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 정리
2. 인물 분석
3. 『숙향전』의 전체 줄거리
4. 『숙향전』에 나타난 영웅 소설적 성격
5. 『숙향전』에 나타난 천정원리(天定原理)
6. 『숙향전』에서 숙향에게 예언된 다섯 가지 위기와 의미
7. 『숙향전』에 나타난 갈등 관계와 그 의미
8. 『숙향전』에 나타난 사상
9. 『숙향전』의 세계관
10. 『숙향전』에 수용된 설화
11. 창작 시기
12. 『숙향전』의 의의
13. 함께 읽기
+)형성평가지
2. 인물 분석
3. 『숙향전』의 전체 줄거리
4. 『숙향전』에 나타난 영웅 소설적 성격
5. 『숙향전』에 나타난 천정원리(天定原理)
6. 『숙향전』에서 숙향에게 예언된 다섯 가지 위기와 의미
7. 『숙향전』에 나타난 갈등 관계와 그 의미
8. 『숙향전』에 나타난 사상
9. 『숙향전』의 세계관
10. 『숙향전』에 수용된 설화
11. 창작 시기
12. 『숙향전』의 의의
13. 함께 읽기
+)형성평가지
본문내용
의 후손으로 조선말을 배우기 위해 『숙향전』을 보관하고 있었으며, 권섭에게 ‘이 성을 탈출하여 조선인이 되지 못한 것이 한스럽다(恨不踰此城而爲朝鮮人)’라고 말한 점을 근거로 들었다. 나아가 『숙향전』에 반영된 봉건적 신분관계의 동요, 여부인의 성격이 『창선감의록』의 성부인이나 『사씨남정기』의 두부인과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창작시기를 17세기 말 이전까지 소급하기 어렵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한편, 조희웅은 최근 일본 자료를 통해 『숙향전』이 1703년에 존재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즉 일본 유학자인 우삼방주(雨森芳洲)가 36세 때 조선에서 『숙향전』으로 조선어를 공부했다는 기록을 발견했는데, 이때가 1703년이었던 것이다. 이로써 『숙향전』은 적어도 18세기 초인 1703년 이전에 존재했었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드러났다.
12. 『숙향전』의 의의
『숙향전』은 작자 미상의 조선 후기 한글 소설로, 『이화정기(梨花亭記)』라고도 한다. 방각본ㆍ필사본ㆍ활자본으로 간행되어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창작 시기는 1754년 유진한의 『가사춘향가(歌詞春香歌)』에 언급된 것으로 보아 적어도 18세기 중엽 이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숙향의 삶을 위주로 사건이 전개되고 애정의 문제와 여성 수난의 상황이 마련되어 있어 여성 독자층의 기호에 부합한다. 논자에 따라서는 숙향의 삶을 당대 사회가 만들어낸 대다수 하층민들의 고난에 찬 삶에 대응되는 것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또한 여성 수난의 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하되 그 해결책은 관념적이거나 초월적인 도교 사상에서 구하고 있기에 고전 소설의 한계성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숙향이 겪고 있는 숱한 현실적 고난과 완고한 신분적인 장애를 극복하고 이룩하는 이선과의 결연은, 17세기 이후 점차 모순을 드러내기 시작한 중세 봉건제 사회의 한 국면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 함께 읽기
○ 숙영낭자전 : 도선 사상에 입각한 설화적 형식을 취한 애정 소설로, 백선군과 꿈에 본 숙영과의 사랑을 그리고 있다.
○ 채봉감별곡 : 진취적인 한 여성이 부모의 명령을 거역하면서까지 사랑을 성취한다는 내용의 애정 소설로, 부패한 사회상을 배경으로 강필성과 채봉의 사랑 행각을 그리고 있다.
1. 다음의 밑줄 친 시어 중, 이 글에 등장하는 ‘삽사리’의 역할과 가장 유사한 것은?
① 구룸이 無心(무심) 말이 아마도 虛浪(허랑)다.
中天(중천)에 이셔 任意(임의)로 니면셔
구야 光明(광명) 날빗 라가며 덥니. - 이존오
②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다시 보쟈 漢江水(한강수)야.
