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교육평가 상대평가(규준지향평가)
1. 규준(norm)의 개념
2. 규준지향평가의 특징
3. 규준지향평가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Ⅱ. 교육평가 절대평가
1. 절대평가의 개념 및 사례
2. 절대평가의 장점
3. 절대평가의 단점
Ⅲ. 교육평가 진단평가
Ⅳ. 교육평가 형성평가
1. 형성평가의 개념
2. 형성평가의 기능
Ⅴ. 교육평가 총합평가
1. 총합평가의 개념
2. 총합평가의 기능
Ⅵ. 교육평가 임의평가
Ⅶ. 교육평가 질적평가
1. 질적 평가의 개념 및 사례
2. 질적 평가의 장점&단점
Ⅷ. 교육평가 수행평가
참고문헌
1. 규준(norm)의 개념
2. 규준지향평가의 특징
3. 규준지향평가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Ⅱ. 교육평가 절대평가
1. 절대평가의 개념 및 사례
2. 절대평가의 장점
3. 절대평가의 단점
Ⅲ. 교육평가 진단평가
Ⅳ. 교육평가 형성평가
1. 형성평가의 개념
2. 형성평가의 기능
Ⅴ. 교육평가 총합평가
1. 총합평가의 개념
2. 총합평가의 기능
Ⅵ. 교육평가 임의평가
Ⅶ. 교육평가 질적평가
1. 질적 평가의 개념 및 사례
2. 질적 평가의 장점&단점
Ⅷ. 교육평가 수행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하여 정의적 행동 특성을 평가한다.
신체적 활동이나 기능과 관련된 심동적 영역에서 교육은 실제로 행위를 잘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심동적 행동 특성 평가 방법은 행위를 전개하는 과정과 행위의 결과로서 수행 정도를 평가하여야 하므로 관찰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고전무용을 가르치고 난 후 학생이 얼마나 고전무용 잘 하는지를 관찰에 의하여 평가한다. 무용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과정, 무용 행위를 종료하는 순간까지 모든 과정과 결과를 평가한다. 그러므로 심동적 영역에서의 평가는 아느냐 혹은 모르느냐를 확인하는 작업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잘 행위 하느냐에 관심을 두며 행위 하는 과정의 수준과 질에 관심을 둔다. 다시 말해서 knowing보다도 doing에 초점을 두는 수행(performing)하는 정도를 평가하므로 이를 수행평가라 한다.
지식과 정보를 알고 이해하는 능력과 지식과 정보를 다룰 줄 아는 능력을 함께 요구하는 지식 산업사회에서 인간에 대한 평가는 어떤 사실을 아는 정도는 물론, 알고 있는 지식을 얼마만큼 잘 행하는지를, 즉 실제 생활에 얼마만큼 적용하는지를 평가하는 수준까지 요구한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방법을 아는 정도와 실제로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수준까지 평가하는 것이 문서 편집과 관련된 능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떤 지식을 이해하고 기억하며 재생하는 능력뿐 아니라 지식을 수행하는 정도까지 평가하는 방법이 모든 교과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광의의 수행평가의 정의는 습득한 지식, 기능이나 기술을 실제생활이나 인위적 평가상황에서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doing, performing) 혹은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how to do, how to perform)를 관찰, 면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법으로서 지식이나 기능에 의한 정답여부나 산출물에만 관심이 것이 아니라 수행과정이나 그 결과를 평가함을 말한다.
참고문헌
강승호 외(1999), 현대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김대현·김석우(1999),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김정권·최영하(2000),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평가의 기능과 영역, 재동문화사
이칭찬·황선경(2003),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동문사
정종진(1999), 교육평가의 이해, 양서원
황정규(1984),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현대교육과정과 교육평가(2006), 학지사
신체적 활동이나 기능과 관련된 심동적 영역에서 교육은 실제로 행위를 잘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심동적 행동 특성 평가 방법은 행위를 전개하는 과정과 행위의 결과로서 수행 정도를 평가하여야 하므로 관찰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고전무용을 가르치고 난 후 학생이 얼마나 고전무용 잘 하는지를 관찰에 의하여 평가한다. 무용을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과정, 무용 행위를 종료하는 순간까지 모든 과정과 결과를 평가한다. 그러므로 심동적 영역에서의 평가는 아느냐 혹은 모르느냐를 확인하는 작업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잘 행위 하느냐에 관심을 두며 행위 하는 과정의 수준과 질에 관심을 둔다. 다시 말해서 knowing보다도 doing에 초점을 두는 수행(performing)하는 정도를 평가하므로 이를 수행평가라 한다.
지식과 정보를 알고 이해하는 능력과 지식과 정보를 다룰 줄 아는 능력을 함께 요구하는 지식 산업사회에서 인간에 대한 평가는 어떤 사실을 아는 정도는 물론, 알고 있는 지식을 얼마만큼 잘 행하는지를, 즉 실제 생활에 얼마만큼 적용하는지를 평가하는 수준까지 요구한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방법을 아는 정도와 실제로 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수준까지 평가하는 것이 문서 편집과 관련된 능력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떤 지식을 이해하고 기억하며 재생하는 능력뿐 아니라 지식을 수행하는 정도까지 평가하는 방법이 모든 교과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광의의 수행평가의 정의는 습득한 지식, 기능이나 기술을 실제생활이나 인위적 평가상황에서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doing, performing) 혹은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how to do, how to perform)를 관찰, 면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법으로서 지식이나 기능에 의한 정답여부나 산출물에만 관심이 것이 아니라 수행과정이나 그 결과를 평가함을 말한다.
참고문헌
강승호 외(1999), 현대 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김대현·김석우(1999),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김정권·최영하(2000),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평가의 기능과 영역, 재동문화사
이칭찬·황선경(2003),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동문사
정종진(1999), 교육평가의 이해, 양서원
황정규(1984),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현대교육과정과 교육평가(2006), 학지사
추천자료
교육평가에 있어서의 수행평가
교육평가의 새로운 움직임 : 수행평가관을 중심으로
교육평가론(개념,의의,정의,목적,평가,문제점)
[교육평가론]평가인정모형의 이해
[교육평가론]평가인정모형의 이해
[교육평가A+] 선생님! 그들에게 점수를 매긴다 - 교원평가제 도입배경과 추진과정 및 각 단체...
[교육평가A+] 선생님! 그들에게 점수를 매긴다 - 교원평가제 도입배경과 추진과정 및 각 단체...
[교육평가] 교사평가에 관하여
유아교육평가가 중요한 이유와 유아기 학습자에게 유용한 평가방법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1장. 교육과정의 개념 요약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제 2장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과 모형 요약
교육과정및교육평가 제7장.학교수준교육과정.PPT
유아교육평가_A형_유아의 다양한 행동들을 유아교육 현장 혹은 생활 근거지 주변에서 시간표...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해운대관광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제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