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신라시대 향가 혜성가의 배경설화
Ⅱ. 신라시대 향가 혜성가의 원문과 해독
1. 혜성가의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Ⅲ. 신라시대 향가 혜성가의 작품해설
참고문헌
Ⅱ. 신라시대 향가 혜성가의 원문과 해독
1. 혜성가의 원문
2. 양주동 해독
3. 양주동 현대역
4. 김완진 해독
5. 김완진 현대역
Ⅲ. 신라시대 향가 혜성가의 작품해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병선과 혜성이 출현함으로 불렀다는 노래. 이 노래는 유사 권 5 융천사 혜성가조에 실려 있다. 거열랑, 여섯째 실처랑, 일곱째 보동랑 등 세 화랑의 무리가 풍악(금강산)에 놀이를 가려 할 제 혜성이 나타나 心大星(북극성)을 범하였으므로, 이를 불길한 징조라 하여 풍악행을 중지하여 하였더니, 이때에 융천사가 노래를 지어 부름으로서, 혜성을 즉멸케하고, 일본병을 환국케 하였다. 왕은 화가 변하여 복이 되었다고 기뻐하여 화랑들에게 풍악놀이를 시켰다.
언어와 사실을 동일시하려는 주술적 상징이 담겨 있다. 나타난 혜성이 없다고 함으로써 혜성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믿는 고대인의의식이 바탕이 되고 있으며, 이 노래를 지은 융천사의 이름이 천사(天師)인 것으로 보아 하늘의 일을 관장하는 전문관이자 주술사였다고 보아진다. 무속적인 전통이 불교적으로 고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Ⅱ. 신라시대 향가 혜성가의 원문과 해독
1. 혜성가의 원문
舊理東尸汀叱
乾達婆矣游烏隱城叱良望良古
倭理叱軍置來叱多
烽燒邪隱邊也藪耶
三花矣岳音見賜烏尸聞古
月置入切爾數於將來尸波衣
道尸掃尸星利望良古
彗星也白反也人是有叱多
後句 達阿羅浮去伊叱等邪
此也友物比所音叱 兮叱只有叱故
2. 양주동 해독
녜 ㅅ
언어와 사실을 동일시하려는 주술적 상징이 담겨 있다. 나타난 혜성이 없다고 함으로써 혜성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고 믿는 고대인의의식이 바탕이 되고 있으며, 이 노래를 지은 융천사의 이름이 천사(天師)인 것으로 보아 하늘의 일을 관장하는 전문관이자 주술사였다고 보아진다. 무속적인 전통이 불교적으로 고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Ⅱ. 신라시대 향가 혜성가의 원문과 해독
1. 혜성가의 원문
舊理東尸汀叱
乾達婆矣游烏隱城叱良望良古
倭理叱軍置來叱多
烽燒邪隱邊也藪耶
三花矣岳音見賜烏尸聞古
月置入切爾數於將來尸波衣
道尸掃尸星利望良古
彗星也白反也人是有叱多
後句 達阿羅浮去伊叱等邪
此也友物比所音叱 兮叱只有叱故
2. 양주동 해독
녜 ㅅ
추천자료
통일신라시대 한문학의 개관에
통일신라시대의 문학
남북국시대의 문학―통일신라와 발해
고전의 이해-신라 가요
[향가][향가 형식][향가 표기][향찰][향가 배경][향가 자연물 상징][향가 특징]향가 분석 고...
[향가여요론] 향가여요론 요점정리 서브노트
[향가계 고려가요][정과정][향가][고려가요][정과정 해석]향가계 고려가요 정과정의 원문과 ...
향가계 고려가요 도이장가의 작품해제, 향가계 고려가요 도이장가의 원문과 해독, 향가계 고...
[음악][고구려시대 음악][백제시대 음악][신라시대 음악][고려시대 음악][조선시대 음악][고...
사천왕사지와 장항리사지를 통해 본 신라의 불교
[신라불교, 신라불교 특징, 신라불교 성격, 신라불교 시기구분, 신라불교 수용, 신라불교 발...
『삼국유사』,『균여전』을 통해 살펴 본 향가의 성격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비극 소설의 기원과 문학(향가)과 권력의 관계 - 초기서사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