古國山川(고국 산천)을 나고쟈 랴마,
時節(시절)이 하 殊常(수상)니 올동말동여라. - 김상헌
③ 묏버들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자시 窓(창) 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밤비예 새닙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 - 홍랑
④ 梨花雨(이화우) 흣릴 제 울며 잡고 離別(이별) 님,
秋風落葉(추풍낙엽)에 저도 날 각가.
千里(천 리)에 외로온 만 오락가락노매. - 계랑
⑤ 十年(십 년)을 經營(경영)야 草廬三間(초려 삼간) 지어 니,
나 간 간에 淸風(청풍) 간 맛져 두고,
江山(강산)은 드릴 듸 업스니 둘너 두고 보리라. - 송순
2. 작품 전체를 고려할 때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가) 화설, 낭자는 개마저 잃고 홀로 있어 사면이 적료함에 슬픔을 금치 못하여 자결하고자 하여 비단 수건을 손에 쥐고 창천을 의지하여 부모를 부르짖어 통곡하다가 문득 들으니 무슨 짐승이 소리를 크게 지르며 점점 가까이 다가왔다. 마음 속으로 놀라 창을 닫고 동정을 살피고 있노라니 이윽고 그 짐승이 들어와 문을 후비기에 자세히 들으니 이는 곧 삽사리였다. 그제야 반겨 급히 문을 열고 나가 개 등을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네 나를 버리고 어디를 갔었느냐?”하고 슬피우니 그 개가 목을 늘이어 낭자의 팔 위에 얹거늘 이상히 여겨서 보니, 목에 한 봉서(封書)가 매여 있었다. 바삐 끌러 보니 이는 곧 이랑의 필적이었다. 그 글에, “백년가랑(百年佳郞) 이선은 글월을 숙낭자에게 부치노니 낭자의 이렇듯한 괴로움이 모두 나로 말미암은 것이오. 내 한번 이리로 옴에 높은 산이 첩첩히 가리고 소식이 끊어졌는데 생각지도 못하던 낭자의 친필을 받고 보니 서로 대한 듯 반가웠소.”하고 적혀 있었다.
(나) 각셜, 위국의셔 됴웅을 황셩의 보고 쥬야 염녀 무궁더니 일일은 궁O이 들녜며 원슈의 표문을 올이거 급피 혀 보니, “원슈 됴웅은 표를 올니옵니, 황셩을 향하오 연이 일군을 엇와 간
12. 『숙향전』의 의의
『숙향전』은 작자 미상의 조선 후기 한글 소설로, 『이화정기(梨花亭記)』라고도 한다. 방각본ㆍ필사본ㆍ활자본으로 간행되어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창작 시기는 1754년 유진한의 『가사춘향가(歌詞春香歌)』에 언급된 것으로 보아 적어도 18세기 중엽 이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숙향의 삶을 위주로 사건이 전개되고 애정의 문제와 여성 수난의 상황이 마련되어 있어 여성 독자층의 기호에 부합한다. 논자에 따라서는 숙향의 삶을 당대 사회가 만들어낸 대다수 하층민들의 고난에 찬 삶에 대응되는 것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또한 여성 수난의 상황을 연속적으로 표현하되 그 해결책은 관념적이거나 초월적인 도교 사상에서 구하고 있기에 고전 소설의 한계성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숙향이 겪고 있는 숱한 현실적 고난과 완고한 신분적인 장애를 극복하고 이룩하는 이선과의 결연은, 17세기 이후 점차 모순을 드러내기 시작한 중세 봉건제 사회의 한 국면을 사실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 함께 읽기
○ 숙영낭자전 : 도선 사상에 입각한 설화적 형식을 취한 애정 소설로, 백선군과 꿈에 본 숙영과의 사랑을 그리고 있다.
○ 채봉감별곡 : 진취적인 한 여성이 부모의 명령을 거역하면서까지 사랑을 성취한다는 내용의 애정 소설로, 부패한 사회상을 배경으로 강필성과 채봉의 사랑 행각을 그리고 있다.
1. 다음의 밑줄 친 시어 중, 이 글에 등장하는 ‘삽사리’의 역할과 가장 유사한 것은?
