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 디지털 시대에 왜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이 중요한가? 인터넷에 어떤 문제들과 가능성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업성, 포르노사이트의 확산, 인터넷 네티즌들간 지켜야할 규범의 부재,
인터넷 공간의 의사소통을 통한 참여 민주주의 실현...
2) 연구목적: 다양한 사이버저널리즘의 유형을 탐색하고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2. 공론장으로서의 인터넷에 대한 인식
1) 인터넷 공론장에 대한 긍정적 입장
2) 인터넷 공론장은 이대로 좋은가?: 비판적 입장
3. 온라인 저널리즘의 유형과 특성
1) 온라인 저널리즘의 유형
(1) CAR형
(2) 오프라인 종속형
(3) 온라인 독립형
(4) 포털 사이트
(5) 1인 미디어 유형 - 블로그, 미니홈피
2) 온라인 저널리즘의 특성
(1) 상호작용성 - 멀티미디어성. 접근의 용이성으로 인한...
(2) 표현의 자유
(3) 기사의 신뢰성과 질적 문제
(4) 개방성과 참여성
4. 실증 사례 분석
1)블로그와 미니홈피
2)포털사이트와 오마이뉴스
5. 인터넷 공론장의 가능성과 한계
1) 디지털 시대에 왜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이 중요한가? 인터넷에 어떤 문제들과 가능성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업성, 포르노사이트의 확산, 인터넷 네티즌들간 지켜야할 규범의 부재,
인터넷 공간의 의사소통을 통한 참여 민주주의 실현...
2) 연구목적: 다양한 사이버저널리즘의 유형을 탐색하고 공론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진단한다.?
2. 공론장으로서의 인터넷에 대한 인식
1) 인터넷 공론장에 대한 긍정적 입장
2) 인터넷 공론장은 이대로 좋은가?: 비판적 입장
3. 온라인 저널리즘의 유형과 특성
1) 온라인 저널리즘의 유형
(1) CAR형
(2) 오프라인 종속형
(3) 온라인 독립형
(4) 포털 사이트
(5) 1인 미디어 유형 - 블로그, 미니홈피
2) 온라인 저널리즘의 특성
(1) 상호작용성 - 멀티미디어성. 접근의 용이성으로 인한...
(2) 표현의 자유
(3) 기사의 신뢰성과 질적 문제
(4) 개방성과 참여성
4. 실증 사례 분석
1)블로그와 미니홈피
2)포털사이트와 오마이뉴스
5. 인터넷 공론장의 가능성과 한계
본문내용
에 대한 욕구의 충족이다.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연결고리 속에 뽐내기 기능은 오늘날의 경쟁사회 속에서 온라인을 통한 개인의 자기발현과도 일맥상통한다는 점에서 그 뜻이 깊다고 볼 수 있다.
<그림 9> 싸이월드 미니홈피
주요기능 :
-원하는 상대에 대한 다양한 검색기능
- 홈피 꾸미기 기능
-네트워크 형성의 손쉬움 및 관리의 손쉬움
-지정한 타인의 글의 update 알림기능
-자신의 미니홈피에 대한 다양한 홍보기능
-덧글 / 답글의 편의성
4-3. 연구분석
블로그의 공론장으로서의 작용여부
4-3-1. 블로그와 미니홈피
블로그가 공론장으로 작용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블로그의 사적권력성을 살펴봐야 한다. 우선 권력은 공적 권력과 사적 권력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공적권력이라 함은 개인이 아닌 단체나 기업, 정부 등이 공공성의 성격을 띠고 행사하는 권력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사적권력은 개인이 개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사하는 권력이다. 하지만 여기에 덧붙이자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 아니라도 여러 사람들에게 의식변화와 영향을 줄 정도의 힘이라면 충분히 사적권력이 작용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사적 권력이 블로그라는 공간에서 이성적으로 공론화 된다면 블로그가 공론장으로써 작용한다고 볼 수 dLT을 것이다.
