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 물류 관리 시스템 (A+ 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RFID 물류 관리 시스템 (A+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네트워크 모델

󰊲 RFID 네트워크 모델 구성도
(1) 전체 구성도
(2) 창고안의 구성도
(3) RFID 리더기와 태그의 구성도
(4) RFID를 이용한 물류관리시스템 예제

󰊳 관련기술 소개
1. 유비쿼터스 시대
2. RFID 개념
3. RFID 구성과 기능
4. RFID 작동 순서
5. RFID의 특징
6. RFID적용 사례
7. RFID 효과
8. RFID 리더의 국내 및 해외 시장동향

본문내용

인쇄하는 대신 코드가 무선 식별이 가능한 전자태그에 기록된다. 그러므로 개별 상품의 현 위치와 이동경로를 공급체인 어느곳에서든지 확인할 수 있다.
EPC코드는 네 개의 핵심 요소로서 구성된다.
① EPC header: 번호, 형식, 그리고 그 다음 부분을 포함한 EPC의 전체 길이 표시
② EPC manager: 다음에 이어지는 상품코드 및 일련번호의 관리책임을 맏고 있는
기업을 표시
③ Object Class: 품목, 즉 재고 보관단위 또는 고객 단위 등을 표시
④ Serial Number: Class 내에서의 개별 제품의 일련번호를 표시

태그와 판독기
RFID 태그는 반도체 칩과 안테나가 달린 송신기로 구성된다. 태그는 단순한 형태의 수동형인가 또는 베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능동형인가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양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메모리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 수동형 태그: 제작 단가가 가장 낮다. 판독기에서 방출하는 전파의 에너지를 안테나 로 받아들여 사용하므로 자체 전원이 필요 없다. 수동형 태그는 판독기로부터 가까운거리에 있어야 판독가능하며, 그 거리는 대략 3내지 5 미터이다.
■ 준 수동형 태그: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지만, 판독기로부터 신호를 받을 때까지는 작 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추적이 필요하 지 않는 상품에 사용된다.
■ 능동형 태그: 내장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식별 정보를 지속적으로 송신한다. 대체 로 수동형에 비하여 사이즈가 크고 비싸며 수명이 짧다.
판독기는 안테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인코딩 및 디코딩, 데이터 체크 및 저장, 태그 및 호스트와의 통신 등을 과장한다. 읽기 전용 장치도 있고 읽기/쓰기 겸용 장치도 있다. 판독기는 응용분야나 사용방식에 따라 기본적으로 두가지 형식으로 나뉜다.
■ 고정식: 현관, 정문, 조립 라인의 컨베이어, 계산대, 전장 등
■ 이동식: 휴대용 무선 방식 또는 일관 전송 방식
[ 지금 현재 물류 시스템에 사용할 방식은 Passive 방식이다 ]
능동식(Active)
수동형(Passive)
특 징
태그에서 자체 RF신호 송신 가능
배터리에서 전원 공급
판독기에 신호를 변형 반사
판독기에 전파 신호로 진원 공급
장 점
장거리(3M)이상 전송가능
센서와 결합 가능
배터리 없으므로 저가격 구현가능
베터리 교체 비용 없음
단 점
베터리에 의한 가격 상승
동작시작 제한
장거리 전송 제한
센서 류의 모듈 추가 제한
사용방식
재사용 가능
재사용 가능
저장용량
66~228KB
1B~8KB
Data수정
가능
가능
판독거리
~10m
~100-1000m
판독방식
동시
동시
Line of
Sight
불필요
불필요
적용분야
환경감시, 군수, 의료, 과학 분야
물류 관리, 교통, 보안, 전자 상거래 분야
추진 부처
도입현황
미국 관세청
2005년 3월 또는 7월부터 미국으로 반입되는 컨테이너에 RFID 태그(Electronic seal)을 부착하지 않는 것은 선별적으로 전수검사 실시
미국 국방부
2005년1월부터 모든 공급업체는 모든 상자, 모든 팔레트, 고가의 개별 상품에 태그 부착
미 식약청(FDA)
2004년11월 기업들의 RFID도입을 촉진시키기 위해 상품 라벨 등의 규제 완화책 발표
Midwest 감옥소
2002년6월 죄수의 손목과 간수의 옷 단추에 태그를 부착키로 RFID업체와 계약 체결
Florida 고속도로
2004년 11월 통행료 자동지불 카드를 이용하여 고속도로를 달리는 차량의 평균 주행속도를 파악키로 결정
미 내무부
2004년 12월 내무부 직원 신분증에 RFID 적용
사방(Savant)
사방은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 공개 구조의 소프트웨어로서, 작업 현장에서 RFID태그와 판독기 그리고 현장의 각종 시설을 통합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능’을 제공한다. 사방은 판독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판독기와 교신하며, 응용 프로그램과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교신한다.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와도 호환될 수 있다.
ONS(Object Naming Service)
ONS는 디렉토리 역할을 하며, EPC를 인터넷 상의 URL로 변환시켜 준다. 이 URL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를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 해당 상품이나 케이스, 팔레트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PCIS(EPC Information Service)
EPCIS는 상품 정보를 관리하고 정보 제공 요구가 있을때, 이를 PML(Physical Markup Language)로 표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PNL (Physical Markup Language)
PML은 사람과 컴퓨터가 함께 이해 할 수 있도록 Auto-ID 센터가 개발한 상품 기술방식이다. 이것은 물체, 시스템, 공정 그리고 물체와 관련된 환경을 기술하는 XML 기반의 언어이다. PML의 주 목적은 RFID 기술이 적용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준 공통 언어로 표시하여 배포함으로서 여러 가지 업무와 응용시스템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기존 어플리케이션과 EPC 구성 요소들과의 통합>
기반 기술
▷ 공통의 식별체계
현재 상품 코드의 판독이 불가능할 경우, 전체 포장을 해체한 후 상품을 일일이 판독하여 상품 정보를 확인후, 현장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에 손으로 입력해야 하지만, EPC 네트워크는 범세계적 일관 식별이라는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선행되어야 할 몇가지 과제들이 있다. 기존 표준의 적절한 변환, 데이터 동기화 그리고 현재의 EAN/UCC가입자를 위하여 GTIN(Global Trade Item Number:국제 상품 식별코드)을 EPC 코드에 포함시켜야 하는 일 등이 그것이다.
▷ 데이터 관리
EPC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데이터 관리와 관련된 세가지의 주요 문제가 있다.
1. 대량의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2. 데이터를 어떤 방법으로 거래업체와 고유할 것인가?
3. 데이터를 관리의 기본 방침을 어떻게 수립할 것인가?
▷ 데이터의 분량
EPC 네트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0.03.0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7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