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술의 어원
2. 술의 기원
3. 술의 역사
1) 소주
2) 맥주
3) 막걸리
4) 청주
5) 약주
4. 누룩
1) 누룩이란
2) 누룩이 등장한 시기
5. 삼국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6. 조선시대 - 금주령 -
<주사거배> - 신윤복 -
참고문헌
2. 술의 기원
3. 술의 역사
1) 소주
2) 맥주
3) 막걸리
4) 청주
5) 약주
4. 누룩
1) 누룩이란
2) 누룩이 등장한 시기
5. 삼국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6. 조선시대 - 금주령 -
<주사거배> - 신윤복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술의 역사
목차
1. 술의 어원
2. 술의 기원
3. 술의 역사
1) 소주
2) 맥주
3) 막걸리
4) 청주
5) 약주
4. 누룩
1) 누룩이란
2) 누룩이 등장한 시기
5. 삼국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6. 조선시대 - 금주령 -
<주사거배> - 신윤복 -
참고문헌
1. 술의 어원
술의 한자적 기원을 보면, 주(酒:술주)자의 옛 글 자는 ‘닭, 서쪽, 익을’을 뜻하는 유(酉:닭유)자이다. 유자는 밑이 뾰족한 항아리 상형문자에서 변천된 것으로 술의 침전물을 모으기 위해서 끝이 뾰족한 항아리에서 발효시켰던 것에서 유래했다. 그 후 유자가 다른 뜻으로 쓰이게 되어 삼수변이 붙게 된 것인데, 옛 글자에서는 삼수변이 오른쪽에 붙어 있다. 보통 삼수변의 글자는 자전에서 찾을 때 수지부(水之部)를 보게 되지만, 주(酒:술주)자는 유지부(酉之部)에 들어 있다. 酉(유)는 ‘지지 유’, ‘익을 유’로 읽히는데, 원래 술항아리를 상형한 것으로 술을 뜻한다. 오늘날에는 술과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유자가 들어있는 글자들 중에는 애초에 술과 관련되었던 글자가 많다, 술을 뜻하는 유(酉)가 변으로 들어간 모든 한자는 발효에 관한 광범위한 식품명이다. 취(醉:취할취),작(酌:따를작),례(醴:산술례),순(醇:진산술순),초(醋:초초),장(醬:젓갈장)등이 그 예이다.
반면 술의 본래의 고유한 우리말은 ‘수블/수불’ 이었다. 고려시대의「계림유사(鷄林類事)」에는 화자(酉禾子),「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에는 ‘수본(數本)’으로 되어 있고 조선시대 문헌에는 ‘수울’ 또는 ‘수을’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로 미루어 ‘수블’이 ‘수울’을 거쳐서 ‘술’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수블’의 의미에 대해서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술을 빚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 즉 술을 쪄서 익히고 여기에 누룩과 주모(酒母)를 버무려 넣고 일정양의 물을 부어 빚는다. 이어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면 발효가 이루어 져 열을 가하지 않더라도 부글부글 물이 끓어오르며 거품이 괴는 현상을 옛 사람들에게는 참으로 신기해 보였을 것이다. 이를 마치 물에서 난데없이 불이 붙는다는 뜻으로 ‘수불’이라 하지 않았을까 싶다.
