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방언의 특징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강원도 방언의 특징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갈지요),
(5) 어간말자음군 단순화 현상
어간말의 자음군(겹받침) 가운데 하나가 자음 앞에서 탈락하는 어간말자음군 단순화 현상은 어느 방언에나 있는 현상이나, 어느 자음이 탈락하는가는 방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닮다, 앉다, 몫, 값’의 ‘ㄻ,ㄵ, ㄳ, ㅄ’은 다른 방언에서도 그러하듯이 강원도방언에서도 ‘담-, 안-, 목, 갑’ 처럼 각각 ‘ㄹ’, ‘ㅈ’, ‘ㅅ’이 탈락한다. 그러나 ‘늙다→[늘다], 밟다→[발다], 흙→[흘]’의 ‘ㄺ, ㄼ’의 경우에는 영동방언에서 뒷자음 ‘ㄱ’과 ‘ㅂ’이 탈락하고 앞자음 ‘ㄹ’이 남는다.
(6) 기타 현상
① 낱말 자체를 분해(分解)하여 발음하는 현상
예)닭→[달그/달기], 칡→[칠기], 뱀→[뱀미], 털→[터리], 사발→[사바리], 때깔→[때까리], 빚→[비지], 얼굴→[얼구리], 버짐→[버지미], 끄나풀→[끄나푸리], 글→[그르] 등
② 단모음화 현상
‘목화→[모카], 환갑→[한갑], 사위→[사우], 사마귀→[사마구], 꾸겨지다→[꾸게지다], 누벼라→[뉘베라] ’
③ 유기음화(격음화) 현상
어두의 경음화 현상 보다 약하기는 하나 ‘갈치→[칼치], 구리다→[쿠리다], 달팽이→[탈팽이]’처럼 유기음화(격음화) 현상도 나타난다.
④ ㅣ역행동화에 의한 것이 아닌 ‘ㅏ→ㅐ’의 현상
‘가마→[가매], 가르마→[가르매], 처마→[초매], 얼마→[얼매], 씨아→[씨애], 감자→[감재], 사다리→[새다리]’에서 보듯 주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이 ‘ㅏ’로 끝나는 경우에 일어나며, 지역적으로는 대개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나타난다.
⑤ 연음화 현상
된소리가 오히려 여린 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으로 ‘시키다→[시기다], 꼬치꼬치→[꼬지꼬지], 동치미→[동지미], 두툼하다→[두둠하다], 옴팍하다→[옴박하다]’가 있다.
⑥ ‘ㅗ’가 양순음 아래에서 ‘ㅓ’로 실현되는 현상
지역에 따라 ‘ㅗ’가 양순음 아래에서 ‘ㅓ’로 실현되는데 ‘볼→[벌], 보리→[버리], 볼거리→[벌거리], 포대기→[퍼대기], 모루→[머루]’등이 그 예이다.
Ⅱ. 문법적 특징
1. 조 사
(1) 주격 조사
일반적으로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 아래에서는 ‘-이’,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아래에서는 ‘-가’가 쓰인다. 영동방언에서는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아래에서 ‘-거’가 쓰이기도 하는데 특히 강릉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예) 네가 그랬나?→[니: 거 그랬나?] / 비가 온다→[비거 온다]
모음 아래에서 ‘-가’나 ‘-거’가 아닌 ‘-이’가 실현되기도 한다.
예) 무엇이 그러니?→[머이 그래나?] / 파가 크다→[파이 크다.]
삼척지역에서는 ‘-이’와 ‘-가’가 겹쳐 쓰이기도 하는데 항상 겹쳐 쓰이는 것은 아니다.
예) 건물이 있습니다.→[건물이가 있습니다.]
(2) 목적격 조사
‘-을/를’의 음절말 ‘ㄹ’을 탈락시킨 형태인 ‘-으/르’가 쓰이기도 하는데, 강릉과 삼척지역에서 그 빈도가 높고 그 외 다른 영동지역에서는 빈도가 낮다.
예) 재를 넘어 산골이지요.→[재르 넘어 산꼴이지요.]
(3) 관형격 조사
영동방언에서는 ‘-으, -어’가 쓰인다. 다만 명사가 ‘-앙’으로 끝나면 ‘-어’가 ‘-아’로 동화된다.
예) 남의 땅→[남으 땅] / 일꾼의 상→[일:꾼어 상] / 신랑의 집에 가면→[신랑아 집에 가문]
(4) 부사격조사
장소와 시간을 나타내는 조사로는 강릉에서 주로 ‘-애’가 쓰이고 양양과 삼척에서는 ‘-에’가 쓰인다.
예) [강릉] 밤:애 어대 가나? / [양양, 삼척] 집에 모이지.
‘-애’나 ‘-에’에 다시 ‘-다/다가’를 결합시킨 형태도 널리 쓰이는데, 강릉은 ‘-다/다가’ 대신 ‘-더.더거’가 결합되는 특징을 보인다.
예) 잿물에다가 그것을 삶아 가지고→[잿물에더거 그그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2.17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5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