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S.T.P전략이란?...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2.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
3.표적시장의 선정(Targeting)
4.위상정립(positioning)
@S.T.P 전략- 사례 연구
*빈폴(Bean pole)
2.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
3.표적시장의 선정(Targeting)
4.위상정립(positioning)
@S.T.P 전략- 사례 연구
*빈폴(Bean pole)
본문내용
공하였다.
4) Bean pole Homme
국제적 감각을 지닌 30대 고객을 주 타깃으로 삶의 질과 개성 그리고 차별화를 추구하는 남성 층을 겨냥하였다. 이처럼 빈폴은 지난 89년 출시 이후 국내 최고의 캐주얼 브랜드로 자리 잡은 빈폴의 브랜드 이미지를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며 "96년 '빈폴 스포츠'와 2001년 봄 '빈폴 레이디스', 2001년 가을 빈폴 골프, 빈폴 옴므에 이어 빈폴 키즈 등의 브랜드도 추가 되었다.
빈폴은 트래디셔널 캐주얼이라는 제한적일수도 있는 의류 코드에도 불구하고 시장 경쟁력의 우위를 이용해 표적 시장을 꾸준히 넓혀가고 있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며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도 더욱 확장할 예정이다.
(3)Positioning
빈폴은 런칭시기부터 이미 시장에서 강력한 브랜드로 자리잡고 있는 폴로를 염두에 두었다. 자연주의 캐주얼이라는 컨셉으로 소비자를 공략하였으나 많은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폴로라는 강력한 브랜드의 아류 정도로 인식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의 해결을 위해 빈폴은 본격적으로 폴로와의 이미지 차별화 전략에 주력했다. 먼저 소비자 구매형태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빈폴의 경우 대부분 남녀 동반구매가 이뤄지고 그럴 경우 대부분 여성이 선택권을 가지다는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동적이고 남성적인 이미지로 나타난 폴로와 다르게, 여성층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전략을 전개하게 된다. 바로 부드럽고 깨끗하다는 이미지를 집중적으로 부각하는 일이었다. 이에 여자 친구가 골라주거나 선물할 수 있는 브랜드로 포지셔닝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다.
빈폴은 또한 선택된 표적 시장에 맞는 제품의 주요한 특징적 이점을 개발하고 communicate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제품이 아닌 고객의 마음속에 빈폴이라는 상표가 고급스럽고 편안한 이미지로 최고의 품질을 추구한다는 수준에 위치화하기 위한 정책을 가지고 고가격, 고품질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노 세일 브랜드를 고집하여 '고급상품' 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다.
빈폴이 소비자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어떤 이유보다도 지속적으로 전개된 대고객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인한, 자전거라는 심볼로 대표되는 아이덴티티의 형성이라고 볼 수 있다. 세계의 유수의 강력한 브랜드들은 반드시 고유한 아이덴티티 를 가지고 있고 이는 브랜드의 자산으로 연결되어 시장 경쟁력의 우위를 가져다준다.
*Supplement-8)빈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광고관련 연상요소]
-BGM, 카피 등
홍 보 ↘ 핵심연상요소
제품 구 전 → 브랜드명: 빈폴 소비자
기능적 혜택→ symbol: 자전거
정서적 혜텍↗
소비자가 느끼는 빈폴만의 이미지
빈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모던하면서도 여성적 취향이 가미된 트래디셔널 캐주얼
빈폴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유지하고 타겟 고객에게 안정적인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세 일을 하지 않고 있으며 소비자의 마음 속 경쟁사보다 우위에 설 수 있도록 위치화 하기 위해서 고품질과 차별된 디자인이라는 질 중심의 전략으로 고객의 욕구에 적극 대처해 소비자 신뢰와 차별된 이미지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이러한 빈폴의 일관적성과 누적성을 이용한 브랜드 포지셔닝의 사례는, 하루가 멀다 하고 전략을 변경하는 국내업체들에게 좋은 교훈이 되고 있다.
