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제 : 사하촌의 리얼리즘 비평
제 1 장 머리말
제 2 장 리얼리즘의 개념과 발생배경
제 3 장 1910~1930년대의 시대적 배경
제 4 장 사하촌의 리얼리즘
제 5 장 맺음말
참고문헌
제 1 장 머리말
제 2 장 리얼리즘의 개념과 발생배경
제 3 장 1910~1930년대의 시대적 배경
제 4 장 사하촌의 리얼리즘
제 5 장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차
주제 : 사하촌의 리얼리즘 비평
제 1 장 머리말
제 2 장 리얼리즘의 개념과 발생배경
제 3 장 1910~1930년대의 시대적 배경
제 4 장 사하촌의 리얼리즘
제 5 장 맺음말
참고문헌
제 1 장 머리말
문학의 영역에 있어서 여타의 사조나 사상도 마찬가지이겠지만 리얼리즘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 이유는 리얼리즘라는 개념이 그 정리에 있어서 쉽게 단정 지어 논의 될 수 없는 광범위하고 모호성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1910~1930년대 서구의 여러 문예사조의 유입에 있어 리얼리즘만의 단일하고 독특한 성격을 유지하며, 그 특징을 제대로 이해하고 살리기에는 당시 우리의 역량이 너무도 부족했다. 자연과학의 발달에 따른 사회상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서서히 만들어져간 서구의 리얼리즘과는 반대로 우리나라의 리얼리즘은 너무나도 급격하게 유입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리얼리즘을 이해하는 데는 그 어려움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리얼리즘은리얼리즘의 문학적 실현은 작품의 창작과 이론적 모색을 통해 이루어진다. 송기섭,「리얼리즘론의 근대적 기반」,『한국소설 근대성의 시학』, 예림기획, p107.
라는 서구의 리얼리즘과는 조금 다르다. 본인은 우리나라의 리얼리즘은 서구보다 좀 더 현실적이고 필사적이며 좀 더 사회적정치적으로써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수단과 노력으로 발전해 갔다고 생각한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리얼리즘의 발생배경과 원인을『사하촌』이라는 실제 작품을 적용시켜 알아보도록 하겠다.
제 2 장 리얼리즘의 개념과 발생배경
리얼리즘에 대한 몇몇의 논의들 중에서 르네 웰렉 Rene Wellek, 「Concepts of Criticism」, New Haven; Yale Univ. Press, 1963, pp.240~241. (오생은이성원홍전선, 『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주) 문학과 지성사, 1996, p.74. 재인용.)
은 리얼리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우리는 까다로움을 피우지 말고 리얼리즘이란 ‘당대 사회 현실의 객관적 묘사’라고 하기로 하자. (중략) 이것은 환상적인 것, 동화적인 것, 우의적인 것, 상징적인 것, 고도로 양식화된 것, 전혀 추상적이고 장식적인 것을 거부한다. 그것은 우리가 어떠한 신화도 동화도 꿈의 세계도 원치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또한 있을 성싶지 않은 것, 단순한 우연, 극히 예외적인 사건의 배제를 은연중에 뜻한다.
또한 윤여탁 윤여탁, 『리얼리즘시의 이론과 실제』, 태학사, 1994, p.25.
은 ‘문예의 향유자들의 생활 속에서 찾아낼 수 있는 사실성을 어떻게 문학적 세계 속에서 형상화 하느냐?’ 라는 문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문학에서의 리얼리즘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당 시대를 살아가는 민중들의 삶의 모습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것이 문학의 본질이며 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핵심적 위치에 서는 것이 바로 리얼리즘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장백일 張伯逸,『한국리얼리즘 文學論』, 探求堂, 1995, pp.14~15.
