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강원도 개관 및 강원도 방언의 통시성
1. 강원도 개관
2. 강원도 방언의 통시성
Ⅲ. 강원도 방언권과 방언의 분화
1. 국어학에서 강원도 방언권
2. 강원도 방언의 분화
Ⅳ. 강원도 방언의 특징
1. 음운
2. 문법
3. 어휘
Ⅴ. 결 론
Ⅱ. 강원도 개관 및 강원도 방언의 통시성
1. 강원도 개관
2. 강원도 방언의 통시성
Ⅲ. 강원도 방언권과 방언의 분화
1. 국어학에서 강원도 방언권
2. 강원도 방언의 분화
Ⅳ. 강원도 방언의 특징
1. 음운
2. 문법
3. 어휘
Ⅴ. 결 론
본문내용
강원도 방언 연구 개략
Ⅰ. 서론
Ⅱ. 강원도 개관 및 강원도 방언의 통시성
부여계 언어
→
( ) 언어
→
신라, 고려, 조선, 현대
∵ 강원도방언의 형성과정이나 시대별 변천과정을 자세히 밝혀 줄 수 있는 문헌기록 / 언어 자료는《家禮諺解》(1632)가 있을 뿐
Ⅱ. 강원도 방언권과 방언의 분화
1. 강원도 방언권
江原道方言을 이웃해 있는 경기, 황해, 충청도의 방언과 함께 중부방언권의 한 下位方言圈으로 보았음
2. 강원도 방언의 분화
영서방언권
영동방언권 - 북단영동방언권, 강릉방언권, 삼척방언권, 서남영동방언권의 네 하위방언권으로 구분
Ⅲ. 강원도 방언의 특징
1. 음운
음운현상
예
① 어두의 경음화 현상
개구리→깨구리, 가위→까새, 갓난아이→깐난애기
② 유기음화 현상(격음화 현상)
갈치→칼치, 구리다→쿠리다, 달팽이→탈팽이
③ 구개음화 현상
겨드랑→저드랑, 기지개→지지개, 김(海苔)→짐 ; 끼다→찌다
④ ㅣ 모음 역행동화(움라우트) 현상
두루마기→두루매기, 잠방이→잠뱅이, 다리다→대리다
⑤ 단모음화
목화→모카, 환갑→한갑 ; 사위→사우
⑥ 단어 내에서 양성모음이 음성모음 취함
잡어라, 잡었다, 좁어서
⑦ ‘ㅗ’가 양순음 아래에서 ‘ㅓ’로 실현
볼→벌, 보리→버리, 볼거리→벌거리
2. 문법
① 주격조사: ‘거(모음일 때는 이)’가 쓰이기도 한다.
예) 니:거 그랬나?(네가 그랬나?), 머이 그래나?(무엇이 그러니?)
② 목적격조사: ‘-을/를’의 음절말 ‘ㄹ’을 탈락시킨 형태인 ‘-으/르’가 쓰이기도 한다. 예) 재르 넘어
③ 관형격조사 : ‘-으, -어’가 사용. 명사가 ‘-앙’으로 끝나면 ‘-어’가 ‘-아’로 동화
예) 남으 땅 / 일:꾼어 상(일꾼의 상) 신랑아 집에 가문(신랑의 집에 가면)
④ 부사격조사 :‘-애, -에’ + 다가/더거
예) 밤:애 어대 가나? 잿물에더거 그그
Ⅰ. 서론
Ⅱ. 강원도 개관 및 강원도 방언의 통시성
부여계 언어
→
( ) 언어
→
신라, 고려, 조선, 현대
∵ 강원도방언의 형성과정이나 시대별 변천과정을 자세히 밝혀 줄 수 있는 문헌기록 / 언어 자료는《家禮諺解》(1632)가 있을 뿐
Ⅱ. 강원도 방언권과 방언의 분화
1. 강원도 방언권
江原道方言을 이웃해 있는 경기, 황해, 충청도의 방언과 함께 중부방언권의 한 下位方言圈으로 보았음
2. 강원도 방언의 분화
영서방언권
영동방언권 - 북단영동방언권, 강릉방언권, 삼척방언권, 서남영동방언권의 네 하위방언권으로 구분
Ⅲ. 강원도 방언의 특징
1. 음운
음운현상
예
① 어두의 경음화 현상
개구리→깨구리, 가위→까새, 갓난아이→깐난애기
② 유기음화 현상(격음화 현상)
갈치→칼치, 구리다→쿠리다, 달팽이→탈팽이
③ 구개음화 현상
겨드랑→저드랑, 기지개→지지개, 김(海苔)→짐 ; 끼다→찌다
④ ㅣ 모음 역행동화(움라우트) 현상
두루마기→두루매기, 잠방이→잠뱅이, 다리다→대리다
⑤ 단모음화
목화→모카, 환갑→한갑 ; 사위→사우
⑥ 단어 내에서 양성모음이 음성모음 취함
잡어라, 잡었다, 좁어서
⑦ ‘ㅗ’가 양순음 아래에서 ‘ㅓ’로 실현
볼→벌, 보리→버리, 볼거리→벌거리
2. 문법
① 주격조사: ‘거(모음일 때는 이)’가 쓰이기도 한다.
예) 니:거 그랬나?(네가 그랬나?), 머이 그래나?(무엇이 그러니?)
② 목적격조사: ‘-을/를’의 음절말 ‘ㄹ’을 탈락시킨 형태인 ‘-으/르’가 쓰이기도 한다. 예) 재르 넘어
③ 관형격조사 : ‘-으, -어’가 사용. 명사가 ‘-앙’으로 끝나면 ‘-어’가 ‘-아’로 동화
예) 남으 땅 / 일:꾼어 상(일꾼의 상) 신랑아 집에 가문(신랑의 집에 가면)
④ 부사격조사 :‘-애, -에’ + 다가/더거
예) 밤:애 어대 가나? 잿물에더거 그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