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부버의 만남의 교육을 통한 유아교사 모델 제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르틴부버의 만남의 교육을 통한 유아교사 모델 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마르틴 부버
1. 생애
2. 하시디즘
3.「만남」의 철학
4. 부버의 교육철학
1) 실존적 교육관과 「만남」의 교육
2) 인간교육론
3) 가치교육론
4) 사회교육론
5) 평화교육론
6) 교사-학생 관계론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마르틴부버의 만남의 교육을 통한 유아교사 모델 제시
Ⅰ. 머리말
현대인은 극도의 소외로 괴로워한다. 자기자신 이외의 다른 이웃과 관계를 맺지 않고 생활함으로써 그 고독을 2배로 느끼며 생활하고 있다. 이 같은 소외는 현대의 물질중심의 문화에서 발생된 것으로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상실, 인간소외라는 결과의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이같은 현대인들의 소외의 해결방안은 무엇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 해결방법을 알수는 없을지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마르틴 부버’는 오늘날의 현대문명 속의 인간관계가 한 인간이 다른 인간을 인격적 주체인 「너」로 보지 않고 도구적 존재, 수단적 존재, 사물적 존재인 「그것」으로 보는 「나-그것」의 관계로 타락하고 있다고 경고하면서 인간과 인간의 인격적 만남인 「나-너」의 관계 회복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이처럼 부버는 관계의 개념으로 인간의 위치 및 본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버는 「만남」이라는 말을 철학적인 의미에서 최초로 사용한 사람이었다. 부버는 모든 참된 삶은 「만남」이라고 말한다. 이「만남」에 대해서 교육과 함께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
Ⅱ. 마르틴 부버
1. 생애
마르틴 부버는 1878년 오스트리아의 비엔나에서 평범한 중산층의 유대인 부모 밑에서 태어나 3세 때의 부모의 이혼으로 히브리어 학자인 할아버지와 어린시절을 보냈다.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여러 유대고전 및 비유대인의 작품들을 읽으며 정신적 기반을 닦았다. 1896년 부버는 비인 대학에 입학하여 문학, 예술사, 철학의 강의를 들었으며, 1904년 비인대학에서 “개체화 문제의 역사적 계보”라는 논문으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20세가 되면서 그는 시오니즘 운동에 가담하였다. 그러나 부버의 시오니즘은 당시 유대인들 간에 활발히 일어났던 정치적 시오니즘에 반대하고 민족적 부할을 꾀하는 문화적, 정신적 운동이었다. 1901년 시오니즘 운동의 기관지 <세계>의 편집자가 되었으나 정치적 시오니즘과의 충돌로 인하여 오랫동안 종사하지는 못했다. 부버는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았으나 키에로케고르의 개인주의적이며 염세적인 태도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부버는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주의를 하시디즘의 교훈으로 여과시키고 초기의 신비주의의 경험에서 실존적 종교경험의 진리를 깨닫고 다시 실존주의를 극복하여 그의 사상적 깊이를 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상적 흐름을 타고서 1919년에는 나와 너의 사상이 윤곽을 잡게 되고 1923년에는 <나와 너>를 출판하였다. 그는 1923년 프랑크푸르트 대학 교수로 초빙받아 1933년까지 유대교 철학과 윤리학, 종교사 강의를 하였다. 그러나 1934년 나찌 정부에 의해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13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