또한 술의 어원에 대해 범어의 수라(Sura: 쌀로 빚은술), 웅가르어의 세르(Ser), 달단어(타타르어)의 스라(Sra)에서 흘러 내려오다가 조선 말기로 껑충 뛰면서 술이 되었다고 하고, 한편으로는 술을 마시는 모양-술술 잘 넘어간다고 할때의 -을 형용하는 의성음인 ‘술’의 어원이라는 통속어원 학설도 있다. 한말(韓茉)의 통속어원 학자 정교는 ‘동언공략(東言功略)’에서 순박하고 좋은 술맛 순(醇)에서 비롯되었다가 손님을 접대하는 수(酬)에서 ‘술’로 되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2. 술의 기원
우리나라 술의 역사는 정확하게 추정하기가 어렵고, 어떤 방법으로 술이 처음제조 되었는지 그 기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문화가중국의 문화권에서 파생 전래되어 왔음을 상기하고, 술의 유래도 중국에서 연유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특히, 고구려의 역사가 중국과위 투쟁사로 이루어지므로, 그 가운데에서 술에 대한 이야기와 양조법이 전재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초로 우리나라 역사에 술에 관한 이야기가 기록된 것은 <고삼국사기>로서, 고구려를 세운 주몽의 건국담 중에 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것은 설화에 속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술의 내력도 매우 오래 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1)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 문자가 탄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은대의 유적에서 술빚는 항아리가 발견된 사실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2) 원숭이 일화
- 원숭이들이 바위나 나무 둥치의 오목한 곳에 잘 익은 산포도나 머루를 달 밝은 밤에 넣어 두고 다음 달 보른 밤에 찾아와서 술을 마셨다는 이야기는 여러 나라에 전해 오고 있다.
(3) 건국담
- 술 이야기가 최초로 등장하는 문헌은 <제왕운기>라 할수있다. 동명성왕 건국담에 얽힌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고삼국사>에서 인용되었다.
하백의 세 딸 유화, 선화, 위화가 더위를 피해 청하(지금의 압록강)의 웅심연(연못)에서 놀고 있었다. 이때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세 처녀를 보고 그 아름다움에 도취되어 신하를 시켜 가까이 하려고 하였으나 그들은 응하지 않았다. 그 뒤 해모수가 신하의 말을 듣고 새로 웅장한 궁실을 지어 그들을 초청하였는데, 초대에 응한 세 처녀가 술대접 을 받고 만취한 후 돌아가려 하였다. 그러자 해모수는 앞을 가로막고 하소연하였으나 세 처녀는 달아났다. 그들의 뒤를
목차
1. 술의 어원
2. 술의 기원
3. 술의 역사
1) 소주
2) 맥주
3) 막걸리
4) 청주
5) 약주
4. 누룩
1) 누룩이란
2) 누룩이 등장한 시기
5. 삼국시대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6. 조선시대 - 금주령 -
<주사거배> - 신윤복 -
참고문헌
1. 술의 어원
술의 한자적 기원을 보면, 주(酒:술주)자의 옛 글 자는 ‘닭, 서쪽, 익을’을 뜻하는 유(酉:닭유)자이다. 유자는 밑이 뾰족한 항아리 상형문자에서 변천된 것으로 술의 침전물을 모으기 위해서 끝이 뾰족한 항아리에서 발효시켰던 것에서 유래했다. 그 후 유자가 다른 뜻으로 쓰이게 되어 삼수변이 붙게 된 것인데, 옛 글자에서는 삼수변이 오른쪽에 붙어 있다. 보통 삼수변의 글자는 자전에서 찾을 때 수지부(水之部)를 보게 되지만, 주(酒:술주)자는 유지부(酉之部)에 들어 있다. 酉(유)는 ‘지지 유’, ‘익을 유’로 읽히는데, 원래 술항아리를 상형한 것으로 술을 뜻한다. 오늘날에는 술과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유자가 들어있는 글자들 중에는 애초에 술과 관련되었던 글자가 많다, 술을 뜻하는 유(酉)가 변으로 들어간 모든 한자는 발효에 관한 광범위한 식품명이다. 취(醉:취할취),작(酌:따를작),례(醴:산술례),순(醇:진산술순),초(醋:초초),장(醬:젓갈장)등이 그 예이다.