그렇다면 블로그의 사적권력으로서의 행사여부에 대하여 신문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블로그의 대표적인 사적권력의 작동의 여부로 인터넷 마녀 사냥의 실례들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는 블로그와 같은 1인 미디어가 하나의 권력으로 작동하여 개인을 사회에서 사장 화 시키는 위력을 보여주는 좋은 실례로 최근에는 개똥녀 사건이나 연예인X파일, 트위스트 김 사건, 7악마 사건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정치적인 면에서 1인 미디어가 권력으로 작용한 예를 살펴보자. 1인 미디어가 사적 권력으로 작용한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수용자(유권자)가 정치 참여를 했는냐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수용자의 미디어 통한 정치참여
정치 정보 획득의 실태
TV가 38.3%로 가장 높고, 인터넷(28.7%), 신문(17.6%), 사람들과의 대화(6.5%), 시사/정치관련 잡지(3.9%), 라디오(1.8%), 후보들의 유세(1.3%), 그 외 잡지(여성지, 취미 등)(1.1%), 선거관련전단지(0.8%) 순으로 나타나, 인터넷이 TV 다음으로 강력한 매체로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특성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여성 및 고줄 이하 층은 TV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인터넷은 남성, 30대, 대졸 이상 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용하며, 특히 30대의 이용률은 33.6%에 비해 격차가 그리 크지 않을 정도로 인터넷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신문은 남성 및 40대 이상 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들의 매체별 신뢰 정도에 있어 남성은 신문에 대해, 여성은 TV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욱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및 직업별로 차이를 보면, 20대 및 고졸 이하 층이 TV에 대한 신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20대는 사람들과의 대화도 상대적으로 신뢰하는 편이다. 그리고 인터넷은 대졸 이상 층에서, 시사/정치관련 잡지는 40대 이상 층에서 신뢰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론, 모든 1인 미디어가 모두 다 사적권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1인 미디어가 사적 권력으로써 충분히 작용할만한 힘을 가졌다는 것은 위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부인 할 수는 없을 것이다.
4-4. 블로그의 사회 문화적 영향(긍정성,부정성)
4-4-1. 긍정적 영향
① 자기 추구적 매체로서의 블로그
블로그는 그 날의 일기나 감상을 기록하고 사진, 글 등의 개인적인 자료를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특히 자료를 인터넷상에 올리는 것도 홈페이지보다 쉽고 간편하여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이용 가능하며, 이는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자아표출을 가능하게 해준다. 물론 블로그가 ‘공개성’을 특정으로 하지만 대부분 주체가 공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개인 사물함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블로그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주제를 정해 두고 내용을 채워나갈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의 취미나 관심사와 관련된 활동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그림11>는 특정 분야에 대한 개인의 관심사가 반영된 블로그 예로 컴퓨터 와 IT기술에 대한 블로거의 관심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분야에 대하여 블로거의 관심이 전문가 수준에 이를 경우 이는 정보추구형 매체로서 블로그가 가지는 장점에도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1> 개인의 취미나 관심사가 반영된 블로그의 예
http://blog.naver.com/comsnake.do?Redirect=Log&logNo=80008975744
(9430명에게 이웃, 스크랩 횟수는 54056회)
②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블로그
블로그는 기존 매스미디어들과 확연히 대비되는 고도의 상호 작용성을 가장 큰 특성으로 한다. 블로그 주체가 올린 게시물에 대해 다른 블로거들이 답글을 달거나 스크랩 하는 등 개인적 자료는 보관과 동시에 공유된다. 답글, 방명록, 쪽지, 메일 등의 기능은 블로거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친목 도모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운영주체의 목소리를 가장 빨리 인터넷상에 전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와 형성된 친밀한 관계가 잠재된 이용자 및 지지자를 불러 모은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많은 연예인들과 더불어 정치계 인물들 그리고 기업의 마케팅 도구로 블로그를 개설하고 있다.
특히 ‘싸이월드’에서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미니홈피의 방명록 기능으로 자신의 홈피를 다녀간 사람들의 흔적과 메시지에 리플을 달아준다. 그리고 타인이 쓴 리플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나타내거나, 내 게시물에 타인이 적어놓은 리플을 읽은 뒤에 다시 판단하고 이해하는 행위는 싸이월드 내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행위이다. 또한 리플을 작성한 사람의 이름을 클릭하면 그 사람의 미니홈피로 바로
<그림 9> 싸이월드 미니홈피
주요기능 :
-원하는 상대에 대한 다양한 검색기능
- 홈피 꾸미기 기능
-네트워크 형성의 손쉬움 및 관리의 손쉬움
-지정한 타인의 글의 update 알림기능
-자신의 미니홈피에 대한 다양한 홍보기능
-덧글 / 답글의 편의성
4-3. 연구분석
블로그의 공론장으로서의 작용여부
4-3-1. 블로그와 미니홈피
블로그가 공론장으로 작용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블로그의 사적권력성을 살펴봐야 한다. 우선 권력은 공적 권력과 사적 권력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공적권력이라 함은 개인이 아닌 단체나 기업, 정부 등이 공공성의 성격을 띠고 행사하는 권력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사적권력은 개인이 개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행사하는 권력이다. 하지만 여기에 덧붙이자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 아니라도 여러 사람들에게 의식변화와 영향을 줄 정도의 힘이라면 충분히 사적권력이 작용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사적 권력이 블로그라는 공간에서 이성적으로 공론화 된다면 블로그가 공론장으로써 작용한다고 볼 수 dLT을 것이다.