① 구룸이 無心(무심) 말이 아마도 虛浪(허랑)다.
中天(중천)에 이셔 任意(임의)로 니면셔
구야 光明(광명) 날빗 라가며 덥니. - 이존오
②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다시 보쟈 漢江水(한강수)야.
古國山川(고국 산천)을 나고쟈 랴마,
時節(시절)이 하 殊常(수상)니 올동말동여라. - 김상헌
③ 묏버들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자시 窓(창) 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밤비예 새닙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 - 홍랑
④ 梨花雨(이화우) 흣릴 제 울며 잡고 離別(이별) 님,
秋風落葉(추풍낙엽)에 저도 날 각가.
千里(천 리)에 외로온 만 오락가락노매. - 계랑
⑤ 十年(십 년)을 經營(경영)야 草廬三間(초려 삼간) 지어 니,
나 간 간에 淸風(청풍) 간 맛져 두고,
江山(강산)은 드릴 듸 업스니 둘너 두고 보리라. - 송순
2. 작품 전체를 고려할 때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가) 화설, 낭자는 개마저 잃고 홀로 있어 사면이 적료함에 슬픔을 금치 못하여 자결하고자 하여 비단 수건을 손에 쥐고 창천을 의지하여 부모를 부르짖어 통곡하다가 문득 들으니 무슨 짐승이 소리를 크게 지르며 점점 가까이 다가왔다. 마음 속으로 놀라 창을 닫고 동정을 살피고 있노라니 이윽고 그 짐승이 들어와 문을 후비기에 자세히 들으니 이는 곧 삽사리였다. 그제야 반겨 급히 문을 열고 나가 개 등을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네 나를 버리고 어디를 갔었느냐?”하고 슬피우니 그 개가 목을 늘이어 낭자의 팔 위에 얹거늘 이상히 여겨서 보니, 목에 한 봉서(封書)가 매여 있었다. 바삐 끌러 보니 이는 곧 이랑의 필적이었다. 그 글에, “백년가랑(百年佳郞) 이선은 글월을 숙낭자에게 부치노니 낭자의 이렇듯한 괴로움이 모두 나로 말미암은 것이오. 내 한번 이리로 옴에 높은 산이 첩첩히 가리고 소식이 끊어졌는데 생각지도 못하던 낭자의 친필을 받고 보니 서로 대한 듯 반가웠소.”하고 적혀 있었다.
(나) 각셜, 위국의셔 됴웅을 황셩의 보고 쥬야 염녀 무궁더니 일일은 궁O이 들녜며 원슈의 표문을 올이거 급피 혀 보니, “원슈 됴웅은 표를 올니옵니, 황셩을 향하오 연이 일군을 엇와 간
추천자료
다양한 체험활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실업계 고등학생의 중도탈락 예방지도에 관한 고찰
외국의 고등교육의 변화 및 정책방향
『2009. 창작과 비평』김경욱 「신에게는 손자가 없다」연구 발표문.
희곡, 시나리오 교육 발표문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초등학교 2학년 국어과(국어교육) 교과내...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의미와 성격,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교육지침과 주안점, 초등학교 재량활...
학교운영위원회의 기능, 학교운영위원회의 자격, 학교운영위원회의 임기, 학교운영위원회의 ...
정부의 디지털컨텐츠교육지원 사례, 정부의 지방교육지원 사례,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지원 사...
동시감상지도(수업, 교육)방법, 철봉운동지도(수업, 교육)방법, 발표력향상지도(수업, 교육)...
3.(1) 사씨남정기(발표)
학교생활지도의 의의와 비행이론, 학교생활지도의 기본방향과 영역별 내용, 학교생활지도의 ...
고등교육(대학교육)의 의미, 고등교육(대학교육)의 기회, 고등교육(대학교육) 수요, 고등교육...
고등교육(대학교육) 현황, IT도입, 고등교육(대학교육)과 신자유주의적 고등교육, 고등교육(...
고등1) <국어과 수업지도안> 3. 다양한 표현과 이해 (2) 봉산탈춤 (Dick & Carey model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