은 리얼리즘 문학은 자기의 감각을 예민하게 작용하여 자연과 인생을 관찰하고 그것을 세밀하게 그리고 생생하게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데 그 생명을 두고 있으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묘사하는 경향 혹은 양식으로서의 인간의 현실생활을 강조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렇듯 학자들마다의 리얼리즘에 대한 연구결과가 다양하며 그 방향이 서로 하나로 일치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만큼 리얼리즘의 개념적 정의를 내리기가 어렵고 난해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리얼리즘에 대한 개념정리에 있어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의견이 나온다는 위의 언급처럼 리얼리즘 개념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그렇다면 리얼리즘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리얼리즘은 관찰을 통해 인간 현실의 진상을 밝힌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의 여러 현상에 대한 관찰을 통해 완전하며 진지한 재현만을 의도하는 것이 리얼리즘라는 것이다. 두 번째로 리얼리즘은 선악이나 미추에 구애됨이 없이 현실 그대로의 인간을 묘사한다. 셋째로 리얼리즘은 특수한 면이나 저속한 면의 묘사까지도 사실적으로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부여된 자연현상과 사회현실 및 인간의 여러 생활현상을 냉철하고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디테일한 폭로와 고발의 묘사에 그 목적을 둔다는 것을 말한다. 張伯逸, 위의 책, pp.15~16.
세계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인식하여 그대로 묘사하는, 어쩌면 가장 간단하고 간편한 방법이지만 그것이 세계와 물질을 바라보는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하는 리얼리즘은 어떠한 계기와 환경 속에서 처음 그 모습을 나타내었을까? 모든 사상이나 사조는 그 전의 것들을 부정하고 보완해 가는 과정 속에서 형성하게 된다.
19세기 발달하기 시작한 산업화는 당시 서구사회에 많은 부분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심리적이고 공상적인 면을 추구하였던 기존의 낭만주의적인 시대상을 부정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산업의 발달로 당시사람들의 인식구조는 현실을 바라보게 되었으며 이는 물질만능주의 즉, 물질의 축적과 이익에 몰두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공상적이고 심리적인 환상을
주제 : 사하촌의 리얼리즘 비평
제 1 장 머리말
제 2 장 리얼리즘의 개념과 발생배경
제 3 장 1910~1930년대의 시대적 배경
제 4 장 사하촌의 리얼리즘
제 5 장 맺음말
참고문헌
제 1 장 머리말
문학의 영역에 있어서 여타의 사조나 사상도 마찬가지이겠지만 리얼리즘을 한 마디로 정의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 이유는 리얼리즘라는 개념이 그 정리에 있어서 쉽게 단정 지어 논의 될 수 없는 광범위하고 모호성을 띄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1910~1930년대 서구의 여러 문예사조의 유입에 있어 리얼리즘만의 단일하고 독특한 성격을 유지하며, 그 특징을 제대로 이해하고 살리기에는 당시 우리의 역량이 너무도 부족했다. 자연과학의 발달에 따른 사회상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서서히 만들어져간 서구의 리얼리즘과는 반대로 우리나라의 리얼리즘은 너무나도 급격하게 유입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리얼리즘을 이해하는 데는 그 어려움이 더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리얼리즘은리얼리즘의 문학적 실현은 작품의 창작과 이론적 모색을 통해 이루어진다. 송기섭,「리얼리즘론의 근대적 기반」,『한국소설 근대성의 시학』, 예림기획, p107.
라는 서구의 리얼리즘과는 조금 다르다. 본인은 우리나라의 리얼리즘은 서구보다 좀 더 현실적이고 필사적이며 좀 더 사회적정치적으로써 우리나라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수단과 노력으로 발전해 갔다고 생각한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리얼리즘의 발생배경과 원인을『사하촌』이라는 실제 작품을 적용시켜 알아보도록 하겠다.
제 2 장 리얼리즘의 개념과 발생배경
리얼리즘에 대한 몇몇의 논의들 중에서 르네 웰렉 Rene Wellek, 「Concepts of Criticism」, New Haven; Yale Univ. Press, 1963, pp.240~241. (오생은이성원홍전선, 『문예사조의 새로운 이해』, (주) 문학과 지성사, 1996, p.74. 재인용.)