*Supplement-9)빈폴의 광고
“그녀의 자전거가 내 가슴속으로 들어왔다.”...
No.1 트래디셔널-빈폴
옷만큼 외제 브랜드들이 활개 치는 제품도 드뭅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고의 트래디셔널로서
가장 많은 분들께 사랑받고 있는 우리의 옷, 빈폴.
빈폴은 더 좋은 품질과 디자인으로 고객 여러분의
크신 사랑에 보답할 것입니다.
좋은 광고는 이렇게 21c를 달리는 좋은 상품 마케팅 광고 사례선집-Korea Marketing association
제일모직(주)
광고캠페인- 빈폴 광고캠페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우리나라 의류광고중에서는 유래를 찾아보기가 어려울정도로 오랜 시간동안 일관된 광고전략을 유지하였다는 점이다. 고객의 연령이 자꾸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잠깐 다른 형태의 표현을 시도한 적도 있지만 대다수의 장수 캠페인이 그러하듯 빈폴광고는 지금까지 한아의 스토리 전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였다. 소비자들이 지루하지 않도록 표현과 상황 설정에 조금씩 변화를 가져오며 신선감을 잃지 않도록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짧은 스침을 통한 남녀의 교감’ 이라는 같은 포맷을 유지하고 있다. 일관성의 유지를 통하여 누적효과를 높인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빈폴 광고는 자전거 외에도 BGM, 로고송, 광고카피 등 빈폴 광고만의 상징요소들을 꾸준히 지켜가면서 일관된 광도전략을 펼쳤다. 95년도에 집행된 ‘정우성 편’은 빈폴 광고의 전형을 보여준다. 아름다운 자연, 서있는 남자 주인공, 비둘기 그리고 저 멀리서 다가오는 자전거를 탄 여자의 출현, 비둘기의 비상, 여자의 자전거 거울에 반사된 햇빛, 눈을 감는 주인공, 그리고 아름다운 배경음악과 카피 등 다분히 젊은 여성들이 좋아할 수 있는 스토리의 전개를 보여주었다.
빈폴광고는 다수의 상징요소들이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상호작용하며 전체적인 상승작용을 이끌어 15초라는 짧은, CM안에서 수채화 같은 하나의 이야기가 있는 풍경을 만들어냈다. 빈폴광고에서 자전거를 타고 나타나는 여자는 주인공이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세계를 경험하게 해주는 대상이며, 자전거는 그 세계를 경험하게 해주는 강력한 매개체로 작용한다. 즉 그녀가 탄 자전거는 단순한 자전거가 아니라 빈폴이라는 제품의 심벌 로 작용하여 ‘빈폴이 내 가슴속에 들어왔다’ 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표 현 전략은, 빈폴을 내 가슴속에 남아있는 브랜드로서 소비자에게 각인되도록 해주었다.
모델도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모델 기본전략은 빅모델은 아니지만, 깨끗하고 부드럽다는 빈폴의 이미지에 적합한 참신하고 지적인 이미지의 남자모델들을 기용하는 것이었다. 한석규를 시작으로 차광수, 정우성, 김태우 등 여성들이 좋아할 수 있는 남자 신인배우들과 예술인을 계속 기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4) Bean pole Homme
국제적 감각을 지닌 30대 고객을 주 타깃으로 삶의 질과 개성 그리고 차별화를 추구하는 남성 층을 겨냥하였다. 이처럼 빈폴은 지난 89년 출시 이후 국내 최고의 캐주얼 브랜드로 자리 잡은 빈폴의 브랜드 이미지를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며 "96년 '빈폴 스포츠'와 2001년 봄 '빈폴 레이디스', 2001년 가을 빈폴 골프, 빈폴 옴므에 이어 빈폴 키즈 등의 브랜드도 추가 되었다.
