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성균관의 명칭
Ⅲ. 성균관의 직제와 입학자격
Ⅳ. 성균관의 복식
1. 의례성
2. 청빈성
3. 지위상징성
Ⅴ. 성균관의 유생
Ⅵ. 성균관의 교육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수방법
4. 교육평가
참고문헌
Ⅱ. 성균관의 명칭
Ⅲ. 성균관의 직제와 입학자격
Ⅳ. 성균관의 복식
1. 의례성
2. 청빈성
3. 지위상징성
Ⅴ. 성균관의 유생
Ⅵ. 성균관의 교육
1. 교육목적
2. 교육내용
3. 교수방법
4. 교육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고 겸 성균사성 김예몽의 전문을 보면 청금과 더불어 맹세하고 더욱 소절을 다하겠으니…”라 하는 구절이 보인다. 이렇게 유생을 청금이라 비유한 것은 세조이후 영조대까지 계속 보이며 중간인 중종에서 현종대에는 ‘분포’라 통칭하였다. 영조대 전 우윤 이정철이 게사년 사마시에 등제하였고 이듬해 회갑을 맞이할 때 임금이 유건과 청삼을 선물한 기록으로 보아 유건과 청삼은 유생과 이미 출사한 관료 모두에게 있어 복식 그 이상의 의미인 것으로 생각된다.
Ⅴ. 성균관의 유생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한 유생을 상재생(上齋生)이라 하였으며, 소정의 선발 시험인 승보(升補)나 음서(蔭敍)에 의해 입학한 유생들을 하재생(下齋生)이라 하였다. 성균관 유생은 기숙사격인 동재와 서재에서 생활하였으며, 출석 점수 원점(圓點)을 300점 이상 취득해야 만이 대과 초시에 응시할 수 있었다. 유생의 생활은 엄격한 규칙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자치적인 활동기구로 재회(齋會)가 있었다. 유생은 기숙사생활을 하는 동안 국가로부터 학전(學田)과 외거노비(外居奴婢) 등을 제공받았으며, 교육 경비로 쓰이는 전곡(錢穀)의 출납은 양현고에서 담당하였다. 유생은 또한 당대의 학문정치현실에도 매우 민감하여 문묘종사(文廟從祀)나 정부의 불교숭상 움직임에 대해 집단 상소를 올렸으며, 그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권당(捲堂:수업거부) 또는 공관(空館)이라는 실력행사를 하기도 하였다. 조선 전기 학문의 전당으로서 관리의 모집단으로 주요한 기능을 한 성균관은 조선 후기에 이르면서 교육재정이 궁핍화하고 과거제도가 불공정하게 운영되면서 그 기능이 약화되었다.
Ⅵ. 성균관의 교육
1. 교육목적
고급인재양성, 문묘 제례
2. 교육내용
- 강독(사서, 오경, 제사)
- 제술(의, 의, 론, 부, 표, 송, 기)
- 서법(해서, 행서, 초서)
3. 교수방법
- 구재학규(대학, 중용, 논어, 맹자, 시전, 서전, 춘추, 예기)
- 강의와 문답식 교수
- 반복연습
4. 교육평가
- 예조에서 행했다.
- 대통, 통, 약통, 조통, 얼차레
참고문헌
김병구(1995), 한국 교육사의 연구, 교육출판사
국사편찬 위원회(1973), 한국 교육사, 탐구당
윤완(2002), 한국 교육사의 이해, 원미사
이원호(2002), 조선시대 교육의 연구, 문음사
이만규(1988), 이만규의 조선교육사Ⅰ, 거름
정낙찬·이동기·채휘균, 한국의 전통교육 : 영남대학교출판부
장덕삼, 한국 교육사, 동문사
Ⅴ. 성균관의 유생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한 유생을 상재생(上齋生)이라 하였으며, 소정의 선발 시험인 승보(升補)나 음서(蔭敍)에 의해 입학한 유생들을 하재생(下齋生)이라 하였다. 성균관 유생은 기숙사격인 동재와 서재에서 생활하였으며, 출석 점수 원점(圓點)을 300점 이상 취득해야 만이 대과 초시에 응시할 수 있었다. 유생의 생활은 엄격한 규칙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자치적인 활동기구로 재회(齋會)가 있었다. 유생은 기숙사생활을 하는 동안 국가로부터 학전(學田)과 외거노비(外居奴婢) 등을 제공받았으며, 교육 경비로 쓰이는 전곡(錢穀)의 출납은 양현고에서 담당하였다. 유생은 또한 당대의 학문정치현실에도 매우 민감하여 문묘종사(文廟從祀)나 정부의 불교숭상 움직임에 대해 집단 상소를 올렸으며, 그들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권당(捲堂:수업거부) 또는 공관(空館)이라는 실력행사를 하기도 하였다. 조선 전기 학문의 전당으로서 관리의 모집단으로 주요한 기능을 한 성균관은 조선 후기에 이르면서 교육재정이 궁핍화하고 과거제도가 불공정하게 운영되면서 그 기능이 약화되었다.
Ⅵ. 성균관의 교육
1. 교육목적
고급인재양성, 문묘 제례
2. 교육내용
- 강독(사서, 오경, 제사)
- 제술(의, 의, 론, 부, 표, 송, 기)
- 서법(해서, 행서, 초서)
3. 교수방법
- 구재학규(대학, 중용, 논어, 맹자, 시전, 서전, 춘추, 예기)
- 강의와 문답식 교수
- 반복연습
4. 교육평가
- 예조에서 행했다.
- 대통, 통, 약통, 조통, 얼차레
참고문헌
김병구(1995), 한국 교육사의 연구, 교육출판사
국사편찬 위원회(1973), 한국 교육사, 탐구당
윤완(2002), 한국 교육사의 이해, 원미사
이원호(2002), 조선시대 교육의 연구, 문음사
이만규(1988), 이만규의 조선교육사Ⅰ, 거름
정낙찬·이동기·채휘균, 한국의 전통교육 : 영남대학교출판부
장덕삼, 한국 교육사, 동문사
추천자료
일본의 교육제도와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본 후 한국과 일본교육의 비교를 통해 다른 문화에 ...
[교육학]조선시대부터 7차교육과정 소개 및 공교육 현황분석 및 성적공개 필요성 제시
연세대학교의 부설교육기관인 어린이 생활지도 연구원의 교육철학을 설명하고 연세 개방주의 ...
[교육敎育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설명하고,...
(인간과교육) 주입식, 자연주의, 진보주의,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및 에릭슨의 성격발달...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을 설명, 교...
[특수아교육 A형] 우리나라 유아 특수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객관적 자료(최근 통계...
(인간과교육) 주입식, 자연주의, 진보주의, 실존주의 교육관을 비교 및 에릭슨의 성격발달...
2017 인간과교육] 후기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종래의...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
[교육심리학] 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우(Ma...
[교육과정 B형] 경험주의 교육과정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것을 유아교육에 실제로 적용한다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