반면 술의 본래의 고유한 우리말은 ‘수블/수불’ 이었다. 고려시대의「계림유사(鷄林類事)」에는 화자(酉禾子),「조선관역어(朝鮮館譯語)에는 ‘수본(數本)’으로 되어 있고 조선시대 문헌에는 ‘수울’ 또는 ‘수을’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로 미루어 ‘수블’이 ‘수울’을 거쳐서 ‘술’로 변한 것으로 짐작된다. ‘수블’의 의미에 대해서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술을 빚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추측한다. 즉 술을 쪄서 익히고 여기에 누룩과 주모(酒母)를 버무려 넣고 일정양의 물을 부어 빚는다. 이어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면 발효가 이루어 져 열을 가하지 않더라도 부글부글 물이 끓어오르며 거품이 괴는 현상을 옛 사람들에게는 참으로 신기해 보였을 것이다. 이를 마치 물에서 난데없이 불이 붙는다는 뜻으로 ‘수불’이라 하지 않았을까 싶다.
또한 술의 어원에 대해 범어의 수라(Sura: 쌀로 빚은술), 웅가르어의 세르(Ser), 달단어(타타르어)의 스라(Sra)에서 흘러 내려오다가 조선 말기로 껑충 뛰면서 술이 되었다고 하고, 한편으로는 술을 마시는 모양-술술 잘 넘어간다고 할때의 -을 형용하는 의성음인 ‘술’의 어원이라는 통속어원 학설도 있다. 한말(韓茉)의 통속어원 학자 정교는 ‘동언공략(東言功略)’에서 순박하고 좋은 술맛 순(醇)에서 비롯되었다가 손님을 접대하는 수(酬)에서 ‘술’로 되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2. 술의 기원
우리나라 술의 역사는 정확하게 추정하기가 어렵고, 어떤 방법으로 술이 처음제조 되었는지 그 기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문화가중국의 문화권에서 파생 전래되어 왔음을 상기하고, 술의 유래도 중국에서 연유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특히, 고구려의 역사가 중국과위 투쟁사로 이루어지므로, 그 가운데에서 술에 대한 이야기와 양조법이 전재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초로 우리나라 역사에 술에 관한 이야기가 기록된 것은 <고삼국사기>로서, 고구려를 세운 주몽의 건국담 중에 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것은 설화에 속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술의 내력도 매우 오래 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1)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 문자가 탄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은대의 유적에서 술빚는 항아리가 발견된 사실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2) 원숭이 일화
- 원숭이들이 바위나 나무 둥치의 오목한 곳에 잘 익은 산포도나 머루를 달 밝은 밤에 넣어 두고 다음 달 보른 밤에 찾아와서 술을 마셨다는 이야기는 여러 나라에 전해 오고 있다.
(3) 건국담
- 술 이야기가 최초로 등장하는 문헌은 <제왕운기>라 할수있다. 동명성왕 건국담에 얽힌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고삼국사>에서 인용되었다.
하백의 세 딸 유화, 선화, 위화가 더위를 피해 청하(지금의 압록강)의 웅심연(연못)에서 놀고 있었다. 이때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세 처녀를 보고 그 아름다움에 도취되어 신하를 시켜 가까이 하려고 하였으나 그들은 응하지 않았다. 그 뒤 해모수가 신하의 말을 듣고 새로 웅장한 궁실을 지어 그들을 초청하였는데, 초대에 응한 세 처녀가 술대접 을 받고 만취한 후 돌아가려 하였다. 그러자 해모수는 앞을 가로막고 하소연하였으나 세 처녀는 달아났다. 그들의 뒤를
추천자료
술의 종류, 성분, 어원, 생리, 민속, 역사
술의어원과 문화,변천사,예절에 대한분석
술의 어원과 기원
오씨유 칵테일과 술문화 술의 어원
술의 기원과 어원 및 유래, 술의 정의와 역사 및 한국 술의 역사, 우리의 술 문화, 금주령, ...
한국문화의 이해_술의 기원, 술의 어원, 전통시대의 술(원시시대의 술, 삼국시대의 술, 고려...
[한국문화사] 술의 이해 - 술의 어원, 술의 기원, 우리나라 술의 역사(고구려부터 광복 이후...
[한국문화사] <술> 우리나라 술의 이해 - 술의 어원과 기원, 술의 종류와 역사(청주, 막걸리,...
[한국문화사] <술> 우리나라 술의 역사와 이해 (술의 어원, 술의 기원, 누룩, 술의 종류, 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