은 리얼리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우리는 까다로움을 피우지 말고 리얼리즘이란 ‘당대 사회 현실의 객관적 묘사’라고 하기로 하자. (중략) 이것은 환상적인 것, 동화적인 것, 우의적인 것, 상징적인 것, 고도로 양식화된 것, 전혀 추상적이고 장식적인 것을 거부한다. 그것은 우리가 어떠한 신화도 동화도 꿈의 세계도 원치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또한 있을 성싶지 않은 것, 단순한 우연, 극히 예외적인 사건의 배제를 은연중에 뜻한다.
또한 윤여탁 윤여탁, 『리얼리즘시의 이론과 실제』, 태학사, 1994, p.25.
은 ‘문예의 향유자들의 생활 속에서 찾아낼 수 있는 사실성을 어떻게 문학적 세계 속에서 형상화 하느냐?’ 라는 문제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문학에서의 리얼리즘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는 당 시대를 살아가는 민중들의 삶의 모습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것이 문학의 본질이며 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핵심적 위치에 서는 것이 바로 리얼리즘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장백일 張伯逸,『한국리얼리즘 文學論』, 探求堂, 1995, pp.14~15.
은 리얼리즘 문학은 자기의 감각을 예민하게 작용하여 자연과 인생을 관찰하고 그것을 세밀하게 그리고 생생하게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데 그 생명을 두고 있으며 ‘현실’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고 묘사하는 경향 혹은 양식으로서의 인간의 현실생활을 강조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렇듯 학자들마다의 리얼리즘에 대한 연구결과가 다양하며 그 방향이 서로 하나로 일치되지 않는다는 것은 그 만큼 리얼리즘의 개념적 정의를 내리기가 어렵고 난해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리얼리즘에 대한 개념정리에 있어 학자들마다 서로 다른 의견이 나온다는 위의 언급처럼 리얼리즘 개념을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참으로 어렵다.
그렇다면 리얼리즘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것들에 대해 알아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리얼리즘은 관찰을 통해 인간 현실의 진상을 밝힌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사회의 여러 현상에 대한 관찰을 통해 완전하며 진지한 재현만을 의도하는 것이 리얼리즘라는 것이다. 두 번째로 리얼리즘은 선악이나 미추에 구애됨이 없이 현실 그대로의 인간을 묘사한다. 셋째로 리얼리즘은 특수한 면이나 저속한 면의 묘사까지도 사실적으로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부여된 자연현상과 사회현실 및 인간의 여러 생활현상을 냉철하고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디테일한 폭로와 고발의 묘사에 그 목적을 둔다는 것을 말한다. 張伯逸, 위의 책, pp.15~16.
세계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인식하여 그대로 묘사하는, 어쩌면 가장 간단하고 간편한 방법이지만 그것이 세계와 물질을 바라보는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하는 리얼리즘은 어떠한 계기와 환경 속에서 처음 그 모습을 나타내었을까? 모든 사상이나 사조는 그 전의 것들을 부정하고 보완해 가는 과정 속에서 형성하게 된다.
19세기 발달하기 시작한 산업화는 당시 서구사회에 많은 부분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심리적이고 공상적인 면을 추구하였던 기존의 낭만주의적인 시대상을 부정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산업의 발달로 당시사람들의 인식구조는 현실을 바라보게 되었으며 이는 물질만능주의 즉, 물질의 축적과 이익에 몰두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공상적이고 심리적인 환상을
추천자료
빙허 현진건의 삶과 문학세계
박세영 시세계의 ‘혁명적 낭만주의’
아르헨티나 영화 '구름 (La nube, 1998)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감정교육'
황지우의 시 세계
[일상생활][디지털미디어][디지털미디어상품][인터넷중독][정보화사회]일상생활과 디지털미디...
한국근대소설사
(현대문학강독)청록파시인 3인의 시세계가 지니는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논의(조지훈,박목...
1930년대 소설과 모더니즘 : 지식인의 심리적 갈등
현진건 <적도>
염상섭 <삼대> 연구
최명익 <심문> 연구
현진건 <무영탑>
1930년대 모더니즘 시론 - 김기림의 시론을 중심으로 -
소개글