빈폴은 트래디셔널 캐주얼이라는 제한적일수도 있는 의류 코드에도 불구하고 시장 경쟁력의 우위를 이용해 표적 시장을 꾸준히 넓혀가고 있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며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도 더욱 확장할 예정이다.
(3)Positioning
빈폴은 런칭시기부터 이미 시장에서 강력한 브랜드로 자리잡고 있는 폴로를 염두에 두었다. 자연주의 캐주얼이라는 컨셉으로 소비자를 공략하였으나 많은 소비자들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폴로라는 강력한 브랜드의 아류 정도로 인식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의 해결을 위해 빈폴은 본격적으로 폴로와의 이미지 차별화 전략에 주력했다. 먼저 소비자 구매형태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빈폴의 경우 대부분 남녀 동반구매가 이뤄지고 그럴 경우 대부분 여성이 선택권을 가지다는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동적이고 남성적인 이미지로 나타난 폴로와 다르게, 여성층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전략을 전개하게 된다. 바로 부드럽고 깨끗하다는 이미지를 집중적으로 부각하는 일이었다. 이에 여자 친구가 골라주거나 선물할 수 있는 브랜드로 포지셔닝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다.
빈폴은 또한 선택된 표적 시장에 맞는 제품의 주요한 특징적 이점을 개발하고 communicate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제품이 아닌 고객의 마음속에 빈폴이라는 상표가 고급스럽고 편안한 이미지로 최고의 품질을 추구한다는 수준에 위치화하기 위한 정책을 가지고 고가격, 고품질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노 세일 브랜드를 고집하여 '고급상품' 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다.
빈폴이 소비자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다른 어떤 이유보다도 지속적으로 전개된 대고객 커뮤니케이션 활동으로 인한, 자전거라는 심볼로 대표되는 아이덴티티의 형성이라고 볼 수 있다. 세계의 유수의 강력한 브랜드들은 반드시 고유한 아이덴티티 를 가지고 있고 이는 브랜드의 자산으로 연결되어 시장 경쟁력의 우위를 가져다준다.
*Supplement-8)빈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광고관련 연상요소]
-BGM, 카피 등
홍 보 ↘ 핵심연상요소
제품 구 전 → 브랜드명: 빈폴 소비자
기능적 혜택→ symbol: 자전거
정서적 혜텍↗
소비자가 느끼는 빈폴만의 이미지
빈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모던하면서도 여성적 취향이 가미된 트래디셔널 캐주얼
빈폴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유지하고 타겟 고객에게 안정적인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세 일을 하지 않고 있으며 소비자의 마음 속 경쟁사보다 우위에 설 수 있도록 위치화 하기 위해서 고품질과 차별된 디자인이라는 질 중심의 전략으로 고객의 욕구에 적극 대처해 소비자 신뢰와 차별된 이미지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이러한 빈폴의 일관적성과 누적성을 이용한 브랜드 포지셔닝의 사례는, 하루가 멀다 하고 전략을 변경하는 국내업체들에게 좋은 교훈이 되고 있다.
*Supplement-9)빈폴의 광고
“그녀의 자전거가 내 가슴속으로 들어왔다.”...
No.1 트래디셔널-빈폴
옷만큼 외제 브랜드들이 활개 치는 제품도 드뭅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고의 트래디셔널로서
가장 많은 분들께 사랑받고 있는 우리의 옷, 빈폴.
빈폴은 더 좋은 품질과 디자인으로 고객 여러분의
크신 사랑에 보답할 것입니다.