그렇다면 블로그의 사적권력으로서의 행사여부에 대하여 신문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블로그의 대표적인 사적권력의 작동의 여부로 인터넷 마녀 사냥의 실례들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는 블로그와 같은 1인 미디어가 하나의 권력으로 작동하여 개인을 사회에서 사장 화 시키는 위력을 보여주는 좋은 실례로 최근에는 개똥녀 사건이나 연예인X파일, 트위스트 김 사건, 7악마 사건 등이 있었다.
다음으로 정치적인 면에서 1인 미디어가 권력으로 작용한 예를 살펴보자. 1인 미디어가 사적 권력으로 작용한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수용자(유권자)가 정치 참여를 했는냐의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수용자의 미디어 통한 정치참여
정치 정보 획득의 실태
TV가 38.3%로 가장 높고, 인터넷(28.7%), 신문(17.6%), 사람들과의 대화(6.5%), 시사/정치관련 잡지(3.9%), 라디오(1.8%), 후보들의 유세(1.3%), 그 외 잡지(여성지, 취미 등)(1.1%), 선거관련전단지(0.8%) 순으로 나타나, 인터넷이 TV 다음으로 강력한 매체로 나타났다. 인구 통계적 특성별로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여성 및 고줄 이하 층은 TV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인터넷은 남성, 30대, 대졸 이상 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용하며, 특히 30대의 이용률은 33.6%에 비해 격차가 그리 크지 않을 정도로 인터넷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신문은 남성 및 40대 이상 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들의 매체별 신뢰 정도에 있어 남성은 신문에 대해, 여성은 TV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욱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및 직업별로 차이를 보면, 20대 및 고졸 이하 층이 TV에 대한 신뢰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20대는 사람들과의 대화도 상대적으로 신뢰하는 편이다. 그리고 인터넷은 대졸 이상 층에서, 시사/정치관련 잡지는 40대 이상 층에서 신뢰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론, 모든 1인 미디어가 모두 다 사적권력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아니다. 단지 1인 미디어가 사적 권력으로써 충분히 작용할만한 힘을 가졌다는 것은 위의 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부인 할 수는 없을 것이다.
4-4. 블로그의 사회 문화적 영향(긍정성,부정성)
4-4-1. 긍정적 영향
① 자기 추구적 매체로서의 블로그
블로그는 그 날의 일기나 감상을 기록하고 사진, 글 등의 개인적인 자료를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특히 자료를 인터넷상에 올리는 것도 홈페이지보다 쉽고 간편하여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이용 가능하며, 이는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자아표출을 가능하게 해준다. 물론 블로그가 ‘공개성’을 특정으로 하지만 대부분 주체가 공개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개인 사물함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블로그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주제를 정해 두고 내용을 채워나갈 수 있다. 이 경우 개인의 취미나 관심사와 관련된 활동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그림11>는 특정 분야에 대한 개인의 관심사가 반영된 블로그 예로 컴퓨터 와 IT기술에 대한 블로거의 관심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분야에 대하여 블로거의 관심이 전문가 수준에 이를 경우 이는 정보추구형 매체로서 블로그가 가지는 장점에도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림 11> 개인의 취미나 관심사가 반영된 블로그의 예
http://blog.naver.com/comsnake.do?Redirect=Log&logNo=80008975744
(9430명에게 이웃, 스크랩 횟수는 54056회)
②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로서의 블로그
블로그는 기존 매스미디어들과 확연히 대비되는 고도의 상호 작용성을 가장 큰 특성으로 한다. 블로그 주체가 올린 게시물에 대해 다른 블로거들이 답글을 달거나 스크랩 하는 등 개인적 자료는 보관과 동시에 공유된다. 답글, 방명록, 쪽지, 메일 등의 기능은 블로거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친목 도모를 가능하게 해준다. 따라서 운영주체의 목소리를 가장 빨리 인터넷상에 전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사용자와 형성된 친밀한 관계가 잠재된 이용자 및 지지자를 불러 모은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많은 연예인들과 더불어 정치계 인물들 그리고 기업의 마케팅 도구로 블로그를 개설하고 있다.
특히 ‘싸이월드’에서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시도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이용자들이 가장 먼저 확인하는 것은 미니홈피의 방명록 기능으로 자신의 홈피를 다녀간 사람들의 흔적과 메시지에 리플을 달아준다. 그리고 타인이 쓴 리플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나타내거나, 내 게시물에 타인이 적어놓은 리플을 읽은 뒤에 다시 판단하고 이해하는 행위는 싸이월드 내 대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행위이다. 또한 리플을 작성한 사람의 이름을 클릭하면 그 사람의 미니홈피로 바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