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배경 설화,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해독, 신라 향가 도천수대비가(도천수관음가)의 작품 해설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배경 설화,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해독, 신라 향가 도천수대비가(도천수관음가)의 작품 해설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배경 설화

Ⅱ.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과 해독
1. 양주동 해독
2. 양주동 현대역
3. 김완진 해독
4. 김완진 현대역

Ⅲ. 신라 향가 도천수대비가(도천수관음가)의 작품 해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기리(漢岐里)의 여인, 희명의 아이가 난 지 다섯 살 만에 갑자기 눈이 멀었다. 하루는 그 어머니가 그 아이더러 노래를 지어서 빌라고 하였더니 그만 눈이 떠졌다. 그를 예찬하여 시를 지었으니 “막대로 말을 삼고 파로 피리 불어 골목에서 뛰놀다가 하루 아침 앞이 캄캄, 반짝이는 두 눈동자 어느덧 잃었고나. 만일에 관음 보살 인자한 눈을 떠서 돌보지 않았다면 버들개지 휘날리는 몇 몇 해 봄 빛을 헛되이 지냈으니”
芬皇寺千手大悲 盲兒得眼
景德王代 漢岐里女希明之兒 生五稔而忽盲 一日其母抱兒 詣芬皇寺左殿北壁畵千手大悲前 令兒作歌禱之 遂得明 其詞曰 膝古召二尸掌音毛乎內良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白屋尸置內乎多 千隱手叱千隱目 一等下叱放一等除惡 二于萬隱吾羅 一等沙隱賜以古只內乎叱等邪阿邪也 吾良遺知賜尸等焉 放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讚曰 竹馬笙戱陌塵 一朝雙碧失瞳人 不因大士廻慈眼 虛度楊花幾社春
Ⅱ. 신라 향가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과 해독
膝 兮古召
二尸掌音手乎支內良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白屋尸置內乎多
千隱手 叱千隱目 兮
一等下叱放一等 兮除惡支
二于萬隱吾羅
一等沙隱謝以古只內乎叱等賜
阿邪也 吾良遣知支賜尸等焉
放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1. 양주동 해독
무루플 고조며
  • 가격5,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3.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