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소환제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민소환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주민소환제도 개관
1. 주민소환제의 의의
2. 구별개념
(1) 국민소환제도
(2) 탄핵제도
(3) 신임투표
(4) 의회해산 및 정부해산
3. 주민소환제의 기능
4. 주민소환제의 장ㆍ단점
Ⅱ. 주민소환법상의 주민소환제도
1. 소환절차의 개관
2. 소환의 대상
3. 소환절차의 개시시기
4. 소환청구의 사유
5. 소환(신청)절차
(1) 소환권자
(2) 주민소환투표의 발의절차
(3) 소환운동
(4) 소환결정절차의 도입전 냉각기간
6. 소환결정절차
7. 주민소환의 효력
8. 권리구제
Ⅲ. 주민소환제의 개선방향
1. 주민소환 투표권자의 범위
2. 주민소환청구 요건
3. 소환청구 사유에 대하여
4. 소환대상 공직자의 범위
5. 소환투표의 효력에 대한 검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없도록 규정함으로써 공무원담임권에 대한 중간 정도의 제재를 선택하고 있다. 이러한 제한은 비리나 권한남용 등 불미스러운 사유가 아닌 경우까지 재출마를 금지하는 것은 공무담임권을 침해의 여지가 있다.
미국의 경우 극단적으로 영원히 선출하는 공직에 출마할 수 없도록 엄격한 제재를 가하는 경우에서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출마를 금하는 경우, 그리고 우리처럼 해임된 후 바로 그 공직의 보궐선거만 출마를 금하는 경우, 아예 그러한 제한을 두지 않는 경우 등 다양하다.
소환대상이 되어 해직된 공직자는 정치적 책임뿐만 아니라 주민에 대한 도덕적ㆍ윤리적 책임뿐만 아니라 이러한 제한을 가하는 법적인 책임까지 부여하는 것은 과잉제한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에서 소환사유를 명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비리나, 권한남용이나 위법적인 사유로 인한 소환의 경우 출마제한은 타당하나 그렇지 않은 사유로 소환된 경우까지 출마를 제한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는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상의 규정이 타당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구체적인사유에 따라 양분하든지 주민소환의 성질을 사법적인 책임으로 보지 않는 관점에서는 이를 삭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참고문헌
Ⅰ. 국내문헌
1. 단행본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8.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05.
김철수, 헌법학(상), 박영사, 2008.
김철수, 헌법학(하), 박영사, 2008.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07.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8.
이승우 외 2, 탄핵심판제도에 관한연구, 헌법재판연구 제12권, 헌법재판소, 2001.
2. 논문
고문현, “주민소환제에 관한 소고”, 제주 특별자치법제와 주민참여법제,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06. 2.
길준규, “주민소환제의 법리적 검토”, 공법연구 제34집 제4호 제1권, 한국공법학회, 2006. 6.
김명길, “지방자치에서의 직접민주제”, 공법연구 제30집 제1호, 한국공법학회. 2004.
김병국, “주민감사청구제도의 채택과 운용”, 자치행정 제148호, 2000.
김선택, “재신임국민투표, 합허인가, 위허닌가”, 시민과 변호사, 2003. 12.
김선택, “정책국민투표의 성격과 효력”, 헌법논총 제11집, 헌법재판소, 2000.
김영삼, “주민참정제도에 관한 고찰 - 주민투표와 주민소환을 중심으로”, 기본권ㆍ국가ㆍ헌법, 허경교수 회갑기념논문집간행위원회, 1999.
김해룡, “주민투표제의 법적의의와 개선방향”, 외대논집, 제22집, 한국외국어 대학교, 2006.
안성호, “주민투표제도의 운용과 발전방향”, 지방행정, 대한지방행정공제회, 2004. 8.
김희곤, “지방자치법상 주민의 조례제정개폐청구권에 관한 연구”, 공법연구 제28집 제3호, 한국공법학회, 1999.
노현수, “주민참여와 주민소환제”,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신봉기, “지방자치제에 있어서 직접민주제방식의 도입: 특히 주민소환제도와 관련하여”, 공법연구 제33집 제1호, 2004. 11.
윤성현, “국민소환제도에 관한 헌법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 대학원, 2002
음선필, “대통령의 재신임과 국민투표”, Jurist, 2004. 8
이기우, “주민참여활성화를 위한 법제 정비”, 법제연구 제9호, 1995. 12.
이기우, “지방자치제도와 주민소환제도에 관한 공법적 접근”, 공법학연구 제7권 제2호, 2006.
이기우, “지방자치제도와 주민소환제도에 관한 공법적 접근”, 정치적 민주화의 실현과 공법적 과제, 제37회 한국비교공법학회 학술발표회, 2006. 1
이성환, “국민소환제의 헌법적 검토”, 공법연구 제33집 제1호, 2004.
이영훈, “지방자치와 주민소송의 기능”, 고시연구, 1991. 4.
이용우, “분권시대에 부합하는 주민소환제 도입방안”, 지방자치 제177호, 2003. 6
정종섭, “대의제에 관한 비판적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9.
조정찬, “주민소환제 도입논의에 관한 소견”, 법제 제519호, 2001. 3.
함인선, “주민소환제도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공법학연구 제5권 제2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4
허영, “재신임국민투표의 헌법적 검토” 고시계, 2003. 11.
허훈, “주민감사청구제도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5권 제1호, 한국지방자치학회, 2003. 3.
Ⅱ. 국외문헌
Hans Herbert von Arnim, Gemeindliche Selbstverwaltung und Demokratie, Archiev des offentlichen Rechts, Bd. 113, 1988.
Hans Herbert von Arnim, Vom schonen Schein der Demokratie, Munchen, 2002.
JMunch-Wulff, Abberfung der Burgermeister im Land Brandenburg, 1999.
Nathaniel A. Persily, \"The Peculiar Geography of Direct Democracy: Why The Initiative, Referendum and Recall Development In The American West\", 2 Mich. L. & Pol\'y Rev. 11. 1997.
Schfold/Neumann, Entwicklungstendenzen der Kommunalverfassung in Deutschland, 1996,
Schliesky, Unmittelbar-demokratische Elemente in der Kommunalverfassungen Deutschlands, Archiv fur Kommunalwissenschaften, 37. Jahrgang, 1998,
Vikram David Amar, \"Adventures In Direct Democracy: The Top Ten Constitutional Lessons From The California Recall Experience\", 92 California Law Review 927 May, 2004.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0.03.22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