좋은 광고는 이렇게 21c를 달리는 좋은 상품 마케팅 광고 사례선집-Korea Marketing association
제일모직(주)
광고캠페인- 빈폴 광고캠페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우리나라 의류광고중에서는 유래를 찾아보기가 어려울정도로 오랜 시간동안 일관된 광고전략을 유지하였다는 점이다. 고객의 연령이 자꾸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잠깐 다른 형태의 표현을 시도한 적도 있지만 대다수의 장수 캠페인이 그러하듯 빈폴광고는 지금까지 한아의 스토리 전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였다. 소비자들이 지루하지 않도록 표현과 상황 설정에 조금씩 변화를 가져오며 신선감을 잃지 않도록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짧은 스침을 통한 남녀의 교감’ 이라는 같은 포맷을 유지하고 있다. 일관성의 유지를 통하여 누적효과를 높인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빈폴 광고는 자전거 외에도 BGM, 로고송, 광고카피 등 빈폴 광고만의 상징요소들을 꾸준히 지켜가면서 일관된 광도전략을 펼쳤다. 95년도에 집행된 ‘정우성 편’은 빈폴 광고의 전형을 보여준다. 아름다운 자연, 서있는 남자 주인공, 비둘기 그리고 저 멀리서 다가오는 자전거를 탄 여자의 출현, 비둘기의 비상, 여자의 자전거 거울에 반사된 햇빛, 눈을 감는 주인공, 그리고 아름다운 배경음악과 카피 등 다분히 젊은 여성들이 좋아할 수 있는 스토리의 전개를 보여주었다.
빈폴광고는 다수의 상징요소들이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고 상호작용하며 전체적인 상승작용을 이끌어 15초라는 짧은, CM안에서 수채화 같은 하나의 이야기가 있는 풍경을 만들어냈다. 빈폴광고에서 자전거를 타고 나타나는 여자는 주인공이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세계를 경험하게 해주는 대상이며, 자전거는 그 세계를 경험하게 해주는 강력한 매개체로 작용한다. 즉 그녀가 탄 자전거는 단순한 자전거가 아니라 빈폴이라는 제품의 심벌 로 작용하여 ‘빈폴이 내 가슴속에 들어왔다’ 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표 현 전략은, 빈폴을 내 가슴속에 남아있는 브랜드로서 소비자에게 각인되도록 해주었다.
모델도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모델 기본전략은 빅모델은 아니지만, 깨끗하고 부드럽다는 빈폴의 이미지에 적합한 참신하고 지적인 이미지의 남자모델들을 기용하는 것이었다. 한석규를 시작으로 차광수, 정우성, 김태우 등 여성들이 좋아할 수 있는 남자 신인배우들과 예술인을 계속 기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다.
추천자료
하이트 맥주 경영전략 분석-SWOT,STP(A+레포트)
이마트 경영전략 swot 4p stp
농심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및 역사와 특징소개,...
HJC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및 역사와 특징소개, ...
HJC의 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전략, 성공전략, 경영전략분석, 기업소개 및 역사와 특징소개...
[A+] SM엔터테인먼트와 YG엔터테인먼트의 경쟁 전략 - 음악시장 산업구조 및 환경분석, STP, ...
[월마트 경영,마케팅전략 분석] 월마트(Walmart) 경영전략분석과 SWOT분석및 월마트 마케팅 4...
나이키 NIKE 기업분석과 성공요인분석및 나이키 마케팅 SWOT,STP,4P전략과 경영전략분석및 나...
EVERLAND 에버랜드 기업분석/ 에버랜드 마케팅 SWOT,STP,4P전략 분석/ 에버랜드 주요 경영전...
GS홈쇼핑 기업분석과 상황분석및 GS홈쇼핑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경영전략분석과 GS...
[ 에버랜드 마케팅사례 PPT ] EVERLAND 에버랜드 기업현황과 마케팅 4P,STP,SWOT분석및 에버...
에어비앤비 Airbnb 서비스 성공요인과 에어비앤비 마케팅(SWOT,STP,4P)전략,경영전략과 에어...
[페덱스 마케팅 PPT] 페덱스 Fedex 경영전략과 마케팅 SWOT,STP,4P,서비스전략및 페덱스 문제...
[에어비앤비 마케팅PPT] 에어비앤비 airbnb 성공비결과 마케팅 SWOT,STP,4P전략과 에어비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