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뼈(bone)
1) 발가락(toes)
2) 중족골(metatarsals)
3) 족근골(tarsal bones)
4) 종골(calcaneus)
5) 거골(talus)
6) 주상골(navicular)
7) 입방골(cuboid)
8) 설상골(cuneiforms)
(2) 관절(joint)
1) 지절간 관절(interphalangeal joint)
2) 중족지절 관절(meratarsophalangeal joint)
3) 중족간 관절(intermetatarssl joint)
4) 발목관절(tarsometatarsal joint)
5) 거골하 관절(subtalar joint)
6) 종족관절(midtarsal joint)
1) 발가락(toes)
2) 중족골(metatarsals)
3) 족근골(tarsal bones)
4) 종골(calcaneus)
5) 거골(talus)
6) 주상골(navicular)
7) 입방골(cuboid)
8) 설상골(cuneiforms)
(2) 관절(joint)
1) 지절간 관절(interphalangeal joint)
2) 중족지절 관절(meratarsophalangeal joint)
3) 중족간 관절(intermetatarssl joint)
4) 발목관절(tarsometatarsal joint)
5) 거골하 관절(subtalar joint)
6) 종족관절(midtarsal joint)
본문내용
(metatarsals) 상이에 위치하고 있다. 족근골은 체중지지와 보행에 있어서 중요하다. 종골(calcaneus), 거골(talus), 입방골, 주상골(navicual) 그리고 제1,2,3 설상골로 구성된다.
4) 종골(calcaneus)
종골은 거골을 지지하며 뒤꿈치를 모양짓는 가장 큰 족근골이다. 종골의 주된 기능은 체중을 지면에 보내고 아킬레스건과 발바닥 표면 사이에 여러 구조를 결부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골후부의 넓은 부분은 종골의 결절(tuberosity) 이라 불린다. 내측과 외측의 결절은 하방외측과 내측측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지면과 닿는 부분이다.
5) 거골(talus)
불규칙한 모양을 한 거골은 족근골중 가장 위쪽에 있다. 거골은 재거돌기(susteutaculumtali)라 불리우는 종골의 돌출부 위에 위치한다. 거골은 몸통, 목, 머리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골의 가장 윗부분은 활차(trochlea) 부분으로, 복사뼈의 내측, 외측 관절로 발목관절의 형태를 하고 있다. 거골은 뒤쪽보다 앞쪽이 넓은 관계로 보행시 경골(tibia)이 앞으로 미끄러 지는것을 방지한다.
6) 주상골(navicular)
주상골은 발의 내측부에 있으며 거골의
4) 종골(calcaneus)
종골은 거골을 지지하며 뒤꿈치를 모양짓는 가장 큰 족근골이다. 종골의 주된 기능은 체중을 지면에 보내고 아킬레스건과 발바닥 표면 사이에 여러 구조를 결부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골후부의 넓은 부분은 종골의 결절(tuberosity) 이라 불린다. 내측과 외측의 결절은 하방외측과 내측측면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지면과 닿는 부분이다.
5) 거골(talus)
불규칙한 모양을 한 거골은 족근골중 가장 위쪽에 있다. 거골은 재거돌기(susteutaculumtali)라 불리우는 종골의 돌출부 위에 위치한다. 거골은 몸통, 목, 머리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골의 가장 윗부분은 활차(trochlea) 부분으로, 복사뼈의 내측, 외측 관절로 발목관절의 형태를 하고 있다. 거골은 뒤쪽보다 앞쪽이 넓은 관계로 보행시 경골(tibia)이 앞으로 미끄러 지는것을 방지한다.
6) 주상골(navicular)
주상골은 발의 내측부에 있으며 거골의
추천자료
욕창, suction, 관절운동
뼈의 조직 ,조성, 성장 및 결합
OA(Osteoarthritis)- 퇴행성 관절염
[스트레스와 운동처방] 『관절염의 원인과 운동처방』에 대하여
뒤통수뼈(occipital bone) 관자뼈(temporal bone) 나비뼈(sphenoid bone)
21c현대인을 위한 운동 방법 - 인체 관절계와 운동역학, 골격계와 운동역학
[성인간호학] 근골격계의 구조와 기능, 관절과 인대, 골격근에 관해서
[해부학] 팔과 다리의 관절에 대해서
[임상운동학] Mobilization(관절 가동기법) & Manipulation(도수치료)
[질환별 물리치료] 류마토이드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해부생리] Temporomandibular joint TMJ [악관절]
[간호학 실습 케이스] TKR (Total Knee Replacement)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케이스 [인공관절...
[성인간호학][퇴행성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현대인과 성인병]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의 원인 및 증상과 치료.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