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7. 설화․무가․연극의 양상
6.7.1.설화
6.7.2. 무가
6.7.3. 연극
▶토론주제
▶참고자료
▷참고문헌
6.7.1.설화
6.7.2. 무가
6.7.3. 연극
▶토론주제
▶참고자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시평이었다. 이시기의 대표적인 패설집들은 이인로의 파한집, 이규보의 백운 소설, 최자의 보한집, 이제현의 역옹패설 등을 들 수 있다.
▷파한집
파한집은 목판본으로 저자가 사망하기 직전에 지은 책으로 그의 사후 40년간 1260년 (원종1) 3월에 초간되었으며, 현재 당시의 초간본은 전하지 않으며 1659년 (효종10) 각판한 중간본이 남아 있다.
이인로의 파한집 (3권)은 현전하는 최초의 패설집으로 3백여편의 작품들을 수록하고 있다. 거기에는 시화와 시평을 비롯하여 조선 전래의 민속과 문물제도에 관한 이야기, 이름난 역사 인물들과 작가들에 대한 일화, 명승고적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설화작품들과 민간 예술에 대한 이야기 등 다양한 내용들이 수필, 잡문적 형태로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파한집은 시화와 시평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리하여 파한집은 조선 패설문학의 선구로 되어있으며 또한 조선 중세 평론 문학의 확고한 전통을 이루어 놓은 첫 시평집으로 되었다. 이 패설집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도 여기에 있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보한집
보한집은 고려 고종때 최자가 엮은 책은 시화집으로 3권 1책의 목판본이다. 이 책은 이인로의 파한집의 구성 체제와 내용, 특히 진보적 문학관-미학적 견해를 직접 계승하여 책의 이름도 처음에는 속파한집이라 하기도 했다. 그러나, 파한집보다 내용이 많이 풍부화되어 그 미학적 견해보다 심화, 발전되고 있다.
최초로 등장한 파한집은 전통적인 시화의 형식을 비슷하게 답습하고 있지만 그 속에서 문학론이나 작품론, 작가론을 주로 다루기보다는 오히려 가문일사의 소개와 해설에 충실한 것이기
▷파한집
파한집은 목판본으로 저자가 사망하기 직전에 지은 책으로 그의 사후 40년간 1260년 (원종1) 3월에 초간되었으며, 현재 당시의 초간본은 전하지 않으며 1659년 (효종10) 각판한 중간본이 남아 있다.
이인로의 파한집 (3권)은 현전하는 최초의 패설집으로 3백여편의 작품들을 수록하고 있다. 거기에는 시화와 시평을 비롯하여 조선 전래의 민속과 문물제도에 관한 이야기, 이름난 역사 인물들과 작가들에 대한 일화, 명승고적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설화작품들과 민간 예술에 대한 이야기 등 다양한 내용들이 수필, 잡문적 형태로 서술되어 있다. 그러나, 파한집은 시화와 시평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리하여 파한집은 조선 패설문학의 선구로 되어있으며 또한 조선 중세 평론 문학의 확고한 전통을 이루어 놓은 첫 시평집으로 되었다. 이 패설집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도 여기에 있다 할 수 있는 것이다.
▷보한집
보한집은 고려 고종때 최자가 엮은 책은 시화집으로 3권 1책의 목판본이다. 이 책은 이인로의 파한집의 구성 체제와 내용, 특히 진보적 문학관-미학적 견해를 직접 계승하여 책의 이름도 처음에는 속파한집이라 하기도 했다. 그러나, 파한집보다 내용이 많이 풍부화되어 그 미학적 견해보다 심화, 발전되고 있다.
최초로 등장한 파한집은 전통적인 시화의 형식을 비슷하게 답습하고 있지만 그 속에서 문학론이나 작품론, 작가론을 주로 다루기보다는 오히려 가문일사의 소개와 해설에 충실한 것이기
추천자료
조선후기 문학속의 다양한 예술 장르
몽골 전설, 민담과 신화
조선 후기 판소리 전개와 발전방향
판소리계 소설의 배경과 특징
[신화][단군신화][홍익인간][건국신화][단군][단군신화 교육]신화의 개념, 신화의 기능과 단...
<숙향전> 작품 분석
[판소리][연주형태][웃음양상][대중문화][광대문화]판소리의 정의, 판소리의 특징, 판소리의 ...
한국 현대문학사 요약정리
《고려처용가》의 해체적 글읽기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과 산문 문학
시조신화에서 나타난 천손신화와 난생신화의 특징을 설명하고 대표적인 나라를 예로들어 설명
구비문학의 이해(구비문학에 대해서)
[고전문학 교육론] 사회적 삶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