 오른손)
⑤ 준비! (준비는 소리가 안 난다.)
3) 준비물
장구, 궁채, 열채.
4) 주의할 점
준비를 했는데도 자꾸 소리를 내는 친구는 따끔하게 혼을 내주어야 한다.(장구를 사랑하는 마음을 쳐야 한다.) 빨리 치고 싶은 마음이였구나, 하면서 우리 이제 다음에 만날 때부터는 장구를 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
5. 양장고 쿵(궁) 쳐보기
1) 활동목표
궁채로 채편가죽을 치면 양장고 {쿵}임을 안다.
2) 활동내용
① 장구 앞에 바른 자세로 앉는다.
② 궁채를 넘기는 연습만 한다. (손등은 항상 위를 보고 있고, 새끼손가락은 마주보고 있는 친구를 보여줌을 이야기해준다.)
③ 궁채를 넘기면서 장구 사랑해(보듬듯이)를 해준다.
④쿵의 강약을 조절해본다.,(세게 치고 넘긴다.) 쿠웅 [구]웅 쿠웅 [구]웅
3) 주의할 점
일정 정도의 기간동안 아이의 손을 잡고 함께 한다. 어느 정도 되었을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2.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